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우체국 판매는 읍면 중심으로…“미리 확인하세요”

입력 2020.03.02 (17:07) 수정 2020.03.02 (17: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오늘(2일)부터 정부의 '마스크 및 손 소독제 긴급수급 조정조치'에 따라 우체국에서 마스크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오늘 공급되는 물량은 모두 65만 장입니다. KBS도 어제(1일) 뉴스9 등을 통해 '전국 우체국에서 오전 11시부터 한 사람당 최대 5장씩 모두 65만 장의 마스크를 판매한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기사에는 어떤 우체국이 제외되는지 포함되지 않아, 우체국을 찾았는데도 마스크를 살 수 없었다는 시청자들의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혼선을 빚은 점 사과드립니다.

마스크 공적 판매처에 해당하지 않는 부산 수영동 우체국에 붙은 공지. 읍면지역 우체국이 아니어서 마스크를 팔지 않는다며, 약국 중심으로 판매 중이라고 안내하고 있다.마스크 공적 판매처에 해당하지 않는 부산 수영동 우체국에 붙은 공지. 읍면지역 우체국이 아니어서 마스크를 팔지 않는다며, 약국 중심으로 판매 중이라고 안내하고 있다.

■ '일부 우체국'에서만 판매..'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 살펴야

오늘부터 판매를 시작한 우체국은 대구, 청도 지역과 전국 읍면에 있는 우체국 등 1,406곳이었습니다. 경인청, 부산청, 충청청, 전남청, 경북청, 전북청, 강원청, 제주청 등 8개 지방 우정청이 관리하는 읍면 지역 우체국입니다.

하지만 해당 지방 우정청에서 관리하는 모든 우체국에서 마스크를 파는 것은 아닙니다. 이 중 읍면에 있는 일부 우체국 1,406곳에서만 마스크를 살 수 있습니다. 실제 어제 우정사업본부 공지에 따르면, 인천 지역에서는 ▲덕적 ▲북도 ▲영흥 ▲연평 등 4개 우체국에서만 마스크 80세트씩을 판매했습니다.

이 때문에 마스크를 사기 전에 정확한 판매 정보를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www.koreapost.go.kr)인터넷우체국 홈페이지(www.epost.go.kr), 또는 우체국 전화상담실(☎1588-1300) 등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판매 시각도 지역별, 우체국별로 달라

판매 장소와 더불어 봐야 할 것은 '판매 시각'입니다. 오늘의 경우 판매처 1,406곳 가운데 37곳은 '시간제 우체국'이었습니다. 오전 근무 또는 오후 근무를 하는 우체국이라는 겁니다. 오전 시간에 운영하는 우체국에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에 근무하는 우체국에서는 오후 2시부터 판매가 시작됐습니다.

또 제주를 제외한 판매처에서는 오전 11시부터, 제주도에 있는 우체국 판매처에서는 오후 5시부터, 그 밖의 섬 지역에 있는 우체국에서는 마스크 도착 상황에 따라 판매가 시작됐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당분간 마스크 창구 판매 계획을 전날 저녁 6시 이후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예정입니다. 정확한 판매처와 판매 수량 등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서, 구매 전에는 반드시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www.koreapost.go.kr)인터넷우체국 홈페이지(www.epost.go.kr), 또는 우체국 전화상담실(☎1588-1300) 등에서 정보를 확인하셔야겠습니다.

■ 하나로마트, 행복한백화점 등 판매처 정보도 전날 확인 필요

그 밖의 도심지역은 약국과 농협 하나로마트 등에서 마스크를 판매합니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는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운영하는 ▲행복한백화점(양천구) ▲명품마루(서울역)에서 살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센터가 운영하는 ▲아임쇼핑(부산역점) ▲명품마루(대전역)도 공적 판매처입니다.

