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중동 불안에도 금융기관 건전성 악화 우려 크지 않아”
입력 2020.01.09 (17:00)
수정 2020.01.09 (17: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9일 "최근 중동 지역 불안으로 변동성이 커졌지만, 향후 급격한 자금 유출이나 국내 금융기관의 건전성, 수익성 악화 우려는 크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손 부위원장은 오늘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반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냉철하게 상황을 지켜보고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며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과 대(對) 이란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등을 고려했을 때 우려가 크지는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의 순대외채권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4천798억 달러,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4천88억 달러로, 정부는 이들 수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대외 건전성이 견고한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손 부위원장은 다만 "전문가들은 미국-이란 긴장이 확전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지만, 중동 불안이 계속되면 유가 상승과 수출 감소 등 실물 부문을 통해 금융시장이 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금융시장반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금융 안정에 온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융시장반은 정부가 미국과 이란 사이 벌어진 군사적 갈등에 대응하고자 마련한 관계부처 합동대응반 중 하나입니다. 이밖에 국제유가·실물경제·해외건설·해운물류반까지 총 5개 반이 구성됐습니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JP모건, 대신증권 관계자들이 함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손 부위원장은 오늘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반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냉철하게 상황을 지켜보고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며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과 대(對) 이란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등을 고려했을 때 우려가 크지는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의 순대외채권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4천798억 달러,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4천88억 달러로, 정부는 이들 수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대외 건전성이 견고한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손 부위원장은 다만 "전문가들은 미국-이란 긴장이 확전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지만, 중동 불안이 계속되면 유가 상승과 수출 감소 등 실물 부문을 통해 금융시장이 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금융시장반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금융 안정에 온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융시장반은 정부가 미국과 이란 사이 벌어진 군사적 갈등에 대응하고자 마련한 관계부처 합동대응반 중 하나입니다. 이밖에 국제유가·실물경제·해외건설·해운물류반까지 총 5개 반이 구성됐습니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JP모건, 대신증권 관계자들이 함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융위 “중동 불안에도 금융기관 건전성 악화 우려 크지 않아”
-
- 입력 2020-01-09 17:00:25
- 수정2020-01-09 17:17:33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9일 "최근 중동 지역 불안으로 변동성이 커졌지만, 향후 급격한 자금 유출이나 국내 금융기관의 건전성, 수익성 악화 우려는 크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손 부위원장은 오늘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반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냉철하게 상황을 지켜보고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며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과 대(對) 이란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등을 고려했을 때 우려가 크지는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의 순대외채권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4천798억 달러,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4천88억 달러로, 정부는 이들 수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대외 건전성이 견고한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손 부위원장은 다만 "전문가들은 미국-이란 긴장이 확전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지만, 중동 불안이 계속되면 유가 상승과 수출 감소 등 실물 부문을 통해 금융시장이 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금융시장반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금융 안정에 온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융시장반은 정부가 미국과 이란 사이 벌어진 군사적 갈등에 대응하고자 마련한 관계부처 합동대응반 중 하나입니다. 이밖에 국제유가·실물경제·해외건설·해운물류반까지 총 5개 반이 구성됐습니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JP모건, 대신증권 관계자들이 함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손 부위원장은 오늘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반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냉철하게 상황을 지켜보고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며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과 대(對) 이란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등을 고려했을 때 우려가 크지는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의 순대외채권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4천798억 달러,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4천88억 달러로, 정부는 이들 수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대외 건전성이 견고한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손 부위원장은 다만 "전문가들은 미국-이란 긴장이 확전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지만, 중동 불안이 계속되면 유가 상승과 수출 감소 등 실물 부문을 통해 금융시장이 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금융시장반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금융 안정에 온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융시장반은 정부가 미국과 이란 사이 벌어진 군사적 갈등에 대응하고자 마련한 관계부처 합동대응반 중 하나입니다. 이밖에 국제유가·실물경제·해외건설·해운물류반까지 총 5개 반이 구성됐습니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JP모건, 대신증권 관계자들이 함께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서영민 기자 seo0177@gmail.com
서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