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은 보건소 관사, ‘치매 쉼터’로 변신
입력 2020.06.28 (21:52)
수정 2020.06.28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정부가 치매 국가 책임제를 약속했지만, 자치단체마다 치매 환자를 치료하거나 예방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할 시설은 부족합니다.
고성군은 활용도가 낮아진 보건 진료소 관사를 치매 쉼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만나서 반갑습니다."]
익숙한 동요와 함께 할머니들을 위한 수업이 시작됩니다.
이름과 장소, 시간의 개념을 되새기며 뇌 인지 능력을 키우는 '지남력' 수업,
전문 자격을 갖춘 강사의 흥겨운 수업을 들으며, 치매 환자와 치매 고위험군 할머니들은 질병 치료와 예방의 시간을 즐깁니다.
[박정혜/고성군 보건소 주무관 :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운동치료, 음악치료, 두뇌치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주 2회에서 3회 정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업이 진행되는 곳은 지난 2013년 뒤 상주 인력이 없어지면서 문을 닫은 옛 보건 진료소 관사,
고성군은 이들 12개 보건 진료소 관사를 지역 맞춤형 치매 예방센터로 바꿨습니다.
의료 취약 지역에서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역 밀착형 치매 예방과 관리까지 가능하도록 아이디어를 낸 것입니다.
[박정숙/고성군 보건소장 : "치매 어르신들이 꼭 병원에 가지 않고도, 자기가 태어난 고장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유휴 관사를 활용해서…."]
의료와 복지가 통합된 능동적인 치매 관리와 예방 사업,
전국에서 처음 시도되는 고성군의 아이디어에 진주와 합천 등 다른 자치단체들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정부가 치매 국가 책임제를 약속했지만, 자치단체마다 치매 환자를 치료하거나 예방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할 시설은 부족합니다.
고성군은 활용도가 낮아진 보건 진료소 관사를 치매 쉼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만나서 반갑습니다."]
익숙한 동요와 함께 할머니들을 위한 수업이 시작됩니다.
이름과 장소, 시간의 개념을 되새기며 뇌 인지 능력을 키우는 '지남력' 수업,
전문 자격을 갖춘 강사의 흥겨운 수업을 들으며, 치매 환자와 치매 고위험군 할머니들은 질병 치료와 예방의 시간을 즐깁니다.
[박정혜/고성군 보건소 주무관 :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운동치료, 음악치료, 두뇌치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주 2회에서 3회 정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업이 진행되는 곳은 지난 2013년 뒤 상주 인력이 없어지면서 문을 닫은 옛 보건 진료소 관사,
고성군은 이들 12개 보건 진료소 관사를 지역 맞춤형 치매 예방센터로 바꿨습니다.
의료 취약 지역에서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역 밀착형 치매 예방과 관리까지 가능하도록 아이디어를 낸 것입니다.
[박정숙/고성군 보건소장 : "치매 어르신들이 꼭 병원에 가지 않고도, 자기가 태어난 고장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유휴 관사를 활용해서…."]
의료와 복지가 통합된 능동적인 치매 관리와 예방 사업,
전국에서 처음 시도되는 고성군의 아이디어에 진주와 합천 등 다른 자치단체들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 닫은 보건소 관사, ‘치매 쉼터’로 변신
-
- 입력 2020-06-28 21:52:55
- 수정2020-06-28 22:09:45

[앵커]
정부가 치매 국가 책임제를 약속했지만, 자치단체마다 치매 환자를 치료하거나 예방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할 시설은 부족합니다.
고성군은 활용도가 낮아진 보건 진료소 관사를 치매 쉼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만나서 반갑습니다."]
익숙한 동요와 함께 할머니들을 위한 수업이 시작됩니다.
이름과 장소, 시간의 개념을 되새기며 뇌 인지 능력을 키우는 '지남력' 수업,
전문 자격을 갖춘 강사의 흥겨운 수업을 들으며, 치매 환자와 치매 고위험군 할머니들은 질병 치료와 예방의 시간을 즐깁니다.
[박정혜/고성군 보건소 주무관 :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운동치료, 음악치료, 두뇌치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주 2회에서 3회 정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업이 진행되는 곳은 지난 2013년 뒤 상주 인력이 없어지면서 문을 닫은 옛 보건 진료소 관사,
고성군은 이들 12개 보건 진료소 관사를 지역 맞춤형 치매 예방센터로 바꿨습니다.
의료 취약 지역에서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역 밀착형 치매 예방과 관리까지 가능하도록 아이디어를 낸 것입니다.
[박정숙/고성군 보건소장 : "치매 어르신들이 꼭 병원에 가지 않고도, 자기가 태어난 고장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유휴 관사를 활용해서…."]
의료와 복지가 통합된 능동적인 치매 관리와 예방 사업,
전국에서 처음 시도되는 고성군의 아이디어에 진주와 합천 등 다른 자치단체들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
-
황재락 기자 outfocus@kbs.co.kr
황재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