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재난지원금 오늘부터 방문 신청…어떻게 하면 되나요?
입력 2020.05.18 (06:12)
수정 2020.05.18 (06: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그동안 온라인으로만 받다 보니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상당히 불편하셨을 텐데요.
오늘부턴 은행 창구와 전국 주민센터를 방문해 재난지원금을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 최은진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자주 쓰는 체크카드로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으려는 송미원 씨.
한 주 더 기다리더라도 은행에 가서 직접 신청할 생각입니다.
[송미원/서울시 영등포구 : "(온라인 신청은) 엄두도 안 냈죠, 잘 모르니까. 아무래도 휴대전화나 인터넷으로 하는 게 낯설고 어려우니까 은행에 직접 가서 하려고 그러죠."]
이처럼 온라인 신청에 어려움을 겪었던 세대주들도 오늘부턴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용·체크카드 충전은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연계된 은행이 없는 삼성카드와 롯데카드는 은행 창구가 아닌 별도의 카드센터에서 신청을 받습니다.
다만, 현대카드는 현장 접수를 하지 않습니다.
방문 접수 첫 주인 오늘부터 22일까지는 온라인과 마찬가지로 5부제가 적용됩니다.
또 오늘부터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 신청을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받습니다.
원칙적으로 세대주 본인이 방문해야 하지만, 위임장을 지참하면 세대원이 대신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공적 마스크 판매처럼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신청 첫날인 월요일엔 출생연도 끝자리가 1이나 6인 세대주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로 받는 긴급재난지원금은 물량이 부족하지 않으면 신청 즉시 지급됩니다.
8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고, 그때까지 사용하지 못한 지원금은 소멸합니다.
종이로 된 지역사랑상품권은 사용기한이 5년이지만, 정부는 8월 31일까지 사용하도록 권고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최은진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그동안 온라인으로만 받다 보니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상당히 불편하셨을 텐데요.
오늘부턴 은행 창구와 전국 주민센터를 방문해 재난지원금을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 최은진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자주 쓰는 체크카드로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으려는 송미원 씨.
한 주 더 기다리더라도 은행에 가서 직접 신청할 생각입니다.
[송미원/서울시 영등포구 : "(온라인 신청은) 엄두도 안 냈죠, 잘 모르니까. 아무래도 휴대전화나 인터넷으로 하는 게 낯설고 어려우니까 은행에 직접 가서 하려고 그러죠."]
이처럼 온라인 신청에 어려움을 겪었던 세대주들도 오늘부턴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용·체크카드 충전은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연계된 은행이 없는 삼성카드와 롯데카드는 은행 창구가 아닌 별도의 카드센터에서 신청을 받습니다.
다만, 현대카드는 현장 접수를 하지 않습니다.
방문 접수 첫 주인 오늘부터 22일까지는 온라인과 마찬가지로 5부제가 적용됩니다.
또 오늘부터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 신청을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받습니다.
원칙적으로 세대주 본인이 방문해야 하지만, 위임장을 지참하면 세대원이 대신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공적 마스크 판매처럼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신청 첫날인 월요일엔 출생연도 끝자리가 1이나 6인 세대주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로 받는 긴급재난지원금은 물량이 부족하지 않으면 신청 즉시 지급됩니다.
8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고, 그때까지 사용하지 못한 지원금은 소멸합니다.
종이로 된 지역사랑상품권은 사용기한이 5년이지만, 정부는 8월 31일까지 사용하도록 권고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최은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긴급재난지원금 오늘부터 방문 신청…어떻게 하면 되나요?
-
- 입력 2020-05-18 06:16:43
- 수정2020-05-18 06:22:12

[앵커]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그동안 온라인으로만 받다 보니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상당히 불편하셨을 텐데요.
오늘부턴 은행 창구와 전국 주민센터를 방문해 재난지원금을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 최은진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자주 쓰는 체크카드로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으려는 송미원 씨.
한 주 더 기다리더라도 은행에 가서 직접 신청할 생각입니다.
[송미원/서울시 영등포구 : "(온라인 신청은) 엄두도 안 냈죠, 잘 모르니까. 아무래도 휴대전화나 인터넷으로 하는 게 낯설고 어려우니까 은행에 직접 가서 하려고 그러죠."]
이처럼 온라인 신청에 어려움을 겪었던 세대주들도 오늘부턴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용·체크카드 충전은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연계된 은행이 없는 삼성카드와 롯데카드는 은행 창구가 아닌 별도의 카드센터에서 신청을 받습니다.
다만, 현대카드는 현장 접수를 하지 않습니다.
방문 접수 첫 주인 오늘부터 22일까지는 온라인과 마찬가지로 5부제가 적용됩니다.
또 오늘부터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 신청을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받습니다.
원칙적으로 세대주 본인이 방문해야 하지만, 위임장을 지참하면 세대원이 대신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공적 마스크 판매처럼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신청 첫날인 월요일엔 출생연도 끝자리가 1이나 6인 세대주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로 받는 긴급재난지원금은 물량이 부족하지 않으면 신청 즉시 지급됩니다.
8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고, 그때까지 사용하지 못한 지원금은 소멸합니다.
종이로 된 지역사랑상품권은 사용기한이 5년이지만, 정부는 8월 31일까지 사용하도록 권고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최은진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그동안 온라인으로만 받다 보니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상당히 불편하셨을 텐데요.
오늘부턴 은행 창구와 전국 주민센터를 방문해 재난지원금을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 최은진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자주 쓰는 체크카드로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으려는 송미원 씨.
한 주 더 기다리더라도 은행에 가서 직접 신청할 생각입니다.
[송미원/서울시 영등포구 : "(온라인 신청은) 엄두도 안 냈죠, 잘 모르니까. 아무래도 휴대전화나 인터넷으로 하는 게 낯설고 어려우니까 은행에 직접 가서 하려고 그러죠."]
이처럼 온라인 신청에 어려움을 겪었던 세대주들도 오늘부턴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용·체크카드 충전은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연계된 은행이 없는 삼성카드와 롯데카드는 은행 창구가 아닌 별도의 카드센터에서 신청을 받습니다.
다만, 현대카드는 현장 접수를 하지 않습니다.
방문 접수 첫 주인 오늘부터 22일까지는 온라인과 마찬가지로 5부제가 적용됩니다.
또 오늘부터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 신청을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받습니다.
원칙적으로 세대주 본인이 방문해야 하지만, 위임장을 지참하면 세대원이 대신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공적 마스크 판매처럼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신청 첫날인 월요일엔 출생연도 끝자리가 1이나 6인 세대주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로 받는 긴급재난지원금은 물량이 부족하지 않으면 신청 즉시 지급됩니다.
8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고, 그때까지 사용하지 못한 지원금은 소멸합니다.
종이로 된 지역사랑상품권은 사용기한이 5년이지만, 정부는 8월 31일까지 사용하도록 권고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최은진입니다.

-
-
최은진 기자 ejch@kbs.co.kr
최은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