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불쌍한 사람 아니에요”…차별철폐 위해 거리로 나온 장애인들
입력 2020.04.21 (07:29)
수정 2020.04.21 (07: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애인의 날이 제정된지 벌써 40년이나 흘렀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차별과 배제가 여전하다고 장애인들은 말합니다.
다음달 개원하는 21대 국회에 장애인 관련 법안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호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로 한 편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행진합니다.
'장애인 권리보장'을 요구하는 팻말을 목에 건 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밧줄을 잡고 움직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장애인의 날 행사는 조금 변화가 있었습니다.
참석 인원도 2천여 명에서 250여 명으로 줄었고, 한 사람마다 2미터 씩 사회적 거리두기를 두면서 행진을 하게 됐습니다.
궂은 날씨에도 거리로 나선 이들은 장애인을 향한 차별과 배제를 멈춰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차한선 : "전동휠 타고서 지하철을 타거나 하면 되게 불쌍하게 보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전 불쌍한 사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런 편견들이 바뀌었으면 좋겠고..."]
참가자들은 특히 코로나19라는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들은 더욱 심각한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21대 국회는 장애등급제 진짜 철폐하라."]
장애인 단체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장애인 공약 1호'인 장애인 권리 보장법이 아직도 제정되지 않았다며 21대 국회가 나서라고 요구했습니다.
[박경석/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 "문재인 대통령이 약속한 것만이라도 제대로 지켜주십시오. 장애 등급제 폐지한다고 했는데 제대로 폐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날'이 아니라 '장애인 차별철폐의 날'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장애인 단체들.
장애인은 단순히 시혜와 동정의 대상이 아니라 정당한 권리를 쟁취하는 주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장애인의 날이 제정된지 벌써 40년이나 흘렀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차별과 배제가 여전하다고 장애인들은 말합니다.
다음달 개원하는 21대 국회에 장애인 관련 법안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호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로 한 편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행진합니다.
'장애인 권리보장'을 요구하는 팻말을 목에 건 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밧줄을 잡고 움직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장애인의 날 행사는 조금 변화가 있었습니다.
참석 인원도 2천여 명에서 250여 명으로 줄었고, 한 사람마다 2미터 씩 사회적 거리두기를 두면서 행진을 하게 됐습니다.
궂은 날씨에도 거리로 나선 이들은 장애인을 향한 차별과 배제를 멈춰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차한선 : "전동휠 타고서 지하철을 타거나 하면 되게 불쌍하게 보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전 불쌍한 사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런 편견들이 바뀌었으면 좋겠고..."]
참가자들은 특히 코로나19라는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들은 더욱 심각한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21대 국회는 장애등급제 진짜 철폐하라."]
장애인 단체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장애인 공약 1호'인 장애인 권리 보장법이 아직도 제정되지 않았다며 21대 국회가 나서라고 요구했습니다.
[박경석/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 "문재인 대통령이 약속한 것만이라도 제대로 지켜주십시오. 장애 등급제 폐지한다고 했는데 제대로 폐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날'이 아니라 '장애인 차별철폐의 날'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장애인 단체들.
장애인은 단순히 시혜와 동정의 대상이 아니라 정당한 권리를 쟁취하는 주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 불쌍한 사람 아니에요”…차별철폐 위해 거리로 나온 장애인들
-
- 입력 2020-04-21 07:31:31
- 수정2020-04-21 07:50:32

[앵커]
장애인의 날이 제정된지 벌써 40년이나 흘렀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차별과 배제가 여전하다고 장애인들은 말합니다.
다음달 개원하는 21대 국회에 장애인 관련 법안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호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로 한 편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행진합니다.
'장애인 권리보장'을 요구하는 팻말을 목에 건 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밧줄을 잡고 움직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장애인의 날 행사는 조금 변화가 있었습니다.
참석 인원도 2천여 명에서 250여 명으로 줄었고, 한 사람마다 2미터 씩 사회적 거리두기를 두면서 행진을 하게 됐습니다.
궂은 날씨에도 거리로 나선 이들은 장애인을 향한 차별과 배제를 멈춰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차한선 : "전동휠 타고서 지하철을 타거나 하면 되게 불쌍하게 보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전 불쌍한 사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런 편견들이 바뀌었으면 좋겠고..."]
참가자들은 특히 코로나19라는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들은 더욱 심각한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21대 국회는 장애등급제 진짜 철폐하라."]
장애인 단체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장애인 공약 1호'인 장애인 권리 보장법이 아직도 제정되지 않았다며 21대 국회가 나서라고 요구했습니다.
[박경석/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 "문재인 대통령이 약속한 것만이라도 제대로 지켜주십시오. 장애 등급제 폐지한다고 했는데 제대로 폐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날'이 아니라 '장애인 차별철폐의 날'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장애인 단체들.
장애인은 단순히 시혜와 동정의 대상이 아니라 정당한 권리를 쟁취하는 주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장애인의 날이 제정된지 벌써 40년이나 흘렀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차별과 배제가 여전하다고 장애인들은 말합니다.
다음달 개원하는 21대 국회에 장애인 관련 법안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호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로 한 편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행진합니다.
'장애인 권리보장'을 요구하는 팻말을 목에 건 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밧줄을 잡고 움직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장애인의 날 행사는 조금 변화가 있었습니다.
참석 인원도 2천여 명에서 250여 명으로 줄었고, 한 사람마다 2미터 씩 사회적 거리두기를 두면서 행진을 하게 됐습니다.
궂은 날씨에도 거리로 나선 이들은 장애인을 향한 차별과 배제를 멈춰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차한선 : "전동휠 타고서 지하철을 타거나 하면 되게 불쌍하게 보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전 불쌍한 사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런 편견들이 바뀌었으면 좋겠고..."]
참가자들은 특히 코로나19라는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들은 더욱 심각한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21대 국회는 장애등급제 진짜 철폐하라."]
장애인 단체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장애인 공약 1호'인 장애인 권리 보장법이 아직도 제정되지 않았다며 21대 국회가 나서라고 요구했습니다.
[박경석/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 "문재인 대통령이 약속한 것만이라도 제대로 지켜주십시오. 장애 등급제 폐지한다고 했는데 제대로 폐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날'이 아니라 '장애인 차별철폐의 날'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장애인 단체들.
장애인은 단순히 시혜와 동정의 대상이 아니라 정당한 권리를 쟁취하는 주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