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6주기 맞아 유가족들 ‘선상 추모식’

입력 2020.04.13 (08:35) 수정 2020.04.13 (08: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월호 참사 6주기를 앞두고, 유가족들이 사고해역을 찾아 배 위에서 추모식을 열었습니다.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면서 진상규명을 요구했습니다.

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란 옷을 입고, 해경 함정에 오르는 유가족들.

바닷바람 속에 꼬박 3시간을 달리자, 6년 전 비극의 바다에 가까워집니다.

[성윤창/목포해양경찰서 기획운영계장 : "도착 1분 전입니다. 여러분이 서 계시는 배 정면 오른쪽에(으로) 잠시 뒤면 세월호가 인양됐던 장소에 도착합니다."]

잠시 뒤 노란 부표 하나가 눈에 들어오자 결국 참았던 눈물을 터뜨립니다.

6년이 다 돼 가지만, 그리움은 오히려 커졌습니다.

[고 안주현 군 어머니 : "너무 보고싶다!"]

엄마는 다시는 볼 수 없는 아들의 이름을 목청껏 불렀습니다.

소중한 아이들을 잃은 가족들은 제대로 된 진상 규명을 촉구했습니다.

[홍영미/안산시 단원구/고 이재욱 군 어머니 : "저희가 바라는 것은 딱 한 가지 밖에 없습니다. 어떻게 세월호 참사가 발생했고, 진상규명이 왜 안되고 있고."]

육지에 도착한 후 찾은 곳은 세월호가 거치된 목포신항.

3년 전 인양된 선체는 정치권의 막말 논란 속 남은 사람들이 입은 상처처럼, 녹이 슬고, 찢겼습니다.

[장 훈/4·16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 "치유되지 않아요. 아들이 없어졌는데 어떻게 그걸 잊을 수가 있고 치유될 수가 있겠어요. 우리 같은 아픈 사람들한테 막말을 하는지 이해가 안되구요."]

세월호 사건이 일어난 지 어느덧 6주기.

상처는 아물지 않은 채 세월만 흐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6주기 맞아 유가족들 ‘선상 추모식’
    • 입력 2020-04-13 08:39:15
    • 수정2020-04-13 08:57:51
    아침뉴스타임
[앵커]

세월호 참사 6주기를 앞두고, 유가족들이 사고해역을 찾아 배 위에서 추모식을 열었습니다.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면서 진상규명을 요구했습니다.

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란 옷을 입고, 해경 함정에 오르는 유가족들.

바닷바람 속에 꼬박 3시간을 달리자, 6년 전 비극의 바다에 가까워집니다.

[성윤창/목포해양경찰서 기획운영계장 : "도착 1분 전입니다. 여러분이 서 계시는 배 정면 오른쪽에(으로) 잠시 뒤면 세월호가 인양됐던 장소에 도착합니다."]

잠시 뒤 노란 부표 하나가 눈에 들어오자 결국 참았던 눈물을 터뜨립니다.

6년이 다 돼 가지만, 그리움은 오히려 커졌습니다.

[고 안주현 군 어머니 : "너무 보고싶다!"]

엄마는 다시는 볼 수 없는 아들의 이름을 목청껏 불렀습니다.

소중한 아이들을 잃은 가족들은 제대로 된 진상 규명을 촉구했습니다.

[홍영미/안산시 단원구/고 이재욱 군 어머니 : "저희가 바라는 것은 딱 한 가지 밖에 없습니다. 어떻게 세월호 참사가 발생했고, 진상규명이 왜 안되고 있고."]

육지에 도착한 후 찾은 곳은 세월호가 거치된 목포신항.

3년 전 인양된 선체는 정치권의 막말 논란 속 남은 사람들이 입은 상처처럼, 녹이 슬고, 찢겼습니다.

[장 훈/4·16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 "치유되지 않아요. 아들이 없어졌는데 어떻게 그걸 잊을 수가 있고 치유될 수가 있겠어요. 우리 같은 아픈 사람들한테 막말을 하는지 이해가 안되구요."]

세월호 사건이 일어난 지 어느덧 6주기.

상처는 아물지 않은 채 세월만 흐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