마찬가지로 시각과 판매 수량은 각각 달라 홈페이지 등을 통해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농협은 오늘 전국 2천219개 하나로마트에서 오후 2시부터 마스크 70만 개를 판매했습니다. 농협 관계자는 "내일도 오후 2시부터 판매할 가능성이 크지만, 구체적인 판매처는 달라질 수 있어 홈페이지(nhhanaro.co.kr) 등에 구체적인 정보를 올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오늘 정기 휴무일인 행복한백화점(haengbok.com)에서는 오후 2시부터 마스크를 팔았습니다. 아임쇼핑 부산역점과 명품마루 대전역점에서는 오후 3시부터 마스크 판매가 시작됐는데요. 중소기업유통센터 관계자도 수급 상황이 매일 달라지기 때문에, 판매 시작 시각과 수량 등은 구매 전날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하라고 당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스크 우체국 판매는 읍면 중심으로…“미리 확인하세요”
    • 입력 2020-03-02 17:07:27
    • 수정2020-03-02 17:12:22
    취재K
우정사업본부는 오늘(2일)부터 정부의 '마스크 및 손 소독제 긴급수급 조정조치'에 따라 우체국에서 마스크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오늘 공급되는 물량은 모두 65만 장입니다. KBS도 어제(1일) 뉴스9 등을 통해 '전국 우체국에서 오전 11시부터 한 사람당 최대 5장씩 모두 65만 장의 마스크를 판매한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기사에는 어떤 우체국이 제외되는지 포함되지 않아, 우체국을 찾았는데도 마스크를 살 수 없었다는 시청자들의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혼선을 빚은 점 사과드립니다.

마스크 공적 판매처에 해당하지 않는 부산 수영동 우체국에 붙은 공지. 읍면지역 우체국이 아니어서 마스크를 팔지 않는다며, 약국 중심으로 판매 중이라고 안내하고 있다.
■ '일부 우체국'에서만 판매..'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 살펴야

오늘부터 판매를 시작한 우체국은 대구, 청도 지역과 전국 읍면에 있는 우체국 등 1,406곳이었습니다. 경인청, 부산청, 충청청, 전남청, 경북청, 전북청, 강원청, 제주청 등 8개 지방 우정청이 관리하는 읍면 지역 우체국입니다.

하지만 해당 지방 우정청에서 관리하는 모든 우체국에서 마스크를 파는 것은 아닙니다. 이 중 읍면에 있는 일부 우체국 1,406곳에서만 마스크를 살 수 있습니다. 실제 어제 우정사업본부 공지에 따르면, 인천 지역에서는 ▲덕적 ▲북도 ▲영흥 ▲연평 등 4개 우체국에서만 마스크 80세트씩을 판매했습니다.

이 때문에 마스크를 사기 전에 정확한 판매 정보를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www.koreapost.go.kr)인터넷우체국 홈페이지(www.epost.go.kr), 또는 우체국 전화상담실(☎1588-1300) 등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판매 시각도 지역별, 우체국별로 달라

판매 장소와 더불어 봐야 할 것은 '판매 시각'입니다. 오늘의 경우 판매처 1,406곳 가운데 37곳은 '시간제 우체국'이었습니다. 오전 근무 또는 오후 근무를 하는 우체국이라는 겁니다. 오전 시간에 운영하는 우체국에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에 근무하는 우체국에서는 오후 2시부터 판매가 시작됐습니다.

또 제주를 제외한 판매처에서는 오전 11시부터, 제주도에 있는 우체국 판매처에서는 오후 5시부터, 그 밖의 섬 지역에 있는 우체국에서는 마스크 도착 상황에 따라 판매가 시작됐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당분간 마스크 창구 판매 계획을 전날 저녁 6시 이후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예정입니다. 정확한 판매처와 판매 수량 등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서, 구매 전에는 반드시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www.koreapost.go.kr)인터넷우체국 홈페이지(www.epost.go.kr), 또는 우체국 전화상담실(☎1588-1300) 등에서 정보를 확인하셔야겠습니다.

■ 하나로마트, 행복한백화점 등 판매처 정보도 전날 확인 필요

그 밖의 도심지역은 약국과 농협 하나로마트 등에서 마스크를 판매합니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는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운영하는 ▲행복한백화점(양천구) ▲명품마루(서울역)에서 살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센터가 운영하는 ▲아임쇼핑(부산역점) ▲명품마루(대전역)도 공적 판매처입니다.

마찬가지로 시각과 판매 수량은 각각 달라 홈페이지 등을 통해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농협은 오늘 전국 2천219개 하나로마트에서 오후 2시부터 마스크 70만 개를 판매했습니다. 농협 관계자는 "내일도 오후 2시부터 판매할 가능성이 크지만, 구체적인 판매처는 달라질 수 있어 홈페이지(nhhanaro.co.kr) 등에 구체적인 정보를 올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오늘 정기 휴무일인 행복한백화점(haengbok.com)에서는 오후 2시부터 마스크를 팔았습니다. 아임쇼핑 부산역점과 명품마루 대전역점에서는 오후 3시부터 마스크 판매가 시작됐는데요. 중소기업유통센터 관계자도 수급 상황이 매일 달라지기 때문에, 판매 시작 시각과 수량 등은 구매 전날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하라고 당부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