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언 유착’ 의혹 제보자, 검찰 피고발인 출석 요청 거부…“고발 각하해야”
입력 2020.06.10 (16:07)
수정 2020.06.10 (16: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언 유착' 의혹을 MBC에 제보한 제보자 지 모 씨가 검찰의 피고발인 신분 출석 요청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지 씨는 오늘(10일) 자신의 변호인인 황희석 전 법무부 인권국장을 통해 "최근 존재 자체가 의심스러운 '법세련'이라는 단체가 고발한 사건에 대해서 검찰이 출석을 요청했다"며 "하지만 이 출석 요청에는 거부하나 '조건부 출석'을 하려고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 씨는 또, "(법세련이) 고발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고발의 범죄 혐의가 인정되는지는 이미 제출한 자료를 가지고도 충분히 검찰에서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채널A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만을 보더라도 취재 윤리를 위반했다고 인정하고 있고, 피고발인 조사의 수사 방법이 아니더라도, 검찰에서는 충분히 각하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 씨는 이어 같은 수사 부서에서 수사 중인 나경원 전 의원의 자녀 입시 비리 의혹을 예로 들며 "검찰은 나경원 전 의원에 대해서는 1년이 되는 지금까지도 검찰은 단 한 차례의 피고발인 조사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법치주의바로세우기행동연대(법세련)는 지난달, 지 씨가 채널 A 이 모 기자를 속여 업무를 방해하고 '검언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고 주장하며 대검찰청에 A 씨를 고발했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 배당됐습니다.
당시 법세련은 지 씨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속여 이 모 기자에게 검사와의 통화 녹음 등을 먼저 요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2019년부터 민생경제연구소 등은 나 전 의원이 자녀 입시 비리에 연루돼 있다며 관련 고발을 이어왔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서 수사 중입니다.
한편, 지 씨의 제보를 받은 MBC는 채널A 기자가 검사장급 검사가 유착하고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먼트 코리아 대표를 강압적으로 취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일부 시민단체 등이 관련 의혹을 규명해달라고 검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채널A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관련 의혹을 수사중입니다.
지 씨 역시 이 사건과 관련해서는 최근 검찰에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은 바 있습니다.
지 씨는 오늘(10일) 자신의 변호인인 황희석 전 법무부 인권국장을 통해 "최근 존재 자체가 의심스러운 '법세련'이라는 단체가 고발한 사건에 대해서 검찰이 출석을 요청했다"며 "하지만 이 출석 요청에는 거부하나 '조건부 출석'을 하려고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 씨는 또, "(법세련이) 고발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고발의 범죄 혐의가 인정되는지는 이미 제출한 자료를 가지고도 충분히 검찰에서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채널A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만을 보더라도 취재 윤리를 위반했다고 인정하고 있고, 피고발인 조사의 수사 방법이 아니더라도, 검찰에서는 충분히 각하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 씨는 이어 같은 수사 부서에서 수사 중인 나경원 전 의원의 자녀 입시 비리 의혹을 예로 들며 "검찰은 나경원 전 의원에 대해서는 1년이 되는 지금까지도 검찰은 단 한 차례의 피고발인 조사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법치주의바로세우기행동연대(법세련)는 지난달, 지 씨가 채널 A 이 모 기자를 속여 업무를 방해하고 '검언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고 주장하며 대검찰청에 A 씨를 고발했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 배당됐습니다.
당시 법세련은 지 씨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속여 이 모 기자에게 검사와의 통화 녹음 등을 먼저 요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2019년부터 민생경제연구소 등은 나 전 의원이 자녀 입시 비리에 연루돼 있다며 관련 고발을 이어왔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서 수사 중입니다.
한편, 지 씨의 제보를 받은 MBC는 채널A 기자가 검사장급 검사가 유착하고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먼트 코리아 대표를 강압적으로 취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일부 시민단체 등이 관련 의혹을 규명해달라고 검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채널A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관련 의혹을 수사중입니다.
