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곳 없는 특수학급 장애 학생들

입력 2020.03.25 (07:37) 수정 2020.03.25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로 장애인 학생들에게 지원되는 긴급 돌봄 서비스 범위가 확대됐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안내가 안 되는 데다가 여전히 일부는 대상에서 제외돼 형평성 논란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애인 학부모의 사무실 옆 좁은 공간에 발달 장애 학생들이 모였습니다.

같은 또래 특수학교 학생들과는 달리 일반 중.고등학교에 다닌다는 이유로 확대된 긴급 돌봄 대상에서도 빠졌습니다.

갈곳을 찾지 못하다 학교 밖에 겨우 돌볼 장소를 마련합니다.

[OO중학교 특수학급반 학부모 : "그런 기회조차 이렇게 뺏기면서 특수학교에 가도록 만드는 상황이 되거든요. 그게 저는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어요."]

지적장애가 있는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는 긴급돌봄 대상이 확대됐다는 안내 자체를 받지 못했습니다.

[OO초등학교 특수학급반 학부모 : "학교에서도 한다는 거에요. 전 깜짝 놀랐어요. 왜 이제 이야기하느냐고."]

[충북도교육청 관계자/음성변조 : "원칙은 무조건 전교생을 대상으로 (긴급돌봄)수요조사를 하게 돼 있거든요. 학교에서 뭐가 전달과정에서 누락이 되거나…."]

교육 당국의 긴급돌봄과는 별도로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장애 학생 돌봄서비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제도 역시 홍보부족 등으로 이용률이 고작 7% 수준입니다.

안내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일부는 대상에서도 제외되면서 제대로 긴급 돌봄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장애학생들.

코로나 19로 길어지는 방학이 점점 힘에 부칩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갈 곳 없는 특수학급 장애 학생들
    • 입력 2020-03-25 07:40:36
    • 수정2020-03-25 08:05:00
    뉴스광장
[앵커]

코로나19 로 장애인 학생들에게 지원되는 긴급 돌봄 서비스 범위가 확대됐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안내가 안 되는 데다가 여전히 일부는 대상에서 제외돼 형평성 논란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애인 학부모의 사무실 옆 좁은 공간에 발달 장애 학생들이 모였습니다.

같은 또래 특수학교 학생들과는 달리 일반 중.고등학교에 다닌다는 이유로 확대된 긴급 돌봄 대상에서도 빠졌습니다.

갈곳을 찾지 못하다 학교 밖에 겨우 돌볼 장소를 마련합니다.

[OO중학교 특수학급반 학부모 : "그런 기회조차 이렇게 뺏기면서 특수학교에 가도록 만드는 상황이 되거든요. 그게 저는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어요."]

지적장애가 있는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는 긴급돌봄 대상이 확대됐다는 안내 자체를 받지 못했습니다.

[OO초등학교 특수학급반 학부모 : "학교에서도 한다는 거에요. 전 깜짝 놀랐어요. 왜 이제 이야기하느냐고."]

[충북도교육청 관계자/음성변조 : "원칙은 무조건 전교생을 대상으로 (긴급돌봄)수요조사를 하게 돼 있거든요. 학교에서 뭐가 전달과정에서 누락이 되거나…."]

교육 당국의 긴급돌봄과는 별도로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장애 학생 돌봄서비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제도 역시 홍보부족 등으로 이용률이 고작 7% 수준입니다.

안내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일부는 대상에서도 제외되면서 제대로 긴급 돌봄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장애학생들.

코로나 19로 길어지는 방학이 점점 힘에 부칩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