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기 도시, 혁신의 비밀은?
입력 2020.01.09 (16:20)
수정 2020.01.10 (0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주력 제조업인
자동차와 조선업의 불황으로
경남은 실업과 인구 감소 등
최악의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위기를 겪고
부활에 성공한
스웨덴 말뫼와 스페인 빌바오시의
전 시장과 현 부시장이
창원을 찾았는데요.
그 비결을 김소영 기자가
직접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한때 조선업의 도시로 불리던
스웨덴 말뫼의 코쿰스 조선소.
1986년 문을 닫은 뒤
도시 전체 실업률은 22%까지
치솟았습니다.
20년 뒤 말뫼시는
일자리 6만 3천여 개가 새로 생겨나고,
유엔이 정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변신했습니다.
1994년부터 19년 동안
말뫼의 혁신을 이끈 일마 리팔루 전 시장.
재임 당시 친환경, IT 중심의
'지식도시'를 선언하고,
대학과 연구기관, 창업센터를
집중 육성했습니다.
젊은이들이 와서 일하고 공부하고,
오랫동안 머물러 사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전략이었습니다.
[인터뷰]일마 리팔루/말뫼 전 시장
"우리가 기조로 내세운 친환경이라는 기조는 특히 젊은 세대의 큰 환영을 받았습니다. 그들을 붙잡아 두기 위한 전략이었습니다."
구겐하임 미술관 등을 중심으로
한해 100만 명이 찾아드는
스페인 항구 도시 빌바오.
이곳 역시 1980년대
철강과 조선업이 몰락하면서,
실업률이 30%에 육박했고,
강 주변은 폐업한 공장에서 흘러든
오·폐수로 넘쳐났습니다.
빌바오는 죽음의 강을
생명의 강으로 바꾸기 위해
30년 동안 1조 7천억을 투입했습니다.
시민 건강권과 삶의 질을
최우선에 둔 선택이었습니다.
그 뒤 점차 인구가 늘기 시작해
지금은 20~30대 청년층이 34%를 차지하는
젊은 도시로 변신했습니다.
[인터뷰]빌바오 부시장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와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까, 그 고민 끝에 나온 것이 주민들의 삶의 질이었고 그것이 가장 중요한 화두입니다."
두 도시 모두
신산업을 유치하는 것만큼이나
젊은이들이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인터뷰]이원재/LAB 2050 대표
"이 도시에서 지속 가능하게 살아갈 수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지속했다는 것에 혁신의 성공 비결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실업과 고령화,
인구 유출의 위기에 놓인 경남이
이들 도시로부터 찾아낸 해법을
어떻게 현장에 적용하고,
또,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주력 제조업인
자동차와 조선업의 불황으로
경남은 실업과 인구 감소 등
최악의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위기를 겪고
부활에 성공한
스웨덴 말뫼와 스페인 빌바오시의
전 시장과 현 부시장이
창원을 찾았는데요.
그 비결을 김소영 기자가
직접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한때 조선업의 도시로 불리던
스웨덴 말뫼의 코쿰스 조선소.
1986년 문을 닫은 뒤
도시 전체 실업률은 22%까지
치솟았습니다.
20년 뒤 말뫼시는
일자리 6만 3천여 개가 새로 생겨나고,
유엔이 정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변신했습니다.
1994년부터 19년 동안
말뫼의 혁신을 이끈 일마 리팔루 전 시장.
재임 당시 친환경, IT 중심의
'지식도시'를 선언하고,
대학과 연구기관, 창업센터를
집중 육성했습니다.
젊은이들이 와서 일하고 공부하고,
오랫동안 머물러 사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전략이었습니다.
[인터뷰]일마 리팔루/말뫼 전 시장
"우리가 기조로 내세운 친환경이라는 기조는 특히 젊은 세대의 큰 환영을 받았습니다. 그들을 붙잡아 두기 위한 전략이었습니다."
