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자는 거 아니다”…앞으로 위안부 운동은?

입력 2020.06.04 (06:38) 수정 2020.06.04 (08: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제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위안부 없는 위안부 운동'까지도 고민해야 하는 시기가 됐습니다.

문제를 제기한 이용수 할머니도 끝내자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는데요.

그럼 앞으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은 어떻게 이어가야 할까요?

계속해서 이호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5년 일본 아베 총리의 미 의회 연설에 맞춰 미국을 찾은 이용수 할머니.

[이용수/피해 할머니/2015년 4월 : "역사의 산증인 피해자가 있습니다. 여러분 어떻습니까? 아베 눈앞에 똑똑히 보여야 됩니다."]

항공편부터 숙박 등 모든 비용은 시민단체 몫이었습니다.

[이정실/워싱턴 정대위 회장 : "당연히 먹고 드시고 여기 있는 생활비, 용돈 드리고 그런 건 다 저희가 알아서 했죠."]

이처럼 증언 수집부터 연구, 해외 홍보까지 위안부 운동은 지난 30년간 시민단체 소수의 활동가들에게 맡겨졌습니다.

그 과정에서 의사결정과 회계의 투명성은 늘 뒷전으로 밀렸습니다.

[정혜경/일제강제동원 평화연구회 연구위원 : "연구성과를 내거나 단체에서 활동할 때 추구해야 될 방향이 올바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절차 등은 조금 신경을 못 쓴 측면은 있어요."]

정부의 역할은 피해자들에게 생활비를 지원하는 데 그쳤습니다.

2011년 위안부 문제 해결에 국가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헌법재판소가 결정했지만 달라진 건 없었습니다.

2년 전에서야 정부는 관련 연구소를 세웠지만, 이마저도 10명가량의 계약직 직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김소라/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소장 : "(공모사업) 공고에 나오는 내용을 보고 저희도 (예산을) 확인할 수 있거든요. 팀원 선생님들은 다 계약해지를 하게 되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기가 어렵죠."]

20대 국회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지원하는 기구를 만들자는 논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관련 법안은 상임위 문턱도 넘지 못하고 결국 폐기됐습니다.

[김창록/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정부에 따라서 입장이 바뀌기도 했고요. 그런 과정에서 한국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 혹은 체계적인 문제 해결이라는 것은 아무래도 부족했다…"]

이제 생존해 있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단 17명.

더 이상 피해자에 의존하는 위안부 운동이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의 책임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국민들은 묻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끝내자는 거 아니다”…앞으로 위안부 운동은?
    • 입력 2020-06-04 06:49:48
    • 수정2020-06-04 08:13:05
    뉴스광장 1부
[앵커]

이제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위안부 없는 위안부 운동'까지도 고민해야 하는 시기가 됐습니다.

문제를 제기한 이용수 할머니도 끝내자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는데요.

그럼 앞으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은 어떻게 이어가야 할까요?

계속해서 이호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5년 일본 아베 총리의 미 의회 연설에 맞춰 미국을 찾은 이용수 할머니.

[이용수/피해 할머니/2015년 4월 : "역사의 산증인 피해자가 있습니다. 여러분 어떻습니까? 아베 눈앞에 똑똑히 보여야 됩니다."]

항공편부터 숙박 등 모든 비용은 시민단체 몫이었습니다.

[이정실/워싱턴 정대위 회장 : "당연히 먹고 드시고 여기 있는 생활비, 용돈 드리고 그런 건 다 저희가 알아서 했죠."]

이처럼 증언 수집부터 연구, 해외 홍보까지 위안부 운동은 지난 30년간 시민단체 소수의 활동가들에게 맡겨졌습니다.

그 과정에서 의사결정과 회계의 투명성은 늘 뒷전으로 밀렸습니다.

[정혜경/일제강제동원 평화연구회 연구위원 : "연구성과를 내거나 단체에서 활동할 때 추구해야 될 방향이 올바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절차 등은 조금 신경을 못 쓴 측면은 있어요."]

정부의 역할은 피해자들에게 생활비를 지원하는 데 그쳤습니다.

2011년 위안부 문제 해결에 국가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헌법재판소가 결정했지만 달라진 건 없었습니다.

2년 전에서야 정부는 관련 연구소를 세웠지만, 이마저도 10명가량의 계약직 직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김소라/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소장 : "(공모사업) 공고에 나오는 내용을 보고 저희도 (예산을) 확인할 수 있거든요. 팀원 선생님들은 다 계약해지를 하게 되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기가 어렵죠."]

20대 국회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지원하는 기구를 만들자는 논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관련 법안은 상임위 문턱도 넘지 못하고 결국 폐기됐습니다.

[김창록/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정부에 따라서 입장이 바뀌기도 했고요. 그런 과정에서 한국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 혹은 체계적인 문제 해결이라는 것은 아무래도 부족했다…"]

이제 생존해 있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단 17명.

더 이상 피해자에 의존하는 위안부 운동이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의 책임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국민들은 묻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