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기 소년’…연세대 송도세브란스 건립 또 연기
입력 2020.04.01 (07:37)
수정 2020.04.01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연세대는 10년 전에 인천 송도에 병원을 짓겠다며 헐값에 땅을 확보했지만,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측이 건립 시기를 계속 늦추자, 인천시의회는 시민들을 농락하는 `양치기 소년`이라며 질타했습니다.
보도에 빅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세대가 송도에 병원 설립을 약속한 장면입니다.
하지만,연세대는 10년이 지나도록 이 땅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배희준/이웃 주민 : "저희 아파트 옆에 연대 세브란스가 생긴다고 해서 입주한 것도 컸거든요. 그런데,지금까지 계속 미뤄지다가."]
불만이 커지자, 연세대는 2018년, 인천시와 다시 2024년까지 병원 설립을 약속하는 협약을 맺었습니다.
그러나,1년 뒤 병원 설립을 2025년으로 1년 늦추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윤도흠/연세의료원장/지난해 6월 : "건축기간이 약 3년 반에서 4년 걸리니까, 2025년에 완공됩니다."]
게다가,지난 2월에는 연수구와 협약을 맺으면서 개원을 2026년으로 또 1년 늦췄습니다.
연세대 측이 계속 약속을 어기자, 인천시의회는 300만 시민을 농락한다며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강원모/인천시의원 : "인천시민 입장에서 보면, 계속 단물만 빼먹는 것 같아요. 연세대학교는 인천에서 `양치기소년`이에요."]
연세대는 이처럼 약속을 어기면서도 계속 엄청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인천대와 인하대 등 다른 대학과는 달리, 연세대만 송도 땅을 원가의 1/3에 매입했습니다.
또, 이처럼 10년 넘게 땅을 방치하면서도 재산세 등 300억 원이 넘는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고 면제받고 있습니다.
학생 5천 명을 더 수용해야하는 조건도 연구원 천 명으로 완화했습니다.
약속보다 이익만 쫓아온 연세대는 오는 9월 송도 11공구에 추가로 33만 제곱미터를 매입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연세대는 10년 전에 인천 송도에 병원을 짓겠다며 헐값에 땅을 확보했지만,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측이 건립 시기를 계속 늦추자, 인천시의회는 시민들을 농락하는 `양치기 소년`이라며 질타했습니다.
보도에 빅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세대가 송도에 병원 설립을 약속한 장면입니다.
하지만,연세대는 10년이 지나도록 이 땅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배희준/이웃 주민 : "저희 아파트 옆에 연대 세브란스가 생긴다고 해서 입주한 것도 컸거든요. 그런데,지금까지 계속 미뤄지다가."]
불만이 커지자, 연세대는 2018년, 인천시와 다시 2024년까지 병원 설립을 약속하는 협약을 맺었습니다.
그러나,1년 뒤 병원 설립을 2025년으로 1년 늦추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윤도흠/연세의료원장/지난해 6월 : "건축기간이 약 3년 반에서 4년 걸리니까, 2025년에 완공됩니다."]
게다가,지난 2월에는 연수구와 협약을 맺으면서 개원을 2026년으로 또 1년 늦췄습니다.
연세대 측이 계속 약속을 어기자, 인천시의회는 300만 시민을 농락한다며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강원모/인천시의원 : "인천시민 입장에서 보면, 계속 단물만 빼먹는 것 같아요. 연세대학교는 인천에서 `양치기소년`이에요."]
연세대는 이처럼 약속을 어기면서도 계속 엄청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인천대와 인하대 등 다른 대학과는 달리, 연세대만 송도 땅을 원가의 1/3에 매입했습니다.
또, 이처럼 10년 넘게 땅을 방치하면서도 재산세 등 300억 원이 넘는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고 면제받고 있습니다.
학생 5천 명을 더 수용해야하는 조건도 연구원 천 명으로 완화했습니다.
