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3월 ‘고농도 미세먼지’ 18일→2일로 감소…“계절관리제·기상 영향”
입력 2020.04.01 (11: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4㎍/㎥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의 33㎍/㎥에서 약 27% 줄었습니다.
특히 이 기간 초미세먼지가 51㎍/㎥ 이상인 고농도 일수는 전년도 18일에서 2일로 크게 줄었습니다.
반면 초미세먼지 농도가 15㎍/㎥ 이하인 좋음 일수는 13일에서 28일로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순간적인 미세먼지 고농도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시간 최고농도도 이번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199㎍/㎥로 전년도의 278㎍/㎥에서 약 28%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 미세먼지 농도 개선 폭이 최대인 곳은 광주광역시와 전북으로 각각 33에서 22㎍/㎥, 39에서 26㎍/㎥로 약 33% 줄었습니다. 서울은 35에서 28㎍/㎥로 20% 개선됐습니다.
특히 미세먼지가 가장 심한 시기인 3월의 평균 농도가 올해는 21㎍/㎥로, 겨울보다 낮았습니다. 지난해 3월은 서울에서 비상저감조치가 7일 연속 내려질 만큼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려 3월 전국 평균 농도가 39㎍/㎥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환경부는 오늘(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명래 장관은 이런 미세먼지 개선 상황이 기상 기상영향과 계절관리제의 정책효과, 코로나 19 등의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먼저, 강수량 등의 기상 여건이 미세먼지 해소에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계절관리제 기간 평균 강수량은 전년도 111mm에 비해 206mm로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동풍이 분 날도 7일에서 22일로 크게 늘어 고농도 미세먼지를 막아줬습니다.
또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 각 부문의 미세먼지 배출량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확대 등으로 발전 부문에서 미세먼지 배출량이 39% 줄었고, 대형사업장 감축협약 이행으로 산업부문 배출량도 30% 정도 감소했습니다. 항만·선박 부문도 2016년에 비해 40% 가량 배출량을 감축했습니다.
이 기간 중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생태환경부 발표자료와 국립환경과학원 분석자료에 따르면, 계절관리제 기간 중국 전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49㎍/㎥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55㎍/㎥에서 약 1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와 가까운 징진지(베이징/텐진/허베이) 및 주변 지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지난해 대비 약 12%(88→77㎍/㎥)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계절관리제 기간 시행된 저감책들이 실제 대기질 개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는지 등을 분석해 이달 말 종합적인 검토 결과를 내놓을 계획입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은 큰 성과"라며, "최근 미세먼지 개선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된 차기 계절관리제를 준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특히 이 기간 초미세먼지가 51㎍/㎥ 이상인 고농도 일수는 전년도 18일에서 2일로 크게 줄었습니다.
반면 초미세먼지 농도가 15㎍/㎥ 이하인 좋음 일수는 13일에서 28일로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순간적인 미세먼지 고농도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시간 최고농도도 이번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199㎍/㎥로 전년도의 278㎍/㎥에서 약 28%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 미세먼지 농도 개선 폭이 최대인 곳은 광주광역시와 전북으로 각각 33에서 22㎍/㎥, 39에서 26㎍/㎥로 약 33% 줄었습니다. 서울은 35에서 28㎍/㎥로 20% 개선됐습니다.
특히 미세먼지가 가장 심한 시기인 3월의 평균 농도가 올해는 21㎍/㎥로, 겨울보다 낮았습니다. 지난해 3월은 서울에서 비상저감조치가 7일 연속 내려질 만큼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려 3월 전국 평균 농도가 39㎍/㎥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환경부는 오늘(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명래 장관은 이런 미세먼지 개선 상황이 기상 기상영향과 계절관리제의 정책효과, 코로나 19 등의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먼저, 강수량 등의 기상 여건이 미세먼지 해소에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계절관리제 기간 평균 강수량은 전년도 111mm에 비해 206mm로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동풍이 분 날도 7일에서 22일로 크게 늘어 고농도 미세먼지를 막아줬습니다.
또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 각 부문의 미세먼지 배출량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확대 등으로 발전 부문에서 미세먼지 배출량이 39% 줄었고, 대형사업장 감축협약 이행으로 산업부문 배출량도 30% 정도 감소했습니다. 항만·선박 부문도 2016년에 비해 40% 가량 배출량을 감축했습니다.
이 기간 중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생태환경부 발표자료와 국립환경과학원 분석자료에 따르면, 계절관리제 기간 중국 전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49㎍/㎥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55㎍/㎥에서 약 1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와 가까운 징진지(베이징/텐진/허베이) 및 주변 지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지난해 대비 약 12%(88→77㎍/㎥)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계절관리제 기간 시행된 저감책들이 실제 대기질 개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는지 등을 분석해 이달 말 종합적인 검토 결과를 내놓을 계획입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은 큰 성과"라며, "최근 미세먼지 개선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된 차기 계절관리제를 준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2월~3월 ‘고농도 미세먼지’ 18일→2일로 감소…“계절관리제·기상 영향”
-
- 입력 2020-04-01 11:01:37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4㎍/㎥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의 33㎍/㎥에서 약 27% 줄었습니다.
