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증상에, 감염 경로도 다양…사회적 거리두기 절실
입력 2020.04.01 (22:36)
수정 2020.04.02 (06: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전북지역 코로나19 확진자들을 보면 해외나 대구·경북을 다녀왔다가 감염된 사례가 적지 않은데요.
지역 안에서의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이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루 4백여 명의 직원들이 이용하는 회사 구내식당.
마스크를 쓰고 있는지.
손 소독을 했는지 안전 요원들이 일일이 살핍니다.
최대한 떨어져 앉게 의자를 30% 이상 줄이고, 식사 시간도 30분 더 늘렸습니다
[류종일/휴비스 직원 : "이런저런 제약이 좀 있지만, 이걸 빨리 해결하려면 저희가 많이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하고 잘 따라야 할 것 같아요."]
군산의 한 피시방.
발열 검사는 기본.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들어갈 수도 없습니다.
컴퓨터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막아놨습니다.
[박진규/PC방 운영 : "한 칸씩 띄어 앉다 보니까 저희 매출도 많은 지장이 있고 손님도 많이 불편하지만 서로 동참해서 코로나가 조금이라도 빨리 종식될 수 있도록 서로 노력했으면..."]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 부탁합니다!"]
공무원들이 소독 제품을 나눠주며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를 호소합니다.
[송하진/전라북도지사 : "해외에서 오신 분들, 전라북도 외 지역에서 오신 분들은 서로가 서로를 위한다는 마음으로 꼭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길..."]
최근 해외 유입 등 감염 경로가 다양해지고, 증상이 없다가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사회적 거리 두기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최근 전북지역 코로나19 확진자들을 보면 해외나 대구·경북을 다녀왔다가 감염된 사례가 적지 않은데요.
지역 안에서의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이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루 4백여 명의 직원들이 이용하는 회사 구내식당.
마스크를 쓰고 있는지.
손 소독을 했는지 안전 요원들이 일일이 살핍니다.
최대한 떨어져 앉게 의자를 30% 이상 줄이고, 식사 시간도 30분 더 늘렸습니다
[류종일/휴비스 직원 : "이런저런 제약이 좀 있지만, 이걸 빨리 해결하려면 저희가 많이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하고 잘 따라야 할 것 같아요."]
군산의 한 피시방.
발열 검사는 기본.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들어갈 수도 없습니다.
컴퓨터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막아놨습니다.
[박진규/PC방 운영 : "한 칸씩 띄어 앉다 보니까 저희 매출도 많은 지장이 있고 손님도 많이 불편하지만 서로 동참해서 코로나가 조금이라도 빨리 종식될 수 있도록 서로 노력했으면..."]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 부탁합니다!"]
공무원들이 소독 제품을 나눠주며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를 호소합니다.
[송하진/전라북도지사 : "해외에서 오신 분들, 전라북도 외 지역에서 오신 분들은 서로가 서로를 위한다는 마음으로 꼭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길..."]
최근 해외 유입 등 감염 경로가 다양해지고, 증상이 없다가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사회적 거리 두기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증상에, 감염 경로도 다양…사회적 거리두기 절실
-
- 입력 2020-04-01 22:36:57
- 수정2020-04-02 06:11:42

[앵커]
최근 전북지역 코로나19 확진자들을 보면 해외나 대구·경북을 다녀왔다가 감염된 사례가 적지 않은데요.
지역 안에서의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이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루 4백여 명의 직원들이 이용하는 회사 구내식당.
마스크를 쓰고 있는지.
손 소독을 했는지 안전 요원들이 일일이 살핍니다.
최대한 떨어져 앉게 의자를 30% 이상 줄이고, 식사 시간도 30분 더 늘렸습니다
[류종일/휴비스 직원 : "이런저런 제약이 좀 있지만, 이걸 빨리 해결하려면 저희가 많이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하고 잘 따라야 할 것 같아요."]
군산의 한 피시방.
발열 검사는 기본.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들어갈 수도 없습니다.
컴퓨터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막아놨습니다.
[박진규/PC방 운영 : "한 칸씩 띄어 앉다 보니까 저희 매출도 많은 지장이 있고 손님도 많이 불편하지만 서로 동참해서 코로나가 조금이라도 빨리 종식될 수 있도록 서로 노력했으면..."]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 부탁합니다!"]
공무원들이 소독 제품을 나눠주며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를 호소합니다.
[송하진/전라북도지사 : "해외에서 오신 분들, 전라북도 외 지역에서 오신 분들은 서로가 서로를 위한다는 마음으로 꼭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길..."]
최근 해외 유입 등 감염 경로가 다양해지고, 증상이 없다가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사회적 거리 두기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
-
이수진 기자 elpis1004@kbs.co.kr
이수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