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장관 “대검찰청의 감찰 무력화 시정돼야…조치 밟을 것”
입력 2020.06.18 (12:16)
수정 2020.06.18 (1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한명숙 전 총리 사건 강압 수사 의혹’을 어느 부서에서 조사하느냐를 놓고 나타난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추 장관은 “대검찰청이 감찰을 무력화하려는 관례를 만들어선 안 된다”면서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수사 적절성 조사를 놓고 깊어지는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오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회의에서 나온 언급입니다.
추 장관이 언급한 사건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불법 정치자금 사건과 관련해 수사팀이 위증 등 부적절 행위를 했다는 주장으로 진정이 접수된 사건입니다.
애초 이 사건은 대검 감찰부로 갔다가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됐고, 현재는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감찰부에서 이 사건을 맡아야 한다는 뜻을 밝히며 반발하는 모양새입니다.
추 장관은 이에 대해 “대검찰청이 스스로 감찰을 무력화하는 관례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지금이라도 시정돼야 하고, 그런 조치를 밟을 것”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증 등 강압수사 논란에 대해선 “정확한 감찰 사안”이라면서 인권감독관실의 조사를 기다려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추 장관의 이번 발언은 해당 사건을 '감찰'이 아닌 '인권부서'에 배당한 윤석열 검찰총장의 조치를 정면 비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 장관은 시정 조치와 관련해선 이미 대검찰청에 공문을 내려보냈다고도 밝혔습니다.
반대로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이어서 한명숙 전 총리 관련 진정 처리를 놓고 법무부와 대검 사이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한명숙 전 총리 사건 강압 수사 의혹’을 어느 부서에서 조사하느냐를 놓고 나타난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추 장관은 “대검찰청이 감찰을 무력화하려는 관례를 만들어선 안 된다”면서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수사 적절성 조사를 놓고 깊어지는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오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회의에서 나온 언급입니다.
추 장관이 언급한 사건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불법 정치자금 사건과 관련해 수사팀이 위증 등 부적절 행위를 했다는 주장으로 진정이 접수된 사건입니다.
애초 이 사건은 대검 감찰부로 갔다가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됐고, 현재는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감찰부에서 이 사건을 맡아야 한다는 뜻을 밝히며 반발하는 모양새입니다.
추 장관은 이에 대해 “대검찰청이 스스로 감찰을 무력화하는 관례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지금이라도 시정돼야 하고, 그런 조치를 밟을 것”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증 등 강압수사 논란에 대해선 “정확한 감찰 사안”이라면서 인권감독관실의 조사를 기다려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추 장관의 이번 발언은 해당 사건을 '감찰'이 아닌 '인권부서'에 배당한 윤석열 검찰총장의 조치를 정면 비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 장관은 시정 조치와 관련해선 이미 대검찰청에 공문을 내려보냈다고도 밝혔습니다.
반대로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이어서 한명숙 전 총리 관련 진정 처리를 놓고 법무부와 대검 사이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미애 장관 “대검찰청의 감찰 무력화 시정돼야…조치 밟을 것”
-
- 입력 2020-06-18 12:18:14
- 수정2020-06-18 12:20:26

[앵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한명숙 전 총리 사건 강압 수사 의혹’을 어느 부서에서 조사하느냐를 놓고 나타난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추 장관은 “대검찰청이 감찰을 무력화하려는 관례를 만들어선 안 된다”면서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수사 적절성 조사를 놓고 깊어지는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오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회의에서 나온 언급입니다.
추 장관이 언급한 사건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불법 정치자금 사건과 관련해 수사팀이 위증 등 부적절 행위를 했다는 주장으로 진정이 접수된 사건입니다.
애초 이 사건은 대검 감찰부로 갔다가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됐고, 현재는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감찰부에서 이 사건을 맡아야 한다는 뜻을 밝히며 반발하는 모양새입니다.
추 장관은 이에 대해 “대검찰청이 스스로 감찰을 무력화하는 관례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지금이라도 시정돼야 하고, 그런 조치를 밟을 것”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증 등 강압수사 논란에 대해선 “정확한 감찰 사안”이라면서 인권감독관실의 조사를 기다려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추 장관의 이번 발언은 해당 사건을 '감찰'이 아닌 '인권부서'에 배당한 윤석열 검찰총장의 조치를 정면 비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 장관은 시정 조치와 관련해선 이미 대검찰청에 공문을 내려보냈다고도 밝혔습니다.
반대로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이어서 한명숙 전 총리 관련 진정 처리를 놓고 법무부와 대검 사이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한명숙 전 총리 사건 강압 수사 의혹’을 어느 부서에서 조사하느냐를 놓고 나타난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추 장관은 “대검찰청이 감찰을 무력화하려는 관례를 만들어선 안 된다”면서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수사 적절성 조사를 놓고 깊어지는 검찰 내부 갈등에 대해 시정 조치를 밟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오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회의에서 나온 언급입니다.
추 장관이 언급한 사건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불법 정치자금 사건과 관련해 수사팀이 위증 등 부적절 행위를 했다는 주장으로 진정이 접수된 사건입니다.
애초 이 사건은 대검 감찰부로 갔다가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됐고, 현재는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감찰부에서 이 사건을 맡아야 한다는 뜻을 밝히며 반발하는 모양새입니다.
추 장관은 이에 대해 “대검찰청이 스스로 감찰을 무력화하는 관례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지금이라도 시정돼야 하고, 그런 조치를 밟을 것”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증 등 강압수사 논란에 대해선 “정확한 감찰 사안”이라면서 인권감독관실의 조사를 기다려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추 장관의 이번 발언은 해당 사건을 '감찰'이 아닌 '인권부서'에 배당한 윤석열 검찰총장의 조치를 정면 비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 장관은 시정 조치와 관련해선 이미 대검찰청에 공문을 내려보냈다고도 밝혔습니다.
반대로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이어서 한명숙 전 총리 관련 진정 처리를 놓고 법무부와 대검 사이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
김진호 기자 hit@kbs.co.kr
김진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