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유산 '드림프로그램'…"신나요"
입력 2020.01.08 (21:51)
수정 2020.01.08 (23: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평창올림픽 성공개최와 함께
겨울스포츠 저변 확대에
힘을 보태온 드림프로그램이
16회째를 맞이했습니다.
프로그램 참가자 일부는
정식 선수로 성장해
강원도를 다시 찾아왔습니다.
강규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난간을 잡고
조심스레 발걸음을 옮깁니다.
난생 처음 스케이트를 신고
얼음판 위에 올라본
아프리카 청소년들입니다.
눈과 얼음이 낯선
외국 청소년들에게
겨울스포츠 체험의 장이 되어 온
드림프로그램.
올해는 29개 나라에서
백23명이 참가했습니다.
나사지 파투마[인터뷰]
/ 드림프로그램 참가(우간다)
"우간다에 돌아가서 친구들에게 말할
거예요. 드림프로그램에 참가하면 정말
재미있고 외국 친구들과 만날 수 있는 게
즐겁다고…."
특별한 손님들도
강원도 스키장을 다시 찾아왔습니다.
드림프로그램을 통해
정식 선수로 성장한 참가자 세 명이
멘토 역할을 자청했습니다.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후배 참가자들에게 공유하며
새로운 추억을 쌓습니다.
레이첼 엘리자베스/ 남아공 알파인스키선수(2014년 드림프로그램 참가)[인터뷰]
"정말 많은 추억이 떠올라요. 예전에 왔을
때는 작은 꼬마였거든요. 이번에는 다른
참가자들을 이끌어주고, 정말 신나요."
16회째를 맞이한
드림프로그램은
올해부터 평창기념재단에서
행사를 주관합니다.
평창올림픽 개최에 힘을 보탠
드림프로그램을
유산사업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정낙규[인터뷰]
/ 2018평창기념재단 유산사업팀 프로젝트 매니저
"드림프로그램을 통해서 많은 선수들이
국제대회에서 활약을 하고 있는데요. 더
나아가서 미래 올림픽에서 머지않아
시상대에 올라가는 저희 참가자들의 모습을
보는 게 저희 목표입니다."
겨울스포츠를 즐기며
한국의 문화 체험까지 함께하는
이번 드림프로그램은
오는 18일까지 이어집니다.
KBS뉴스 강규엽입니다(끝).
평창올림픽 성공개최와 함께
겨울스포츠 저변 확대에
힘을 보태온 드림프로그램이
16회째를 맞이했습니다.
프로그램 참가자 일부는
정식 선수로 성장해
강원도를 다시 찾아왔습니다.
강규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난간을 잡고
조심스레 발걸음을 옮깁니다.
난생 처음 스케이트를 신고
얼음판 위에 올라본
아프리카 청소년들입니다.
눈과 얼음이 낯선
외국 청소년들에게
겨울스포츠 체험의 장이 되어 온
드림프로그램.
올해는 29개 나라에서
백23명이 참가했습니다.
나사지 파투마[인터뷰]
/ 드림프로그램 참가(우간다)
"우간다에 돌아가서 친구들에게 말할
거예요. 드림프로그램에 참가하면 정말
재미있고 외국 친구들과 만날 수 있는 게
즐겁다고…."
특별한 손님들도
강원도 스키장을 다시 찾아왔습니다.
드림프로그램을 통해
정식 선수로 성장한 참가자 세 명이
멘토 역할을 자청했습니다.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후배 참가자들에게 공유하며
새로운 추억을 쌓습니다.
레이첼 엘리자베스/ 남아공 알파인스키선수(2014년 드림프로그램 참가)[인터뷰]
"정말 많은 추억이 떠올라요. 예전에 왔을
때는 작은 꼬마였거든요. 이번에는 다른
참가자들을 이끌어주고, 정말 신나요."
16회째를 맞이한
드림프로그램은
올해부터 평창기념재단에서
행사를 주관합니다.
평창올림픽 개최에 힘을 보탠
드림프로그램을
유산사업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정낙규[인터뷰]
/ 2018평창기념재단 유산사업팀 프로젝트 매니저
"드림프로그램을 통해서 많은 선수들이
국제대회에서 활약을 하고 있는데요. 더
나아가서 미래 올림픽에서 머지않아
시상대에 올라가는 저희 참가자들의 모습을
보는 게 저희 목표입니다."
겨울스포츠를 즐기며
한국의 문화 체험까지 함께하는
이번 드림프로그램은
오는 18일까지 이어집니다.
KBS뉴스 강규엽입니다(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림픽 유산 '드림프로그램'…"신나요"
-
- 입력 2020-01-08 21:51:11
- 수정2020-01-08 23:13:28
[앵커멘트]
평창올림픽 성공개최와 함께
겨울스포츠 저변 확대에
힘을 보태온 드림프로그램이
16회째를 맞이했습니다.
프로그램 참가자 일부는
정식 선수로 성장해
강원도를 다시 찾아왔습니다.
강규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난간을 잡고
조심스레 발걸음을 옮깁니다.
난생 처음 스케이트를 신고
얼음판 위에 올라본
아프리카 청소년들입니다.
눈과 얼음이 낯선
외국 청소년들에게
겨울스포츠 체험의 장이 되어 온
드림프로그램.
올해는 29개 나라에서
백23명이 참가했습니다.
나사지 파투마[인터뷰]
/ 드림프로그램 참가(우간다)
"우간다에 돌아가서 친구들에게 말할
거예요. 드림프로그램에 참가하면 정말
재미있고 외국 친구들과 만날 수 있는 게
즐겁다고…."
특별한 손님들도
강원도 스키장을 다시 찾아왔습니다.
드림프로그램을 통해
정식 선수로 성장한 참가자 세 명이
멘토 역할을 자청했습니다.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후배 참가자들에게 공유하며
새로운 추억을 쌓습니다.
레이첼 엘리자베스/ 남아공 알파인스키선수(2014년 드림프로그램 참가)[인터뷰]
"정말 많은 추억이 떠올라요. 예전에 왔을
때는 작은 꼬마였거든요. 이번에는 다른
참가자들을 이끌어주고, 정말 신나요."
16회째를 맞이한
드림프로그램은
올해부터 평창기념재단에서
행사를 주관합니다.
평창올림픽 개최에 힘을 보탠
드림프로그램을
유산사업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정낙규[인터뷰]
/ 2018평창기념재단 유산사업팀 프로젝트 매니저
"드림프로그램을 통해서 많은 선수들이
국제대회에서 활약을 하고 있는데요. 더
나아가서 미래 올림픽에서 머지않아
시상대에 올라가는 저희 참가자들의 모습을
보는 게 저희 목표입니다."
겨울스포츠를 즐기며
한국의 문화 체험까지 함께하는
이번 드림프로그램은
오는 18일까지 이어집니다.
KBS뉴스 강규엽입니다(끝).
-
-
강규엽 기자 basic@kbs.co.kr
강규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