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영사콜센터 안내 문자’ 인천공항서 미리 받도록 추진

입력 2020.03.02 (17:07) 수정 2020.03.02 (17: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코로나19와 관련해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도록 '영사콜센터 안내문자'를 출발 전 인천공항에서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오늘 기자들과 만나 통신사와 이 같은 내용을 협의 중이라면서, 인천공항 권역에 들어가면 '도착비자 발급 중단 국가'와 같은 해외안전여행 관련 정보가 미리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전송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인도가 지난달 26일 도착비자 발급 중단을 통보하고 다음날인 27일부터 곧장 시행에 들어가,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출발한 사람들이 현지에서 어려움을 겪는 등 비슷한 불편이 잇따르고 있는 데 따른 조치입니다.

이 고위 당국자는 한국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또 다른 어떤 나라보다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검역을 하고 있어 확진자 수가 많다고 해외 각국에 설명하고 있다며, 이런 설명이 실효를 거두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발 입국을 내일부터 전면 금지하려던 국가 중 몰디브는 서울 지역에서 출발한 사람들의 입국을 허용하기로 방침을 바꿨고, 가봉은 14일간 지정병원 격리로 입국제한을 완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우즈베키스탄도 3월부터 양국 간 직항편을 잠정 중단하려다 주 1회 유지로 선회했다고 이 당국자는 덧붙였습니다.

이 당국자는 특히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대상 30개국 가운데 '입국 금지'를 결정한 곳은 홍콩,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등 세 곳뿐이라며, 자국의 의료체계와 방역능력에 자신 있는 나라의 경우에는 한국의 방역 상황을 이해하고 '입국 금지' 같은 강도 높은 결정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미 주요 수출국 30개국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는 방침을 변경해 현재 취업비자와 사업비자가 있는 한국인은 입국이 가능하고, 중국 중앙정부도 외교부의 항의와 설득 이후 각 지방정부에 '한국 총영사관과 적극 소통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앞으로 한국발 입국에 대한 제한 국가나 지역이 약간 더 늘 수는 있겠지만, 더이상 큰 폭의 변동은 없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교부, ‘영사콜센터 안내 문자’ 인천공항서 미리 받도록 추진
    • 입력 2020-03-02 17:07:21
    • 수정2020-03-02 17:17:36
    정치
정부가 코로나19와 관련해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도록 '영사콜센터 안내문자'를 출발 전 인천공항에서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오늘 기자들과 만나 통신사와 이 같은 내용을 협의 중이라면서, 인천공항 권역에 들어가면 '도착비자 발급 중단 국가'와 같은 해외안전여행 관련 정보가 미리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전송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인도가 지난달 26일 도착비자 발급 중단을 통보하고 다음날인 27일부터 곧장 시행에 들어가,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출발한 사람들이 현지에서 어려움을 겪는 등 비슷한 불편이 잇따르고 있는 데 따른 조치입니다.

이 고위 당국자는 한국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또 다른 어떤 나라보다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검역을 하고 있어 확진자 수가 많다고 해외 각국에 설명하고 있다며, 이런 설명이 실효를 거두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발 입국을 내일부터 전면 금지하려던 국가 중 몰디브는 서울 지역에서 출발한 사람들의 입국을 허용하기로 방침을 바꿨고, 가봉은 14일간 지정병원 격리로 입국제한을 완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우즈베키스탄도 3월부터 양국 간 직항편을 잠정 중단하려다 주 1회 유지로 선회했다고 이 당국자는 덧붙였습니다.

이 당국자는 특히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대상 30개국 가운데 '입국 금지'를 결정한 곳은 홍콩,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등 세 곳뿐이라며, 자국의 의료체계와 방역능력에 자신 있는 나라의 경우에는 한국의 방역 상황을 이해하고 '입국 금지' 같은 강도 높은 결정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미 주요 수출국 30개국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는 방침을 변경해 현재 취업비자와 사업비자가 있는 한국인은 입국이 가능하고, 중국 중앙정부도 외교부의 항의와 설득 이후 각 지방정부에 '한국 총영사관과 적극 소통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앞으로 한국발 입국에 대한 제한 국가나 지역이 약간 더 늘 수는 있겠지만, 더이상 큰 폭의 변동은 없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