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헬기, 안전 장치 태부족…사고 재발 막으려면?
입력 2020.01.09 (07:37)
수정 2020.01.09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응급헬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인력과 장비도 턱없이 모자란 형편인데요.
사선을 넘나들며 인명을 구조하는 헬기 조종사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안이 필요할지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헬기는 비행기와 달리 지상에서 이착륙을 돕는 관제 시스템이 없습니다.
뜨고 내리는 위치와 경로, 기상조건 확인이 그만큼 중요하지만 공항이 아닌 곳은 정확한 기상정보부터 확인이 어렵습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도서 지역은 구두를 통해 가지고 현지에 있는 파출소나 전문적이지 않은 분들의 정보를 가지고 임무를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죠."]
궁여지책으로 고속도로 CCTV를 참고하기도 합니다.
[김성운/KBS 1호 헬기 조종사 : "국도의 CCTV 영상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관측 장비나 인력을 보강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무인 기상 관측 장비나 CCTV나 웹캠 같은 것도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눈에 의존하는 시계비행이 대부분이지만, 안전장치는 부족합니다.
기상상황을 실시간 확인하는 기상레이더나 공중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또 지상 장애물 접근 때 경고하는 장치 블랙박스 등이 필요하지만, 네 가지 안전장비를 모두 갖춘 건 소방과 해경 헬기 49대 중 9대뿐입니다.
또 소방헬기의 경우 직제상 필요한 조종사와 정비사만 2백 90명인데 빈자리가 80명이 넘습니다.
정확한 운항 정보 파악과 비행계획 수립으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항관리사는 충원할 엄두도 못 내는 실정입니다.
[최연철/한서대 헬리콥터학과 교수 : "조종사, 구조사는 조종과 구조 임무를 수행을 하고, 운항관리사는 경로라든지 비행기의 위험요소라든지 이런 부분을 파악할 수 있으면 안전하게 비행이 될 것으로..."]
안전 시스템은 부족하고, 언제까지 눈과 판단에 의존해야 할지 조종사들도 답답합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이게 남 일이 아니구나.' 언젠가는 내가, 나한테도 닥쳐올 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그렇게 하게 되면 아 이거를 계속해야 되는지에 대한 회의감도 사실은 많이 들어요."]
국민들의 생명을 구하는 응급헬기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피해도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응급헬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인력과 장비도 턱없이 모자란 형편인데요.
사선을 넘나들며 인명을 구조하는 헬기 조종사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안이 필요할지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헬기는 비행기와 달리 지상에서 이착륙을 돕는 관제 시스템이 없습니다.
뜨고 내리는 위치와 경로, 기상조건 확인이 그만큼 중요하지만 공항이 아닌 곳은 정확한 기상정보부터 확인이 어렵습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도서 지역은 구두를 통해 가지고 현지에 있는 파출소나 전문적이지 않은 분들의 정보를 가지고 임무를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죠."]
궁여지책으로 고속도로 CCTV를 참고하기도 합니다.
[김성운/KBS 1호 헬기 조종사 : "국도의 CCTV 영상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관측 장비나 인력을 보강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무인 기상 관측 장비나 CCTV나 웹캠 같은 것도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눈에 의존하는 시계비행이 대부분이지만, 안전장치는 부족합니다.
기상상황을 실시간 확인하는 기상레이더나 공중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또 지상 장애물 접근 때 경고하는 장치 블랙박스 등이 필요하지만, 네 가지 안전장비를 모두 갖춘 건 소방과 해경 헬기 49대 중 9대뿐입니다.
또 소방헬기의 경우 직제상 필요한 조종사와 정비사만 2백 90명인데 빈자리가 80명이 넘습니다.
정확한 운항 정보 파악과 비행계획 수립으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항관리사는 충원할 엄두도 못 내는 실정입니다.
[최연철/한서대 헬리콥터학과 교수 : "조종사, 구조사는 조종과 구조 임무를 수행을 하고, 운항관리사는 경로라든지 비행기의 위험요소라든지 이런 부분을 파악할 수 있으면 안전하게 비행이 될 것으로..."]
안전 시스템은 부족하고, 언제까지 눈과 판단에 의존해야 할지 조종사들도 답답합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이게 남 일이 아니구나.' 언젠가는 내가, 나한테도 닥쳐올 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그렇게 하게 되면 아 이거를 계속해야 되는지에 대한 회의감도 사실은 많이 들어요."]
국민들의 생명을 구하는 응급헬기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피해도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응급헬기, 안전 장치 태부족…사고 재발 막으려면?