특히 이 기간 초미세먼지가 51㎍/㎥ 이상인 고농도 일수는 전년도 18일에서 2일로 크게 줄었습니다.
반면 초미세먼지 농도가 15㎍/㎥ 이하인 좋음 일수는 13일에서 28일로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순간적인 미세먼지 고농도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시간 최고농도도 이번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199㎍/㎥로 전년도의 278㎍/㎥에서 약 28%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 미세먼지 농도 개선 폭이 최대인 곳은 광주광역시와 전북으로 각각 33에서 22㎍/㎥, 39에서 26㎍/㎥로 약 33% 줄었습니다. 서울은 35에서 28㎍/㎥로 20% 개선됐습니다.
특히 미세먼지가 가장 심한 시기인 3월의 평균 농도가 올해는 21㎍/㎥로, 겨울보다 낮았습니다. 지난해 3월은 서울에서 비상저감조치가 7일 연속 내려질 만큼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려 3월 전국 평균 농도가 39㎍/㎥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환경부는 오늘(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명래 장관은 이런 미세먼지 개선 상황이 기상 기상영향과 계절관리제의 정책효과, 코로나 19 등의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먼저, 강수량 등의 기상 여건이 미세먼지 해소에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계절관리제 기간 평균 강수량은 전년도 111mm에 비해 206mm로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동풍이 분 날도 7일에서 22일로 크게 늘어 고농도 미세먼지를 막아줬습니다.
또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 각 부문의 미세먼지 배출량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확대 등으로 발전 부문에서 미세먼지 배출량이 39% 줄었고, 대형사업장 감축협약 이행으로 산업부문 배출량도 30% 정도 감소했습니다. 항만·선박 부문도 2016년에 비해 40% 가량 배출량을 감축했습니다.
이 기간 중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생태환경부 발표자료와 국립환경과학원 분석자료에 따르면, 계절관리제 기간 중국 전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49㎍/㎥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55㎍/㎥에서 약 1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와 가까운 징진지(베이징/텐진/허베이) 및 주변 지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지난해 대비 약 12%(88→77㎍/㎥)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계절관리제 기간 시행된 저감책들이 실제 대기질 개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는지 등을 분석해 이달 말 종합적인 검토 결과를 내놓을 계획입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은 큰 성과"라며, "최근 미세먼지 개선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된 차기 계절관리제를 준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특히 이 기간 초미세먼지가 51㎍/㎥ 이상인 고농도 일수는 전년도 18일에서 2일로 크게 줄었습니다.
반면 초미세먼지 농도가 15㎍/㎥ 이하인 좋음 일수는 13일에서 28일로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순간적인 미세먼지 고농도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시간 최고농도도 이번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199㎍/㎥로 전년도의 278㎍/㎥에서 약 28%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 미세먼지 농도 개선 폭이 최대인 곳은 광주광역시와 전북으로 각각 33에서 22㎍/㎥, 39에서 26㎍/㎥로 약 33% 줄었습니다. 서울은 35에서 28㎍/㎥로 20% 개선됐습니다.
특히 미세먼지가 가장 심한 시기인 3월의 평균 농도가 올해는 21㎍/㎥로, 겨울보다 낮았습니다. 지난해 3월은 서울에서 비상저감조치가 7일 연속 내려질 만큼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려 3월 전국 평균 농도가 39㎍/㎥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환경부는 오늘(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명래 장관은 이런 미세먼지 개선 상황이 기상 기상영향과 계절관리제의 정책효과, 코로나 19 등의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먼저, 강수량 등의 기상 여건이 미세먼지 해소에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계절관리제 기간 평균 강수량은 전년도 111mm에 비해 206mm로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동풍이 분 날도 7일에서 22일로 크게 늘어 고농도 미세먼지를 막아줬습니다.
또 계절관리제 시행 결과 각 부문의 미세먼지 배출량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확대 등으로 발전 부문에서 미세먼지 배출량이 39% 줄었고, 대형사업장 감축협약 이행으로 산업부문 배출량도 30% 정도 감소했습니다. 항만·선박 부문도 2016년에 비해 40% 가량 배출량을 감축했습니다.
이 기간 중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생태환경부 발표자료와 국립환경과학원 분석자료에 따르면, 계절관리제 기간 중국 전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49㎍/㎥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55㎍/㎥에서 약 1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와 가까운 징진지(베이징/텐진/허베이) 및 주변 지역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지난해 대비 약 12%(88→77㎍/㎥)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계절관리제 기간 시행된 저감책들이 실제 대기질 개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는지 등을 분석해 이달 말 종합적인 검토 결과를 내놓을 계획입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은 큰 성과"라며, "최근 미세먼지 개선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된 차기 계절관리제를 준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