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영향으로 1분기 기업 자산 효율성 2015년 이후 최저
입력 2020.06.18 (09:20)
수정 2020.06.18 (0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이 보유 자산을 얼마나 잘 이용했는지를 나타내는 총자산회전율이 올해 1분기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한국은행 조사 결과 올해 1∼3월 전체 산업에 걸친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0.76회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얼마나 자산을 효율적으로 쓰는지를 볼 수 있는 활동성 지표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자산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1회에 못 미치는 것은 그만큼 자산을 적정한 수준으로 돌리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한은이 추산한 지난해 4분기 회전율(0.86회)이나 지난해 1분기(0.82회)보다 하락한 것으로, 한은이 이 통계를 작성한 2015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한은은 일부 상장기업만 공시하는 4분기의 경우 이전 통계를 바탕으로 추산하고, 공식적으로는 발표하지 않습니다.
공식 통계치인 연도별 1∼3분기와 비교했을 때도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최저치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2015년 1분기 이래 0.80회대에서 움직이다가 2017년 3분기 0.90회로 가장 높이 올랐습니다.
이듬해 다시 0.80%대로 내려앉은 총자산회전율은 지난해 1∼3분기에는 내내 0.82회에 머물다가 4분기에 0.86회(추정치)로 상승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총자산회전율이 떨어졌다는 것은 기업들이 투자 등으로 매출을 창출하는 회전성이 떨어졌다는 뜻"이라며 "최근에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기업 사정이 많이 나빠졌기 때문에 수치가 낮게 나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태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충격이 크다는 게 중론인데, 확실히 기업 입장에서는 더 큰 외부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한국은행 조사 결과 올해 1∼3월 전체 산업에 걸친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0.76회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얼마나 자산을 효율적으로 쓰는지를 볼 수 있는 활동성 지표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자산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1회에 못 미치는 것은 그만큼 자산을 적정한 수준으로 돌리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한은이 추산한 지난해 4분기 회전율(0.86회)이나 지난해 1분기(0.82회)보다 하락한 것으로, 한은이 이 통계를 작성한 2015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한은은 일부 상장기업만 공시하는 4분기의 경우 이전 통계를 바탕으로 추산하고, 공식적으로는 발표하지 않습니다.
공식 통계치인 연도별 1∼3분기와 비교했을 때도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최저치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2015년 1분기 이래 0.80회대에서 움직이다가 2017년 3분기 0.90회로 가장 높이 올랐습니다.
이듬해 다시 0.80%대로 내려앉은 총자산회전율은 지난해 1∼3분기에는 내내 0.82회에 머물다가 4분기에 0.86회(추정치)로 상승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총자산회전율이 떨어졌다는 것은 기업들이 투자 등으로 매출을 창출하는 회전성이 떨어졌다는 뜻"이라며 "최근에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기업 사정이 많이 나빠졌기 때문에 수치가 낮게 나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태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충격이 크다는 게 중론인데, 확실히 기업 입장에서는 더 큰 외부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 영향으로 1분기 기업 자산 효율성 2015년 이후 최저
-
- 입력 2020-06-18 09:20:37
- 수정2020-06-18 09:53:22

기업이 보유 자산을 얼마나 잘 이용했는지를 나타내는 총자산회전율이 올해 1분기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한국은행 조사 결과 올해 1∼3월 전체 산업에 걸친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0.76회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얼마나 자산을 효율적으로 쓰는지를 볼 수 있는 활동성 지표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자산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1회에 못 미치는 것은 그만큼 자산을 적정한 수준으로 돌리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한은이 추산한 지난해 4분기 회전율(0.86회)이나 지난해 1분기(0.82회)보다 하락한 것으로, 한은이 이 통계를 작성한 2015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한은은 일부 상장기업만 공시하는 4분기의 경우 이전 통계를 바탕으로 추산하고, 공식적으로는 발표하지 않습니다.
공식 통계치인 연도별 1∼3분기와 비교했을 때도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최저치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2015년 1분기 이래 0.80회대에서 움직이다가 2017년 3분기 0.90회로 가장 높이 올랐습니다.
이듬해 다시 0.80%대로 내려앉은 총자산회전율은 지난해 1∼3분기에는 내내 0.82회에 머물다가 4분기에 0.86회(추정치)로 상승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총자산회전율이 떨어졌다는 것은 기업들이 투자 등으로 매출을 창출하는 회전성이 떨어졌다는 뜻"이라며 "최근에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기업 사정이 많이 나빠졌기 때문에 수치가 낮게 나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태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충격이 크다는 게 중론인데, 확실히 기업 입장에서는 더 큰 외부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한국은행 조사 결과 올해 1∼3월 전체 산업에 걸친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0.76회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얼마나 자산을 효율적으로 쓰는지를 볼 수 있는 활동성 지표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자산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1회에 못 미치는 것은 그만큼 자산을 적정한 수준으로 돌리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한은이 추산한 지난해 4분기 회전율(0.86회)이나 지난해 1분기(0.82회)보다 하락한 것으로, 한은이 이 통계를 작성한 2015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한은은 일부 상장기업만 공시하는 4분기의 경우 이전 통계를 바탕으로 추산하고, 공식적으로는 발표하지 않습니다.
공식 통계치인 연도별 1∼3분기와 비교했을 때도 올해 1분기 총자산회전율은 최저치입니다.
총자산회전율은 2015년 1분기 이래 0.80회대에서 움직이다가 2017년 3분기 0.90회로 가장 높이 올랐습니다.
이듬해 다시 0.80%대로 내려앉은 총자산회전율은 지난해 1∼3분기에는 내내 0.82회에 머물다가 4분기에 0.86회(추정치)로 상승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총자산회전율이 떨어졌다는 것은 기업들이 투자 등으로 매출을 창출하는 회전성이 떨어졌다는 뜻"이라며 "최근에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기업 사정이 많이 나빠졌기 때문에 수치가 낮게 나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태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충격이 크다는 게 중론인데, 확실히 기업 입장에서는 더 큰 외부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오현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