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귀농·귀촌 인구는 늘어날까? 줄어들까?

입력 2020.06.25 (14:11) 수정 2020.07.02 (16: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19년 귀농·귀촌 6.4% 감소…"오랜 기간 준비하고 신중하게 선택"

2019년 귀농·귀촌 흐름과 특징이 오늘(25일) 발표됐습니다. 우선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6만 645명으로 전년보다 6.4% 감소했습니다. 경제 성장이 둔화하면서 인구 이동 자체가 감소한 데다 혁신도시 지방 이전이 종료되는 등의 영향도 있었을 겁니다. 신중하게 귀농하는 경향 등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귀농을 '해보고 말아야지'가 아니라 '알아보고 해야지'란 생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들이 누적된 결과일까요. 농식품부는 "귀농을 오랜 기간 준비하고 신중하게 선택하려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 이유로 지난해 1인 귀농 가구 비중(72.4%)이 전년(68.9%)보다 증가한 점을 언급했는데요. 가구주가 먼저 이주한 후에 가족 구성원이 합류하는 경향이 확대된 것이라고 본 겁니다.

또 귀농 초기에 임대 농지를 활용해보는 등 적정 투자 규모로 영농을 시작하고, 겸업 활동을 하는 귀농인들이 많아진 점과 고흥군이나 의성군 등 전통적인 농업 지역을 선택한 점 등을 들어 귀농을 신중하게 선택하고자 하는 경향을 확인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귀촌 가구의 34.1%가 취업과 사업 등을 이유로 귀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으려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귀농·귀촌 인구 늘어날 것…왜?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1997년 IMF 구제금융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고용이 위축되자 귀농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1997년 1,814가구에 그쳤던 귀농이 1998년 6,409가구로 3배 넘게 뛰었고, 2008년 2,218가구였던 귀농 가구 역시 2009년 4,080가구로 2배가량 뛴 겁니다.

코로나19로 제조업과 서비스 등 고용시장이 충격을 받으면서 벌써 통계청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달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155만 1,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3.6%(5만 4,000명) 늘어나며 주요 산업 중 보기 드문 취업자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도시민들의 귀농·귀촌 의향도 증가했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지난 4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과 수요 변화>에 따르면 귀농·귀촌 의향이 증가했다는 응답(20.3%)이 감소했다는 응답(8.2%)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 코로나19 이후 농업과 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이 커졌다고 응답한 비율도 69.5%에 달했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저밀도 농촌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 새로운 삶과 기회를 찾아 농어촌으로 이주하는 세대도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3년간 1,600명에게 월 최대 100만 원 지급 등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 급물살

정부는 귀농·귀촌에 관심이 있는 도시민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2020년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습니다.

우선 도시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농업 일자리 연계 단기 귀농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번 달 개편한 귀농귀촌종합센터 홈페이지(www.returnfarm.com)를 통해 이론과 실습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과 귀촌인에 대한 취업과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기로 했습니다. 특히 청년들의 영농초기 소득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월 최대 100만 원의 지원금을 최장 3년간 지원하고, 유망한 청년창업농을 민간이 발굴해 투자하는 영파머스 펀드도 100억 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입니다. 농장에서 6개월가량 장기간 체류하면서 실습할 수 있는 청년 장기교육 인원도 지난해 100명에서 올해는 150명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귀농·귀촌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농지와 주택 지원도 강화합니다. 성공적인 귀농·귀촌 정착을 위해서 37.0%가 농지 임대지원을, 16.6%가 주택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한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도 있는 만큼 농지은행이 유휴농지를 발굴, 복구해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하는 한편, 주로 빈집 수리 위주였던 귀농인의 집 지원 대상에 신축도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귀촌 희망자가 요청한 관심 정보에 대해 해당 지자체가 지역 정보나 지원정책 등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정보제공서비스도 지원할 예정"이라며 "도시민들이 농업과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이후 귀농·귀촌 인구는 늘어날까? 줄어들까?
    • 입력 2020-06-25 14:11:53
    • 수정2020-07-02 16:50:08
    취재K
■ 2019년 귀농·귀촌 6.4% 감소…"오랜 기간 준비하고 신중하게 선택"