-
- 입력 2020-01-09 07:40:25
- 수정2020-01-09 07:49:18
[앵커]
응급헬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인력과 장비도 턱없이 모자란 형편인데요.
사선을 넘나들며 인명을 구조하는 헬기 조종사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안이 필요할지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헬기는 비행기와 달리 지상에서 이착륙을 돕는 관제 시스템이 없습니다.
뜨고 내리는 위치와 경로, 기상조건 확인이 그만큼 중요하지만 공항이 아닌 곳은 정확한 기상정보부터 확인이 어렵습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도서 지역은 구두를 통해 가지고 현지에 있는 파출소나 전문적이지 않은 분들의 정보를 가지고 임무를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죠."]
궁여지책으로 고속도로 CCTV를 참고하기도 합니다.
[김성운/KBS 1호 헬기 조종사 : "국도의 CCTV 영상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관측 장비나 인력을 보강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무인 기상 관측 장비나 CCTV나 웹캠 같은 것도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눈에 의존하는 시계비행이 대부분이지만, 안전장치는 부족합니다.
기상상황을 실시간 확인하는 기상레이더나 공중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또 지상 장애물 접근 때 경고하는 장치 블랙박스 등이 필요하지만, 네 가지 안전장비를 모두 갖춘 건 소방과 해경 헬기 49대 중 9대뿐입니다.
또 소방헬기의 경우 직제상 필요한 조종사와 정비사만 2백 90명인데 빈자리가 80명이 넘습니다.
정확한 운항 정보 파악과 비행계획 수립으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항관리사는 충원할 엄두도 못 내는 실정입니다.
[최연철/한서대 헬리콥터학과 교수 : "조종사, 구조사는 조종과 구조 임무를 수행을 하고, 운항관리사는 경로라든지 비행기의 위험요소라든지 이런 부분을 파악할 수 있으면 안전하게 비행이 될 것으로..."]
안전 시스템은 부족하고, 언제까지 눈과 판단에 의존해야 할지 조종사들도 답답합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이게 남 일이 아니구나.' 언젠가는 내가, 나한테도 닥쳐올 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그렇게 하게 되면 아 이거를 계속해야 되는지에 대한 회의감도 사실은 많이 들어요."]
국민들의 생명을 구하는 응급헬기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피해도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응급헬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인력과 장비도 턱없이 모자란 형편인데요.
사선을 넘나들며 인명을 구조하는 헬기 조종사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안이 필요할지 이슬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헬기는 비행기와 달리 지상에서 이착륙을 돕는 관제 시스템이 없습니다.
뜨고 내리는 위치와 경로, 기상조건 확인이 그만큼 중요하지만 공항이 아닌 곳은 정확한 기상정보부터 확인이 어렵습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도서 지역은 구두를 통해 가지고 현지에 있는 파출소나 전문적이지 않은 분들의 정보를 가지고 임무를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죠."]
궁여지책으로 고속도로 CCTV를 참고하기도 합니다.
[김성운/KBS 1호 헬기 조종사 : "국도의 CCTV 영상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관측 장비나 인력을 보강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무인 기상 관측 장비나 CCTV나 웹캠 같은 것도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눈에 의존하는 시계비행이 대부분이지만, 안전장치는 부족합니다.
기상상황을 실시간 확인하는 기상레이더나 공중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또 지상 장애물 접근 때 경고하는 장치 블랙박스 등이 필요하지만, 네 가지 안전장비를 모두 갖춘 건 소방과 해경 헬기 49대 중 9대뿐입니다.
또 소방헬기의 경우 직제상 필요한 조종사와 정비사만 2백 90명인데 빈자리가 80명이 넘습니다.
정확한 운항 정보 파악과 비행계획 수립으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항관리사는 충원할 엄두도 못 내는 실정입니다.
[최연철/한서대 헬리콥터학과 교수 : "조종사, 구조사는 조종과 구조 임무를 수행을 하고, 운항관리사는 경로라든지 비행기의 위험요소라든지 이런 부분을 파악할 수 있으면 안전하게 비행이 될 것으로..."]
안전 시스템은 부족하고, 언제까지 눈과 판단에 의존해야 할지 조종사들도 답답합니다.
[현직 응급헬기 조종사/음성변조 : "'이게 남 일이 아니구나.' 언젠가는 내가, 나한테도 닥쳐올 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그렇게 하게 되면 아 이거를 계속해야 되는지에 대한 회의감도 사실은 많이 들어요."]
국민들의 생명을 구하는 응급헬기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피해도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
-
이슬기 기자 wakeup@kbs.co.kr
이슬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