구겐하임 미술관 등을 중심으로
한해 100만 명이 찾아드는
스페인 항구 도시 빌바오.
이곳 역시 1980년대
철강과 조선업이 몰락하면서,
실업률이 30%에 육박했고,
강 주변은 폐업한 공장에서 흘러든
오·폐수로 넘쳐났습니다.
빌바오는 죽음의 강을
생명의 강으로 바꾸기 위해
30년 동안 1조 7천억을 투입했습니다.
시민 건강권과 삶의 질을
최우선에 둔 선택이었습니다.
그 뒤 점차 인구가 늘기 시작해
지금은 20~30대 청년층이 34%를 차지하는
젊은 도시로 변신했습니다.
[인터뷰]빌바오 부시장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와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까, 그 고민 끝에 나온 것이 주민들의 삶의 질이었고 그것이 가장 중요한 화두입니다."
두 도시 모두
신산업을 유치하는 것만큼이나
젊은이들이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인터뷰]이원재/LAB 2050 대표
"이 도시에서 지속 가능하게 살아갈 수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지속했다는 것에 혁신의 성공 비결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실업과 고령화,
인구 유출의 위기에 놓인 경남이
이들 도시로부터 찾아낸 해법을
어떻게 현장에 적용하고,
또,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업위기 도시, 혁신의 비밀은?
-
- 입력 2020-01-10 00:27:07
- 수정2020-01-10 09:06:43

[앵커멘트]
주력 제조업인
자동차와 조선업의 불황으로
경남은 실업과 인구 감소 등
최악의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위기를 겪고
부활에 성공한
스웨덴 말뫼와 스페인 빌바오시의
전 시장과 현 부시장이
창원을 찾았는데요.
그 비결을 김소영 기자가
직접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한때 조선업의 도시로 불리던
스웨덴 말뫼의 코쿰스 조선소.
1986년 문을 닫은 뒤
도시 전체 실업률은 22%까지
치솟았습니다.
20년 뒤 말뫼시는
일자리 6만 3천여 개가 새로 생겨나고,
유엔이 정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변신했습니다.
1994년부터 19년 동안
말뫼의 혁신을 이끈 일마 리팔루 전 시장.
재임 당시 친환경, IT 중심의
'지식도시'를 선언하고,
대학과 연구기관, 창업센터를
집중 육성했습니다.
젊은이들이 와서 일하고 공부하고,
오랫동안 머물러 사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전략이었습니다.
[인터뷰]일마 리팔루/말뫼 전 시장
"우리가 기조로 내세운 친환경이라는 기조는 특히 젊은 세대의 큰 환영을 받았습니다. 그들을 붙잡아 두기 위한 전략이었습니다."
구겐하임 미술관 등을 중심으로
한해 100만 명이 찾아드는
스페인 항구 도시 빌바오.
이곳 역시 1980년대
철강과 조선업이 몰락하면서,
실업률이 30%에 육박했고,
강 주변은 폐업한 공장에서 흘러든
오·폐수로 넘쳐났습니다.
빌바오는 죽음의 강을
생명의 강으로 바꾸기 위해
30년 동안 1조 7천억을 투입했습니다.
시민 건강권과 삶의 질을
최우선에 둔 선택이었습니다.
그 뒤 점차 인구가 늘기 시작해
지금은 20~30대 청년층이 34%를 차지하는
젊은 도시로 변신했습니다.
[인터뷰]빌바오 부시장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와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까, 그 고민 끝에 나온 것이 주민들의 삶의 질이었고 그것이 가장 중요한 화두입니다."
두 도시 모두
신산업을 유치하는 것만큼이나
젊은이들이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인터뷰]이원재/LAB 2050 대표
"이 도시에서 지속 가능하게 살아갈 수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지속했다는 것에 혁신의 성공 비결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실업과 고령화,
인구 유출의 위기에 놓인 경남이
이들 도시로부터 찾아낸 해법을
어떻게 현장에 적용하고,
또,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