2019년 귀농·귀촌 흐름과 특징이 오늘(25일) 발표됐습니다. 우선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6만 645명으로 전년보다 6.4% 감소했습니다. 경제 성장이 둔화하면서 인구 이동 자체가 감소한 데다 혁신도시 지방 이전이 종료되는 등의 영향도 있었을 겁니다. 신중하게 귀농하는 경향 등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귀농을 '해보고 말아야지'가 아니라 '알아보고 해야지'란 생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들이 누적된 결과일까요. 농식품부는 "귀농을 오랜 기간 준비하고 신중하게 선택하려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 이유로 지난해 1인 귀농 가구 비중(72.4%)이 전년(68.9%)보다 증가한 점을 언급했는데요. 가구주가 먼저 이주한 후에 가족 구성원이 합류하는 경향이 확대된 것이라고 본 겁니다.

또 귀농 초기에 임대 농지를 활용해보는 등 적정 투자 규모로 영농을 시작하고, 겸업 활동을 하는 귀농인들이 많아진 점과 고흥군이나 의성군 등 전통적인 농업 지역을 선택한 점 등을 들어 귀농을 신중하게 선택하고자 하는 경향을 확인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귀촌 가구의 34.1%가 취업과 사업 등을 이유로 귀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으려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귀농·귀촌 인구 늘어날 것…왜?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1997년 IMF 구제금융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고용이 위축되자 귀농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1997년 1,814가구에 그쳤던 귀농이 1998년 6,409가구로 3배 넘게 뛰었고, 2008년 2,218가구였던 귀농 가구 역시 2009년 4,080가구로 2배가량 뛴 겁니다.

코로나19로 제조업과 서비스 등 고용시장이 충격을 받으면서 벌써 통계청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달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155만 1,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3.6%(5만 4,000명) 늘어나며 주요 산업 중 보기 드문 취업자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도시민들의 귀농·귀촌 의향도 증가했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지난 4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과 수요 변화>에 따르면 귀농·귀촌 의향이 증가했다는 응답(20.3%)이 감소했다는 응답(8.2%)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 코로나19 이후 농업과 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이 커졌다고 응답한 비율도 69.5%에 달했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저밀도 농촌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 새로운 삶과 기회를 찾아 농어촌으로 이주하는 세대도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3년간 1,600명에게 월 최대 100만 원 지급 등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 급물살

정부는 귀농·귀촌에 관심이 있는 도시민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2020년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습니다.

우선 도시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농업 일자리 연계 단기 귀농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번 달 개편한 귀농귀촌종합센터 홈페이지(www.returnfarm.com)를 통해 이론과 실습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과 귀촌인에 대한 취업과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기로 했습니다. 특히 청년들의 영농초기 소득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월 최대 100만 원의 지원금을 최장 3년간 지원하고, 유망한 청년창업농을 민간이 발굴해 투자하는 영파머스 펀드도 100억 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입니다. 농장에서 6개월가량 장기간 체류하면서 실습할 수 있는 청년 장기교육 인원도 지난해 100명에서 올해는 150명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귀농·귀촌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농지와 주택 지원도 강화합니다. 성공적인 귀농·귀촌 정착을 위해서 37.0%가 농지 임대지원을, 16.6%가 주택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한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도 있는 만큼 농지은행이 유휴농지를 발굴, 복구해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하는 한편, 주로 빈집 수리 위주였던 귀농인의 집 지원 대상에 신축도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귀촌 희망자가 요청한 관심 정보에 대해 해당 지자체가 지역 정보나 지원정책 등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정보제공서비스도 지원할 예정"이라며 "도시민들이 농업과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