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으로 시장 사퇴…부산시의회 견제 상실
입력 2020.04.30 (09:12)
수정 2020.04.30 (0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성추행으로 인한 시장 사퇴라는 초유의 사태로 시정 위기는 물론 시민들의 분노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시정 운영의 한 축인 시의회는 애매한 사과만 되풀이할 뿐 책임 소재 추궁과 중요 시정 대책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어 견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거돈 시장의 사퇴 후 열린 부산시의회 임시회 첫날.
오거돈 전 시장 사태와 관련해 시의회 의장과 시정 질의에 나서는 의원이 유감과 사과를 표명했습니다.
하지만 그게 전부였습니다.
첫날 질의는 강아지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복지 문제만 나왔습니다.
둘째 날도 마찬가지.
시의원 누구 하나 오 전 시장과 정무라인의 책임을 추궁하거나 중요 국책 사업 대책 등에 대한 질의를 하지 않았습니다.
같은 당 감싸주기냐는 비판이 일자 어제(29일) 아침 더불어민주당 원내 대표가 갑자기 교섭 단체 대표 연설에 나섰지만 2차 피해 방지라는 말만 되풀이했습니다.
야당 의원 5명은 시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윤지영/부산시의회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 "저는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로서 의장님께 제안합니다. 오거돈 전 시장의 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시의회 차원의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건 발생부터 사퇴까지의 모든 의혹을 철저하게 규명할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그러나 시의원 10명 이상이 서명해야 진상조사특위 구성이 가능한데 시의원 47명 가운데 41명이 민주당인 현 원 구성에서는 특위 구성도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성추행으로 인한 시장 사퇴라는 초유의 사태로 시정 위기는 물론 시민들의 분노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시정 운영의 한 축인 시의회는 애매한 사과만 되풀이할 뿐 책임 소재 추궁과 중요 시정 대책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어 견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거돈 시장의 사퇴 후 열린 부산시의회 임시회 첫날.
오거돈 전 시장 사태와 관련해 시의회 의장과 시정 질의에 나서는 의원이 유감과 사과를 표명했습니다.
하지만 그게 전부였습니다.
첫날 질의는 강아지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복지 문제만 나왔습니다.
둘째 날도 마찬가지.
시의원 누구 하나 오 전 시장과 정무라인의 책임을 추궁하거나 중요 국책 사업 대책 등에 대한 질의를 하지 않았습니다.
같은 당 감싸주기냐는 비판이 일자 어제(29일) 아침 더불어민주당 원내 대표가 갑자기 교섭 단체 대표 연설에 나섰지만 2차 피해 방지라는 말만 되풀이했습니다.
야당 의원 5명은 시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윤지영/부산시의회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 "저는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로서 의장님께 제안합니다. 오거돈 전 시장의 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시의회 차원의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건 발생부터 사퇴까지의 모든 의혹을 철저하게 규명할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그러나 시의원 10명 이상이 서명해야 진상조사특위 구성이 가능한데 시의원 47명 가운데 41명이 민주당인 현 원 구성에서는 특위 구성도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추행으로 시장 사퇴…부산시의회 견제 상실
-
- 입력 2020-04-30 09:12:59
- 수정2020-04-30 09:53:53

[앵커]
성추행으로 인한 시장 사퇴라는 초유의 사태로 시정 위기는 물론 시민들의 분노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시정 운영의 한 축인 시의회는 애매한 사과만 되풀이할 뿐 책임 소재 추궁과 중요 시정 대책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어 견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거돈 시장의 사퇴 후 열린 부산시의회 임시회 첫날.
오거돈 전 시장 사태와 관련해 시의회 의장과 시정 질의에 나서는 의원이 유감과 사과를 표명했습니다.
하지만 그게 전부였습니다.
첫날 질의는 강아지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복지 문제만 나왔습니다.
둘째 날도 마찬가지.
시의원 누구 하나 오 전 시장과 정무라인의 책임을 추궁하거나 중요 국책 사업 대책 등에 대한 질의를 하지 않았습니다.
같은 당 감싸주기냐는 비판이 일자 어제(29일) 아침 더불어민주당 원내 대표가 갑자기 교섭 단체 대표 연설에 나섰지만 2차 피해 방지라는 말만 되풀이했습니다.
야당 의원 5명은 시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윤지영/부산시의회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 "저는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로서 의장님께 제안합니다. 오거돈 전 시장의 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시의회 차원의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건 발생부터 사퇴까지의 모든 의혹을 철저하게 규명할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그러나 시의원 10명 이상이 서명해야 진상조사특위 구성이 가능한데 시의원 47명 가운데 41명이 민주당인 현 원 구성에서는 특위 구성도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
-
강지아 기자 jia@kbs.co.kr
강지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