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돌봄교실 확대…“양보다 질 높여야”
입력 2020.01.08 (19:28)
수정 2020.01.08 (1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방과 후나 방학 기간에도 학생들을 학교에서 돌봐주는 '초등돌봄교실'을 정부가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 자녀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지만, 돌봄의 질을 좌우할 돌봄 전담사들의 처우개선 문제는 시급히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일반교실과 구분되는 별도의 돌봄교실 5개 학급이 겨울방학 동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용 중인 학생은 120명, 돌봄전담사는 7명입니다.
전담사 한 명당 20명 안팎의 학생을 맡고 있습니다.
이처럼 방학이나 방과 후 돌봄을 원하는 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돌봄교실은 이용 학생이 매년 늘어 지난해 29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교육부는 올해 학생 만 4천여 명이 추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돌봄교실을 7백실 늘리기로 했습니다.
[오응석/교육부 방과후돌봄정책과장 : "(작년에) 대기자가 만3천명 정도 발생했거든요. 금년에도 대기자 뿐 아니라 돌봄교실 인지도가 향상되면서 더 많은 신청자가 몰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제는 돌봄의 질입니다.
돌봄전담사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은 방치한 채 교실 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현재 돌봄전담사는 대부분 시간제로, 학생들을 돌보는 4시간만 노동시간으로 인정됩니다.
때문에 수업 준비에 시간을 할애하기 어렵고, 초과 근무를 해도 수당을 받지 못합니다.
4시간 이외의 돌봄 시간은 자원봉사자들이 충당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지역 전담사들이 교육청 앞에서 7개월 넘게 천막농성을 했지만, 휴게시간 30분을 유급으로 인정받는데 그쳤습니다.
[홍순영/돌봄전담사 : "25명 내외의 아이들을 저희가 돌보고 있거든요. 그렇지만 전일제에게는 8시간이 확보돼 있는 거고. 시간제는 4시간 안에 그 모든일을 다 하라는 거거든요 압축적으로."]
서울시교육청 시민청원에도 시간제 전담사들의 부족한 노동시간과 인력 부족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
교육부는 올해부터 시,도교육청과 전담사들의 노동시간 연장을 적극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방과 후나 방학 기간에도 학생들을 학교에서 돌봐주는 '초등돌봄교실'을 정부가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 자녀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지만, 돌봄의 질을 좌우할 돌봄 전담사들의 처우개선 문제는 시급히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일반교실과 구분되는 별도의 돌봄교실 5개 학급이 겨울방학 동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용 중인 학생은 120명, 돌봄전담사는 7명입니다.
전담사 한 명당 20명 안팎의 학생을 맡고 있습니다.
이처럼 방학이나 방과 후 돌봄을 원하는 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돌봄교실은 이용 학생이 매년 늘어 지난해 29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교육부는 올해 학생 만 4천여 명이 추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돌봄교실을 7백실 늘리기로 했습니다.
[오응석/교육부 방과후돌봄정책과장 : "(작년에) 대기자가 만3천명 정도 발생했거든요. 금년에도 대기자 뿐 아니라 돌봄교실 인지도가 향상되면서 더 많은 신청자가 몰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제는 돌봄의 질입니다.
돌봄전담사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은 방치한 채 교실 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현재 돌봄전담사는 대부분 시간제로, 학생들을 돌보는 4시간만 노동시간으로 인정됩니다.
때문에 수업 준비에 시간을 할애하기 어렵고, 초과 근무를 해도 수당을 받지 못합니다.
4시간 이외의 돌봄 시간은 자원봉사자들이 충당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지역 전담사들이 교육청 앞에서 7개월 넘게 천막농성을 했지만, 휴게시간 30분을 유급으로 인정받는데 그쳤습니다.
[홍순영/돌봄전담사 : "25명 내외의 아이들을 저희가 돌보고 있거든요. 그렇지만 전일제에게는 8시간이 확보돼 있는 거고. 시간제는 4시간 안에 그 모든일을 다 하라는 거거든요 압축적으로."]
