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고향’ 합천서만 더딘 흔적 지우기
입력 2020.06.18 (13:37)
수정 2020.06.18 (14: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인 올해, 전두환 씨의 흔적을 지워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전두환 씨의 고향인 경남 합천에서도 전 씨의 잔재를 청산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그 속도는 더디기만 합니다.
전 씨의 고향마을 김애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전두환 씨의 생가입니다.
생가 앞 안내문에는 '국가의 총체적 위기를 수습한' 그리고 '임기를 마치고 스스로 물러난 최초의 대통령'으로 전 씨를 소개합니다.
방 안에는 전 씨의 사진을 전시해놨습니다.
합천군 공유재산으로 등록된 이곳에는 한 해 청소관리비로만 천만 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됩니다.
합천군 황강을 따라 조성된 '일해 공원'.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명칭은 지난 2007년 전두환 씨의 호를 딴 '일해공원'으로 변경됐습니다.
지역 시민단체는 공원의 이름을 바꾸고, 전 씨의 생가를 군 공유재산 목록에서도 제외하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박종철/적폐청산과 민주사회건설 경남운동본부 집행위원장 :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하고 전두환 생가에 국민 세금이 투입되지 않는 것. 그리고 전두환이 대통령 시절에 식수했던 나무들에 대한 흔적을 지우는 것은 전두환 흔적 지우기가 아니라 역사 바로 세우는 것입니다."]
합천군은 군민 의견을 물어 공원 명칭 변경을 검토하기로 했지만, 생가를 군 공유재산에서 제외하는 것은 지역 정서상 어려운 일이라고 답합니다.
[합천군 관계자/음성변조 : "또 한편 무시할 수 없는 것은 그 당시를 기억하고 계신 고향에 계신 여러분들이 같이 계시거든요. 어디를 보나 기본적인 정서라는 것은 말을 안 해도 공감을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곳 외에도 전 씨의 흔적은 합천군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합천군청 앞 정원입니다.
정원 한쪽에 있는 향나무 아래를 보면 1980년 9월 5일 전 씨가 심은 기념식수 표지석이 놓여있습니다.
80년 5월 광주 시민들을 무참히 짓밟고, 그해 대통령에 오른 지 나흘 뒤 고향에 식수한 겁니다.
또 임진왜란 당시 희생된 지역 의병들의 넋을 기리는 '창의사' 사당에도 전 씨의 낙관이 찍힌 친필 현판이 버젓이 걸려 있습니다.
독재자의 흔적을 지우고 역사 바로 세우자는 움직임이 전국에서 확산하고 있지만, 전 씨의 고향에선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인 올해, 전두환 씨의 흔적을 지워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전두환 씨의 고향인 경남 합천에서도 전 씨의 잔재를 청산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그 속도는 더디기만 합니다.
전 씨의 고향마을 김애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전두환 씨의 생가입니다.
생가 앞 안내문에는 '국가의 총체적 위기를 수습한' 그리고 '임기를 마치고 스스로 물러난 최초의 대통령'으로 전 씨를 소개합니다.
방 안에는 전 씨의 사진을 전시해놨습니다.
합천군 공유재산으로 등록된 이곳에는 한 해 청소관리비로만 천만 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됩니다.
합천군 황강을 따라 조성된 '일해 공원'.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명칭은 지난 2007년 전두환 씨의 호를 딴 '일해공원'으로 변경됐습니다.
지역 시민단체는 공원의 이름을 바꾸고, 전 씨의 생가를 군 공유재산 목록에서도 제외하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박종철/적폐청산과 민주사회건설 경남운동본부 집행위원장 :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하고 전두환 생가에 국민 세금이 투입되지 않는 것. 그리고 전두환이 대통령 시절에 식수했던 나무들에 대한 흔적을 지우는 것은 전두환 흔적 지우기가 아니라 역사 바로 세우는 것입니다."]
