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가 ‘코로나19 맞춤형’ 인공호흡기 개발
입력 2020.04.25 (21:53)
수정 2020.04.25 (22: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공학 기술자들이 코로나 19 치료를 위한 맞춤형 인공호흡기를 개발했습니다.
'바이털'이라고 이름을 붙인 인공호흡기는 기존 인공호흡기와 마찬가지로 진정제를 맞은 환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호흡을 돕습니다.
특히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의료현장의 요구에 따라 기존 기기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다만 병원에서 수년간 고정설비로 유지되는 기존 호흡기와 달리 3∼4개월만 유지될 정도의 내구성을 지닌 비상용 기기입니다.
기존 호흡기보다 적은 수의 부품이 들어가 제작 시간이 짧은 데다 설치와 유지 관리도 쉬워 호텔, 컨벤션센터에 차려진 간이병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고 나사 기술자들은 설명했습니다.
나사 기술자들은 바이털이 의료현장에 전달되면 중증 환자들이 기존 인공호흡기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여유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바이털'이라고 이름을 붙인 인공호흡기는 기존 인공호흡기와 마찬가지로 진정제를 맞은 환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호흡을 돕습니다.
특히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의료현장의 요구에 따라 기존 기기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다만 병원에서 수년간 고정설비로 유지되는 기존 호흡기와 달리 3∼4개월만 유지될 정도의 내구성을 지닌 비상용 기기입니다.
기존 호흡기보다 적은 수의 부품이 들어가 제작 시간이 짧은 데다 설치와 유지 관리도 쉬워 호텔, 컨벤션센터에 차려진 간이병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고 나사 기술자들은 설명했습니다.
나사 기술자들은 바이털이 의료현장에 전달되면 중증 환자들이 기존 인공호흡기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여유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NASA가 ‘코로나19 맞춤형’ 인공호흡기 개발
-
- 입력 2020-04-25 21:53:44
- 수정2020-04-25 22:53:33

미국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공학 기술자들이 코로나 19 치료를 위한 맞춤형 인공호흡기를 개발했습니다.
'바이털'이라고 이름을 붙인 인공호흡기는 기존 인공호흡기와 마찬가지로 진정제를 맞은 환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호흡을 돕습니다.
특히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의료현장의 요구에 따라 기존 기기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다만 병원에서 수년간 고정설비로 유지되는 기존 호흡기와 달리 3∼4개월만 유지될 정도의 내구성을 지닌 비상용 기기입니다.
기존 호흡기보다 적은 수의 부품이 들어가 제작 시간이 짧은 데다 설치와 유지 관리도 쉬워 호텔, 컨벤션센터에 차려진 간이병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고 나사 기술자들은 설명했습니다.
나사 기술자들은 바이털이 의료현장에 전달되면 중증 환자들이 기존 인공호흡기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여유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바이털'이라고 이름을 붙인 인공호흡기는 기존 인공호흡기와 마찬가지로 진정제를 맞은 환자들에게 산소를 공급해 호흡을 돕습니다.
특히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의료현장의 요구에 따라 기존 기기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다만 병원에서 수년간 고정설비로 유지되는 기존 호흡기와 달리 3∼4개월만 유지될 정도의 내구성을 지닌 비상용 기기입니다.
기존 호흡기보다 적은 수의 부품이 들어가 제작 시간이 짧은 데다 설치와 유지 관리도 쉬워 호텔, 컨벤션센터에 차려진 간이병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고 나사 기술자들은 설명했습니다.
나사 기술자들은 바이털이 의료현장에 전달되면 중증 환자들이 기존 인공호흡기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여유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은준수 기자 eunjs@kbs.co.kr
은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