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시행

입력 2020.01.09 (11:12) 수정 2020.01.09 (1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시행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올해 전국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대상지 25곳에서 시행합니다.

농식품부는 퇴비와 비료의 과잉 살포로 토양 속에 질소와 인 등의 지나치게 축적되는 등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이번 사업이 시작됐으며, 올해는 농업인들의 인식을 개선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존 지침을 개선해 가이드라인을 내놓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은 현장지원체계 구축 등 사업추진 역량 강화 지원과 사업시행계획 수립·변경 심의 절차 신설, 농업환경보전 활동 프로그램 운영·관리 강화 등입니다.

특히 사업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해, 국비지원 비율을 기존 100%에서 50%로 축소해 지자체의 관심을 높이고, 사업대상지 별로 사업참여 주민 갈등 조정과 농업환경 진단, 사업방향 기획·검토 등을 총괄하는 전문가를 위촉합니다.

또, 사업성과 분석 등을 위해 농업환경 분야별 주기적 관찰도 이뤄집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가이드라인이 본 사업 추진에서 사업성과를 높이고 나아가 농업인들의 농업환경보전 인식 제고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가이드라인이 현장에서 원활하게 시행될 수 될 수 있도록 세심히 살피고, 지자체․농업인 등과 지속해서 소통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사업에 대한 농업인들과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업의 도입취지, 농업환경의 의미 및 주요추진 사항 등으로 구성된 4분 분량의 홍보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등에 공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식품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시행
    • 입력 2020-01-09 11:12:17
    • 수정2020-01-09 11:16:43
    경제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시행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올해 전국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대상지 25곳에서 시행합니다.

농식품부는 퇴비와 비료의 과잉 살포로 토양 속에 질소와 인 등의 지나치게 축적되는 등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이번 사업이 시작됐으며, 올해는 농업인들의 인식을 개선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존 지침을 개선해 가이드라인을 내놓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은 현장지원체계 구축 등 사업추진 역량 강화 지원과 사업시행계획 수립·변경 심의 절차 신설, 농업환경보전 활동 프로그램 운영·관리 강화 등입니다.

특히 사업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해, 국비지원 비율을 기존 100%에서 50%로 축소해 지자체의 관심을 높이고, 사업대상지 별로 사업참여 주민 갈등 조정과 농업환경 진단, 사업방향 기획·검토 등을 총괄하는 전문가를 위촉합니다.

또, 사업성과 분석 등을 위해 농업환경 분야별 주기적 관찰도 이뤄집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가이드라인이 본 사업 추진에서 사업성과를 높이고 나아가 농업인들의 농업환경보전 인식 제고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가이드라인이 현장에서 원활하게 시행될 수 될 수 있도록 세심히 살피고, 지자체․농업인 등과 지속해서 소통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사업에 대한 농업인들과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업의 도입취지, 농업환경의 의미 및 주요추진 사항 등으로 구성된 4분 분량의 홍보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등에 공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