합천군은 군민 의견을 물어 공원 명칭 변경을 검토하기로 했지만, 생가를 군 공유재산에서 제외하는 것은 지역 정서상 어려운 일이라고 답합니다.
[합천군 관계자/음성변조 : "또 한편 무시할 수 없는 것은 그 당시를 기억하고 계신 고향에 계신 여러분들이 같이 계시거든요. 어디를 보나 기본적인 정서라는 것은 말을 안 해도 공감을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곳 외에도 전 씨의 흔적은 합천군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합천군청 앞 정원입니다.
정원 한쪽에 있는 향나무 아래를 보면 1980년 9월 5일 전 씨가 심은 기념식수 표지석이 놓여있습니다.
80년 5월 광주 시민들을 무참히 짓밟고, 그해 대통령에 오른 지 나흘 뒤 고향에 식수한 겁니다.
또 임진왜란 당시 희생된 지역 의병들의 넋을 기리는 '창의사' 사당에도 전 씨의 낙관이 찍힌 친필 현판이 버젓이 걸려 있습니다.
독재자의 흔적을 지우고 역사 바로 세우자는 움직임이 전국에서 확산하고 있지만, 전 씨의 고향에선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두환 고향’ 합천서만 더딘 흔적 지우기
-
- 입력 2020-06-18 13:37:36
- 수정2020-06-18 14:19:24

[앵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인 올해, 전두환 씨의 흔적을 지워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전두환 씨의 고향인 경남 합천에서도 전 씨의 잔재를 청산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그 속도는 더디기만 합니다.
전 씨의 고향마을 김애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전두환 씨의 생가입니다.
생가 앞 안내문에는 '국가의 총체적 위기를 수습한' 그리고 '임기를 마치고 스스로 물러난 최초의 대통령'으로 전 씨를 소개합니다.
방 안에는 전 씨의 사진을 전시해놨습니다.
합천군 공유재산으로 등록된 이곳에는 한 해 청소관리비로만 천만 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됩니다.
합천군 황강을 따라 조성된 '일해 공원'.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명칭은 지난 2007년 전두환 씨의 호를 딴 '일해공원'으로 변경됐습니다.
지역 시민단체는 공원의 이름을 바꾸고, 전 씨의 생가를 군 공유재산 목록에서도 제외하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박종철/적폐청산과 민주사회건설 경남운동본부 집행위원장 :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하고 전두환 생가에 국민 세금이 투입되지 않는 것. 그리고 전두환이 대통령 시절에 식수했던 나무들에 대한 흔적을 지우는 것은 전두환 흔적 지우기가 아니라 역사 바로 세우는 것입니다."]
합천군은 군민 의견을 물어 공원 명칭 변경을 검토하기로 했지만, 생가를 군 공유재산에서 제외하는 것은 지역 정서상 어려운 일이라고 답합니다.
[합천군 관계자/음성변조 : "또 한편 무시할 수 없는 것은 그 당시를 기억하고 계신 고향에 계신 여러분들이 같이 계시거든요. 어디를 보나 기본적인 정서라는 것은 말을 안 해도 공감을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곳 외에도 전 씨의 흔적은 합천군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합천군청 앞 정원입니다.
정원 한쪽에 있는 향나무 아래를 보면 1980년 9월 5일 전 씨가 심은 기념식수 표지석이 놓여있습니다.
80년 5월 광주 시민들을 무참히 짓밟고, 그해 대통령에 오른 지 나흘 뒤 고향에 식수한 겁니다.
또 임진왜란 당시 희생된 지역 의병들의 넋을 기리는 '창의사' 사당에도 전 씨의 낙관이 찍힌 친필 현판이 버젓이 걸려 있습니다.
독재자의 흔적을 지우고 역사 바로 세우자는 움직임이 전국에서 확산하고 있지만, 전 씨의 고향에선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
-
김애린 기자 thirsty@kbs.co.kr
김애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