지 씨 역시 이 사건과 관련해서는 최근 검찰에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은 바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검언 유착’ 의혹 제보자, 검찰 피고발인 출석 요청 거부…“고발 각하해야”
-
- 입력 2020-06-10 16:07:13
- 수정2020-06-10 16:09:23

'검언 유착' 의혹을 MBC에 제보한 제보자 지 모 씨가 검찰의 피고발인 신분 출석 요청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지 씨는 오늘(10일) 자신의 변호인인 황희석 전 법무부 인권국장을 통해 "최근 존재 자체가 의심스러운 '법세련'이라는 단체가 고발한 사건에 대해서 검찰이 출석을 요청했다"며 "하지만 이 출석 요청에는 거부하나 '조건부 출석'을 하려고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 씨는 또, "(법세련이) 고발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고발의 범죄 혐의가 인정되는지는 이미 제출한 자료를 가지고도 충분히 검찰에서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채널A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만을 보더라도 취재 윤리를 위반했다고 인정하고 있고, 피고발인 조사의 수사 방법이 아니더라도, 검찰에서는 충분히 각하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 씨는 이어 같은 수사 부서에서 수사 중인 나경원 전 의원의 자녀 입시 비리 의혹을 예로 들며 "검찰은 나경원 전 의원에 대해서는 1년이 되는 지금까지도 검찰은 단 한 차례의 피고발인 조사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법치주의바로세우기행동연대(법세련)는 지난달, 지 씨가 채널 A 이 모 기자를 속여 업무를 방해하고 '검언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고 주장하며 대검찰청에 A 씨를 고발했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 배당됐습니다.
당시 법세련은 지 씨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속여 이 모 기자에게 검사와의 통화 녹음 등을 먼저 요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2019년부터 민생경제연구소 등은 나 전 의원이 자녀 입시 비리에 연루돼 있다며 관련 고발을 이어왔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서 수사 중입니다.
한편, 지 씨의 제보를 받은 MBC는 채널A 기자가 검사장급 검사가 유착하고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먼트 코리아 대표를 강압적으로 취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일부 시민단체 등이 관련 의혹을 규명해달라고 검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채널A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관련 의혹을 수사중입니다.
지 씨 역시 이 사건과 관련해서는 최근 검찰에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은 바 있습니다.
지 씨는 오늘(10일) 자신의 변호인인 황희석 전 법무부 인권국장을 통해 "최근 존재 자체가 의심스러운 '법세련'이라는 단체가 고발한 사건에 대해서 검찰이 출석을 요청했다"며 "하지만 이 출석 요청에는 거부하나 '조건부 출석'을 하려고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 씨는 또, "(법세련이) 고발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고발의 범죄 혐의가 인정되는지는 이미 제출한 자료를 가지고도 충분히 검찰에서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채널A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만을 보더라도 취재 윤리를 위반했다고 인정하고 있고, 피고발인 조사의 수사 방법이 아니더라도, 검찰에서는 충분히 각하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 씨는 이어 같은 수사 부서에서 수사 중인 나경원 전 의원의 자녀 입시 비리 의혹을 예로 들며 "검찰은 나경원 전 의원에 대해서는 1년이 되는 지금까지도 검찰은 단 한 차례의 피고발인 조사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법치주의바로세우기행동연대(법세련)는 지난달, 지 씨가 채널 A 이 모 기자를 속여 업무를 방해하고 '검언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고 주장하며 대검찰청에 A 씨를 고발했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 배당됐습니다.
당시 법세련은 지 씨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속여 이 모 기자에게 검사와의 통화 녹음 등을 먼저 요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2019년부터 민생경제연구소 등은 나 전 의원이 자녀 입시 비리에 연루돼 있다며 관련 고발을 이어왔고, 해당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서 수사 중입니다.
한편, 지 씨의 제보를 받은 MBC는 채널A 기자가 검사장급 검사가 유착하고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먼트 코리아 대표를 강압적으로 취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일부 시민단체 등이 관련 의혹을 규명해달라고 검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채널A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관련 의혹을 수사중입니다.
지 씨 역시 이 사건과 관련해서는 최근 검찰에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은 바 있습니다.
-
-
방준원 기자 pcbang@kbs.co.kr
방준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