봉준호 감독 “자막의 장벽을 뛰어넘으라”한 까닭은?

입력 2020.01.07 (06:21) 수정 2020.01.07 (06: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미국의 양대 영화제 중 하나인 골든글로브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영화 100년사에 처음 있는 쾌거인데요.

봉 감독은 배타적인 할리우드의 문턱을 세계 공통의 '영화'라는 언어로 뛰어넘었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봉준호 감독은 수상 소감으로 자막의 장벽을 뛰어넘으라고 말했습니다.

[봉준호/영화감독 : "그 자막의 장벽을... 장벽도 아니죠. 그 1인치 되는 장벽을 뛰어넘으면 여러분들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비영어권 영화에 배타적인 할리우드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강유정/영화평론가 : "(자막 영화라는 말은) 일종의 멸칭(경멸적)인거죠. 되려 자막 영화는 예술성 있는 영화, 지루한 영화 그래서 영화광이나 보는 영화라는 의미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 기생충은 빈부 격차와 계층간 갈등이라는 세계 보편적 문제를 해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봉준호/영화감독 : "이 영화는 결국은 가난한 자와 부자, 자본주의에 관한 이야기인데 미국이야말로 자본주의의 심장 같은 나라니까 논쟁적이고 뜨거운 반응이 있을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결국 이 영화는 평론가 뿐 아니라 관객에게도 통했습니다.

북미 개봉 역대 한국 영화 흥행 1위는 물론 40여 개국에 개봉돼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경만/영화진흥위원회 국제교류전략팀장 : "이번 기생충 이후에 (미국에서) 한국영화가 흥행이 가능하다는 콘텐츠가 되면서 아마 수출액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생충은 골든글로브 외에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시드니영화제 최고상 등 이미 50개 가까운 해외 트로피를 들어올렸습니다.

이제 남은 건, 다음 달 개최될 '아카데미'입니다.

90년 동안 단 한 번도 외국어로 된 영화엔 최고 영예인 작품상을 주지 않았던 아카데미.

기생충이 그 장벽을 넘어 외국어영화상 뿐 아니라 작품상까지 거머쥘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봉준호 감독 “자막의 장벽을 뛰어넘으라”한 까닭은?
    • 입력 2020-01-07 06:27:15
    • 수정2020-01-07 06:37:06
    뉴스광장 1부
[앵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미국의 양대 영화제 중 하나인 골든글로브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영화 100년사에 처음 있는 쾌거인데요.

봉 감독은 배타적인 할리우드의 문턱을 세계 공통의 '영화'라는 언어로 뛰어넘었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봉준호 감독은 수상 소감으로 자막의 장벽을 뛰어넘으라고 말했습니다.

[봉준호/영화감독 : "그 자막의 장벽을... 장벽도 아니죠. 그 1인치 되는 장벽을 뛰어넘으면 여러분들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비영어권 영화에 배타적인 할리우드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강유정/영화평론가 : "(자막 영화라는 말은) 일종의 멸칭(경멸적)인거죠. 되려 자막 영화는 예술성 있는 영화, 지루한 영화 그래서 영화광이나 보는 영화라는 의미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 기생충은 빈부 격차와 계층간 갈등이라는 세계 보편적 문제를 해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봉준호/영화감독 : "이 영화는 결국은 가난한 자와 부자, 자본주의에 관한 이야기인데 미국이야말로 자본주의의 심장 같은 나라니까 논쟁적이고 뜨거운 반응이 있을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결국 이 영화는 평론가 뿐 아니라 관객에게도 통했습니다.

북미 개봉 역대 한국 영화 흥행 1위는 물론 40여 개국에 개봉돼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경만/영화진흥위원회 국제교류전략팀장 : "이번 기생충 이후에 (미국에서) 한국영화가 흥행이 가능하다는 콘텐츠가 되면서 아마 수출액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생충은 골든글로브 외에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시드니영화제 최고상 등 이미 50개 가까운 해외 트로피를 들어올렸습니다.

이제 남은 건, 다음 달 개최될 '아카데미'입니다.

90년 동안 단 한 번도 외국어로 된 영화엔 최고 영예인 작품상을 주지 않았던 아카데미.

기생충이 그 장벽을 넘어 외국어영화상 뿐 아니라 작품상까지 거머쥘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