약속보다 이익만 쫓아온 연세대는 오는 9월 송도 11공구에 추가로 33만 제곱미터를 매입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양치기 소년’…연세대 송도세브란스 건립 또 연기
-
- 입력 2020-04-01 07:39:20
- 수정2020-04-01 07:47:21

[앵커]
연세대는 10년 전에 인천 송도에 병원을 짓겠다며 헐값에 땅을 확보했지만,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측이 건립 시기를 계속 늦추자, 인천시의회는 시민들을 농락하는 `양치기 소년`이라며 질타했습니다.
보도에 빅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세대가 송도에 병원 설립을 약속한 장면입니다.
하지만,연세대는 10년이 지나도록 이 땅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배희준/이웃 주민 : "저희 아파트 옆에 연대 세브란스가 생긴다고 해서 입주한 것도 컸거든요. 그런데,지금까지 계속 미뤄지다가."]
불만이 커지자, 연세대는 2018년, 인천시와 다시 2024년까지 병원 설립을 약속하는 협약을 맺었습니다.
그러나,1년 뒤 병원 설립을 2025년으로 1년 늦추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윤도흠/연세의료원장/지난해 6월 : "건축기간이 약 3년 반에서 4년 걸리니까, 2025년에 완공됩니다."]
게다가,지난 2월에는 연수구와 협약을 맺으면서 개원을 2026년으로 또 1년 늦췄습니다.
연세대 측이 계속 약속을 어기자, 인천시의회는 300만 시민을 농락한다며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강원모/인천시의원 : "인천시민 입장에서 보면, 계속 단물만 빼먹는 것 같아요. 연세대학교는 인천에서 `양치기소년`이에요."]
연세대는 이처럼 약속을 어기면서도 계속 엄청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인천대와 인하대 등 다른 대학과는 달리, 연세대만 송도 땅을 원가의 1/3에 매입했습니다.
또, 이처럼 10년 넘게 땅을 방치하면서도 재산세 등 300억 원이 넘는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고 면제받고 있습니다.
학생 5천 명을 더 수용해야하는 조건도 연구원 천 명으로 완화했습니다.
약속보다 이익만 쫓아온 연세대는 오는 9월 송도 11공구에 추가로 33만 제곱미터를 매입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연세대는 10년 전에 인천 송도에 병원을 짓겠다며 헐값에 땅을 확보했지만,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측이 건립 시기를 계속 늦추자, 인천시의회는 시민들을 농락하는 `양치기 소년`이라며 질타했습니다.
보도에 빅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세대가 송도에 병원 설립을 약속한 장면입니다.
하지만,연세대는 10년이 지나도록 이 땅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배희준/이웃 주민 : "저희 아파트 옆에 연대 세브란스가 생긴다고 해서 입주한 것도 컸거든요. 그런데,지금까지 계속 미뤄지다가."]
불만이 커지자, 연세대는 2018년, 인천시와 다시 2024년까지 병원 설립을 약속하는 협약을 맺었습니다.
그러나,1년 뒤 병원 설립을 2025년으로 1년 늦추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윤도흠/연세의료원장/지난해 6월 : "건축기간이 약 3년 반에서 4년 걸리니까, 2025년에 완공됩니다."]
게다가,지난 2월에는 연수구와 협약을 맺으면서 개원을 2026년으로 또 1년 늦췄습니다.
연세대 측이 계속 약속을 어기자, 인천시의회는 300만 시민을 농락한다며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강원모/인천시의원 : "인천시민 입장에서 보면, 계속 단물만 빼먹는 것 같아요. 연세대학교는 인천에서 `양치기소년`이에요."]
연세대는 이처럼 약속을 어기면서도 계속 엄청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인천대와 인하대 등 다른 대학과는 달리, 연세대만 송도 땅을 원가의 1/3에 매입했습니다.
또, 이처럼 10년 넘게 땅을 방치하면서도 재산세 등 300억 원이 넘는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고 면제받고 있습니다.
학생 5천 명을 더 수용해야하는 조건도 연구원 천 명으로 완화했습니다.
약속보다 이익만 쫓아온 연세대는 오는 9월 송도 11공구에 추가로 33만 제곱미터를 매입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
-
박재우 기자 pjwoo@kbs.co.kr
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