서울시교육청 시민청원에도 시간제 전담사들의 부족한 노동시간과 인력 부족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
교육부는 올해부터 시,도교육청과 전담사들의 노동시간 연장을 적극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초등돌봄교실 확대…“양보다 질 높여야”
-
- 입력 2020-01-08 19:32:20
- 수정2020-01-08 19:49:04
[앵커]
방과 후나 방학 기간에도 학생들을 학교에서 돌봐주는 '초등돌봄교실'을 정부가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 자녀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지만, 돌봄의 질을 좌우할 돌봄 전담사들의 처우개선 문제는 시급히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일반교실과 구분되는 별도의 돌봄교실 5개 학급이 겨울방학 동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용 중인 학생은 120명, 돌봄전담사는 7명입니다.
전담사 한 명당 20명 안팎의 학생을 맡고 있습니다.
이처럼 방학이나 방과 후 돌봄을 원하는 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돌봄교실은 이용 학생이 매년 늘어 지난해 29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교육부는 올해 학생 만 4천여 명이 추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돌봄교실을 7백실 늘리기로 했습니다.
[오응석/교육부 방과후돌봄정책과장 : "(작년에) 대기자가 만3천명 정도 발생했거든요. 금년에도 대기자 뿐 아니라 돌봄교실 인지도가 향상되면서 더 많은 신청자가 몰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제는 돌봄의 질입니다.
돌봄전담사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은 방치한 채 교실 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현재 돌봄전담사는 대부분 시간제로, 학생들을 돌보는 4시간만 노동시간으로 인정됩니다.
때문에 수업 준비에 시간을 할애하기 어렵고, 초과 근무를 해도 수당을 받지 못합니다.
4시간 이외의 돌봄 시간은 자원봉사자들이 충당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지역 전담사들이 교육청 앞에서 7개월 넘게 천막농성을 했지만, 휴게시간 30분을 유급으로 인정받는데 그쳤습니다.
[홍순영/돌봄전담사 : "25명 내외의 아이들을 저희가 돌보고 있거든요. 그렇지만 전일제에게는 8시간이 확보돼 있는 거고. 시간제는 4시간 안에 그 모든일을 다 하라는 거거든요 압축적으로."]
서울시교육청 시민청원에도 시간제 전담사들의 부족한 노동시간과 인력 부족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
교육부는 올해부터 시,도교육청과 전담사들의 노동시간 연장을 적극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방과 후나 방학 기간에도 학생들을 학교에서 돌봐주는 '초등돌봄교실'을 정부가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 자녀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지만, 돌봄의 질을 좌우할 돌봄 전담사들의 처우개선 문제는 시급히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일반교실과 구분되는 별도의 돌봄교실 5개 학급이 겨울방학 동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용 중인 학생은 120명, 돌봄전담사는 7명입니다.
전담사 한 명당 20명 안팎의 학생을 맡고 있습니다.
이처럼 방학이나 방과 후 돌봄을 원하는 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돌봄교실은 이용 학생이 매년 늘어 지난해 29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교육부는 올해 학생 만 4천여 명이 추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돌봄교실을 7백실 늘리기로 했습니다.
[오응석/교육부 방과후돌봄정책과장 : "(작년에) 대기자가 만3천명 정도 발생했거든요. 금년에도 대기자 뿐 아니라 돌봄교실 인지도가 향상되면서 더 많은 신청자가 몰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제는 돌봄의 질입니다.
돌봄전담사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은 방치한 채 교실 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현재 돌봄전담사는 대부분 시간제로, 학생들을 돌보는 4시간만 노동시간으로 인정됩니다.
때문에 수업 준비에 시간을 할애하기 어렵고, 초과 근무를 해도 수당을 받지 못합니다.
4시간 이외의 돌봄 시간은 자원봉사자들이 충당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지역 전담사들이 교육청 앞에서 7개월 넘게 천막농성을 했지만, 휴게시간 30분을 유급으로 인정받는데 그쳤습니다.
[홍순영/돌봄전담사 : "25명 내외의 아이들을 저희가 돌보고 있거든요. 그렇지만 전일제에게는 8시간이 확보돼 있는 거고. 시간제는 4시간 안에 그 모든일을 다 하라는 거거든요 압축적으로."]
서울시교육청 시민청원에도 시간제 전담사들의 부족한 노동시간과 인력 부족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
교육부는 올해부터 시,도교육청과 전담사들의 노동시간 연장을 적극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