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보복에 정부 비상…교민 긴급 안전 점검

입력 2020.01.08 (12:17) 수정 2020.01.08 (13: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란이 이라크에 있는 미군 기지에 미사일 공격을 가하면서 우리 정부도 비상에 걸렸습니다.

일단 우리 교민 안전을 확인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경진 기자! 이라크에는 우리 교민이 몇 명이 머물고 있나요?

[리포트]

이란이 보복을 가한 이라크에는 현재 우리 국민 약 1,600명이 체류 중입니다.

이라크가 여행금지국가여서 예외적 여권사용허가를 받은 천570여 명이 체류 중입니다.

대부분 각종 프로젝트를 수주한 대형 건설사 직원입니다.

현대건설과 SK건설 등이 진출한 카르발라 정유공장에 7백여 명이 있고, 한화건설이 진행 중인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현장에 500여 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이 밖에 스웨이라 이라크 공군시설과 바스라 항구 방파제 건설 현장 등에도 우리 국민이 체류 중입니다.

외교부는 교민들이 머무는 지역이 이란의 공습을 받은 미군 기지와는 150km 이상 떨어져 있어서 당장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란에는 우리 국민 290여 명이 있고, 또 이란의 추가 보복 공격이 우려되는 레바논과 이스라엘에도 각각 150여 명과 700여 명의 한국인이 체류 중입니다.

이란과 이라크에선 현지 교민이 신속히 철수할 수 있도록 선박과 항공편 등 이동 수단의 준비를 마쳤고, 실제 철수 상황을 염두엔 둔 점검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란의 보복 공격 가능성이 있는 레바논과 이스라엘서도 단계별 교민 철수 계획이 마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상황을 지켜본 뒤 교민 철수 권고 등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조세영 외교부 1차관 주관으로 24시간 긴급 대응 체제를 유지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정부 종합 대책회의를 소집해 향후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외교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란 보복에 정부 비상…교민 긴급 안전 점검
    • 입력 2020-01-08 12:20:41
    • 수정2020-01-08 13:07:21
    뉴스 12
[앵커]

이란이 이라크에 있는 미군 기지에 미사일 공격을 가하면서 우리 정부도 비상에 걸렸습니다.

일단 우리 교민 안전을 확인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경진 기자! 이라크에는 우리 교민이 몇 명이 머물고 있나요?

[리포트]

이란이 보복을 가한 이라크에는 현재 우리 국민 약 1,600명이 체류 중입니다.

이라크가 여행금지국가여서 예외적 여권사용허가를 받은 천570여 명이 체류 중입니다.

대부분 각종 프로젝트를 수주한 대형 건설사 직원입니다.

현대건설과 SK건설 등이 진출한 카르발라 정유공장에 7백여 명이 있고, 한화건설이 진행 중인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현장에 500여 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이 밖에 스웨이라 이라크 공군시설과 바스라 항구 방파제 건설 현장 등에도 우리 국민이 체류 중입니다.

외교부는 교민들이 머무는 지역이 이란의 공습을 받은 미군 기지와는 150km 이상 떨어져 있어서 당장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란에는 우리 국민 290여 명이 있고, 또 이란의 추가 보복 공격이 우려되는 레바논과 이스라엘에도 각각 150여 명과 700여 명의 한국인이 체류 중입니다.

이란과 이라크에선 현지 교민이 신속히 철수할 수 있도록 선박과 항공편 등 이동 수단의 준비를 마쳤고, 실제 철수 상황을 염두엔 둔 점검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란의 보복 공격 가능성이 있는 레바논과 이스라엘서도 단계별 교민 철수 계획이 마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상황을 지켜본 뒤 교민 철수 권고 등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조세영 외교부 1차관 주관으로 24시간 긴급 대응 체제를 유지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정부 종합 대책회의를 소집해 향후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외교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