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10~20% 떼 ‘현금화’…소비쿠폰 ‘취지 무색’
입력 2020.04.14 (09:14)
수정 2020.04.14 (09: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지급한 온누리상품권 등 소비쿠폰이 온라인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린적 있는데요.
이 소비쿠폰을 수수료까지 떼이면서도 현금으로 바꾸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신익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상품권 교환소.
온누리상품권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지 물었습니다.
[상품권 교환소 직원/음성변조 : "(온누리상품권 판매가 가능할까요?) 예 예 가능합니다."]
저소득층에 지원된 소비쿠폰의 하나인 농협 선불카드도 현금으로 교환해준다고 말합니다.
[상품권 교환소 직원/음성변조 : "카드하고 온누리상품권 많이 가져와요. 요즘에 받아쓰는 분들이 있어가지고..."]
정부가 이달들어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저소득층 지원을 위해 온누리상품권과 농협 선불카드를 소비쿠폰으로 지급하고 있는데, 이를 현금으로 바꾸는 사례가 잇따르는 겁니다.
온누리상품권의 경우 수수료로 10%를, 석달 안에 써야 하는 농협 선불카드는 많게는 20%의 수수료를 떼고 있습니다.
이런데도 소비쿠폰을 현금화하려는 이유는 뭘까.
[기초생활수급자/음성변조 : "현금이 들어가야 되니까. 애들이 3명이니까. 그걸 어떻게 할거야 그걸, 나는 놀고 있는데..."]
저소득층 지원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쿠폰 형식으로 지원하는 정부의 취지가 무색해지는 상황.
제주도와 경기도 일부 지자체가 자체 긴급재난지원금을 쿠폰이 아닌 현금으로 지급키로 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저소득층을 위한 소비쿠폰이 온라인 거래에 이어 암묵적으로도 현금화되고 있는 가운데, 당초 취지를 살리고 저소득층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신익환입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지급한 온누리상품권 등 소비쿠폰이 온라인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린적 있는데요.
이 소비쿠폰을 수수료까지 떼이면서도 현금으로 바꾸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신익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상품권 교환소.
온누리상품권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지 물었습니다.
[상품권 교환소 직원/음성변조 : "(온누리상품권 판매가 가능할까요?) 예 예 가능합니다."]
저소득층에 지원된 소비쿠폰의 하나인 농협 선불카드도 현금으로 교환해준다고 말합니다.
[상품권 교환소 직원/음성변조 : "카드하고 온누리상품권 많이 가져와요. 요즘에 받아쓰는 분들이 있어가지고..."]
정부가 이달들어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저소득층 지원을 위해 온누리상품권과 농협 선불카드를 소비쿠폰으로 지급하고 있는데, 이를 현금으로 바꾸는 사례가 잇따르는 겁니다.
온누리상품권의 경우 수수료로 10%를, 석달 안에 써야 하는 농협 선불카드는 많게는 20%의 수수료를 떼고 있습니다.
이런데도 소비쿠폰을 현금화하려는 이유는 뭘까.
[기초생활수급자/음성변조 : "현금이 들어가야 되니까. 애들이 3명이니까. 그걸 어떻게 할거야 그걸, 나는 놀고 있는데..."]
저소득층 지원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쿠폰 형식으로 지원하는 정부의 취지가 무색해지는 상황.
제주도와 경기도 일부 지자체가 자체 긴급재난지원금을 쿠폰이 아닌 현금으로 지급키로 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저소득층을 위한 소비쿠폰이 온라인 거래에 이어 암묵적으로도 현금화되고 있는 가운데, 당초 취지를 살리고 저소득층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신익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수료 10~20% 떼 ‘현금화’…소비쿠폰 ‘취지 무색’
-
- 입력 2020-04-14 09:14:02
- 수정2020-04-14 09:21:04

[앵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지급한 온누리상품권 등 소비쿠폰이 온라인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린적 있는데요.
이 소비쿠폰을 수수료까지 떼이면서도 현금으로 바꾸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신익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상품권 교환소.
온누리상품권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지 물었습니다.
[상품권 교환소 직원/음성변조 : "(온누리상품권 판매가 가능할까요?) 예 예 가능합니다."]
저소득층에 지원된 소비쿠폰의 하나인 농협 선불카드도 현금으로 교환해준다고 말합니다.
[상품권 교환소 직원/음성변조 : "카드하고 온누리상품권 많이 가져와요. 요즘에 받아쓰는 분들이 있어가지고..."]
정부가 이달들어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저소득층 지원을 위해 온누리상품권과 농협 선불카드를 소비쿠폰으로 지급하고 있는데, 이를 현금으로 바꾸는 사례가 잇따르는 겁니다.
온누리상품권의 경우 수수료로 10%를, 석달 안에 써야 하는 농협 선불카드는 많게는 20%의 수수료를 떼고 있습니다.
이런데도 소비쿠폰을 현금화하려는 이유는 뭘까.
[기초생활수급자/음성변조 : "현금이 들어가야 되니까. 애들이 3명이니까. 그걸 어떻게 할거야 그걸, 나는 놀고 있는데..."]
저소득층 지원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쿠폰 형식으로 지원하는 정부의 취지가 무색해지는 상황.
제주도와 경기도 일부 지자체가 자체 긴급재난지원금을 쿠폰이 아닌 현금으로 지급키로 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저소득층을 위한 소비쿠폰이 온라인 거래에 이어 암묵적으로도 현금화되고 있는 가운데, 당초 취지를 살리고 저소득층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신익환입니다.
-
-
신익환 기자 sih@kbs.co.kr
신익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