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대담] 진주의료원 폐쇄와 공공의료 공백
입력 2020.03.04 (20:01)
수정 2020.03.04 (20: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2일 '코로나19 경남 대응 상황' 브리핑에서 "전국에서 공공병상 수가 가장 부족한 지역이 경남"이라며 "절대적으로 부족해진 원인이 옛 진주의료원 폐쇄 이후 서부권의 공공의료가 공백 상태이기 때문이다"고 지적했습니다.
코로나 19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진주의료원 공백이 더 커 보이는게 사실인데요.
오늘 〈이슈대담〉에선 전국보건의료노조 울산경남본부 박윤석 조직국장님 모시고 얘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직국장님, 반갑습니다.
경남 진주의료원의 강제 폐업을 결정한지 꼭 7년이 지났는데요, 코로나 19 확산으로 어느 때 보다 공백이 크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앵커]
만약, 지금 진주의료원이 있었으면 코로나19 확진환자 관리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었을까요?
[앵커]
진주의료원이 있었다 하더라도, 경남의 공공의료원 병상 1개당 인구는 5~6천 명으로 광역자치권 가운데 하위권 수준이었을 텐데, 경남의 공공의료 기반 자체가 열악한 건 아닌가요?
[앵커]
진주의료원 폐쇄가 가뜩이나 공공의료 기반이 부족한 경남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보는 거죠?
그렇다면, 그 책임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앵커]
보건의료노조에서 ’진주의료원 폐쇄‘ 관련 진상규명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진행상황과 덧붙여 앞으로 계획까지 말씀해주시죠.
[앵커]
현재 서부경남 공공의료 확충과 관련해서도 공론화가 진행 중이죠?
어느 정도 진행이 되고 있나요?
[앵커]
마지막으로, 신속한 공공의료체계 확충을 위해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2일 '코로나19 경남 대응 상황' 브리핑에서 "전국에서 공공병상 수가 가장 부족한 지역이 경남"이라며 "절대적으로 부족해진 원인이 옛 진주의료원 폐쇄 이후 서부권의 공공의료가 공백 상태이기 때문이다"고 지적했습니다.
코로나 19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진주의료원 공백이 더 커 보이는게 사실인데요.
오늘 〈이슈대담〉에선 전국보건의료노조 울산경남본부 박윤석 조직국장님 모시고 얘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직국장님, 반갑습니다.
경남 진주의료원의 강제 폐업을 결정한지 꼭 7년이 지났는데요, 코로나 19 확산으로 어느 때 보다 공백이 크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앵커]
만약, 지금 진주의료원이 있었으면 코로나19 확진환자 관리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었을까요?
[앵커]
진주의료원이 있었다 하더라도, 경남의 공공의료원 병상 1개당 인구는 5~6천 명으로 광역자치권 가운데 하위권 수준이었을 텐데, 경남의 공공의료 기반 자체가 열악한 건 아닌가요?
[앵커]
진주의료원 폐쇄가 가뜩이나 공공의료 기반이 부족한 경남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보는 거죠?
그렇다면, 그 책임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앵커]
보건의료노조에서 ’진주의료원 폐쇄‘ 관련 진상규명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진행상황과 덧붙여 앞으로 계획까지 말씀해주시죠.
[앵커]
현재 서부경남 공공의료 확충과 관련해서도 공론화가 진행 중이죠?
어느 정도 진행이 되고 있나요?
[앵커]
마지막으로, 신속한 공공의료체계 확충을 위해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대담] 진주의료원 폐쇄와 공공의료 공백
-
- 입력 2020-03-04 20:01:44
- 수정2020-03-04 20:33:30

[앵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2일 '코로나19 경남 대응 상황' 브리핑에서 "전국에서 공공병상 수가 가장 부족한 지역이 경남"이라며 "절대적으로 부족해진 원인이 옛 진주의료원 폐쇄 이후 서부권의 공공의료가 공백 상태이기 때문이다"고 지적했습니다.
코로나 19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진주의료원 공백이 더 커 보이는게 사실인데요.
오늘 〈이슈대담〉에선 전국보건의료노조 울산경남본부 박윤석 조직국장님 모시고 얘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직국장님, 반갑습니다.
경남 진주의료원의 강제 폐업을 결정한지 꼭 7년이 지났는데요, 코로나 19 확산으로 어느 때 보다 공백이 크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앵커]
만약, 지금 진주의료원이 있었으면 코로나19 확진환자 관리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었을까요?
[앵커]
진주의료원이 있었다 하더라도, 경남의 공공의료원 병상 1개당 인구는 5~6천 명으로 광역자치권 가운데 하위권 수준이었을 텐데, 경남의 공공의료 기반 자체가 열악한 건 아닌가요?
[앵커]
진주의료원 폐쇄가 가뜩이나 공공의료 기반이 부족한 경남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보는 거죠?
그렇다면, 그 책임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앵커]
보건의료노조에서 ’진주의료원 폐쇄‘ 관련 진상규명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진행상황과 덧붙여 앞으로 계획까지 말씀해주시죠.
[앵커]
현재 서부경남 공공의료 확충과 관련해서도 공론화가 진행 중이죠?
어느 정도 진행이 되고 있나요?
[앵커]
마지막으로, 신속한 공공의료체계 확충을 위해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