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1대 국회가 열리자마자 충북에서 가장 큰 청주시는 '특례시', 인구가 제일 적은 단양군은 '특례군'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청주는 더 큰 행정권과 재정권을 위해, 단양은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건데요.
국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까요?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시는 2014년, 옛 청원군과 통합한 뒤 인구 84만 명의 광역시급 도시로 급성장했습니다.
사업체 수는 4만5천 개에서 6만 개로 33% 늘었고, 주간 도심 생활 인구수는 수도권인 경기도 부천시를 앞질렀습니다.
각종 행정 수요도 폭증했습니다.
실제로 청주시의 법정 민원건수는 인구수 104만 명의 경기도 고양시보다도 많지만, 행정적 권한은 인구 10만 명의 소도시와 다를 게 없습니다.
지방채 발행, 택지개발지구 지정은 물론, 21층 이상 신축 등도 충청북도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청주시가 광역시급 도시에 걸맞은 행정 재량권을 갖기 위해 특례시 지정에 나선 이유입니다.
[김종관/청주시 자치행정과장 : "(특례시 지정으로) 행정 수요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청주시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을 반영한 시책을 추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구 3만 명 선이 무너진 단양군 등 전국 24개 군 지역은 특례군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정부가 소멸 위기의 지자체를 특례군으로 지정해 각종 행정·재정적 지원으로 생존과 자립을 도와야 한다는 겁니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특례군 지정을 골자로 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입니다.
[엄태영/국회의원/특례군 법안 대표발의 : "특례군 법제화를 통해서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 농어촌 지역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데 이제는 국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행정 수요 급증', 그리고 '소멸 위기'라는 대조적인 난관 속에 특례시, 특례군 지정을 향한 청주시와 단양군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21대 국회가 열리자마자 충북에서 가장 큰 청주시는 '특례시', 인구가 제일 적은 단양군은 '특례군'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청주는 더 큰 행정권과 재정권을 위해, 단양은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건데요.
국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까요?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시는 2014년, 옛 청원군과 통합한 뒤 인구 84만 명의 광역시급 도시로 급성장했습니다.
사업체 수는 4만5천 개에서 6만 개로 33% 늘었고, 주간 도심 생활 인구수는 수도권인 경기도 부천시를 앞질렀습니다.
각종 행정 수요도 폭증했습니다.
실제로 청주시의 법정 민원건수는 인구수 104만 명의 경기도 고양시보다도 많지만, 행정적 권한은 인구 10만 명의 소도시와 다를 게 없습니다.
지방채 발행, 택지개발지구 지정은 물론, 21층 이상 신축 등도 충청북도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청주시가 광역시급 도시에 걸맞은 행정 재량권을 갖기 위해 특례시 지정에 나선 이유입니다.
[김종관/청주시 자치행정과장 : "(특례시 지정으로) 행정 수요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청주시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을 반영한 시책을 추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구 3만 명 선이 무너진 단양군 등 전국 24개 군 지역은 특례군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정부가 소멸 위기의 지자체를 특례군으로 지정해 각종 행정·재정적 지원으로 생존과 자립을 도와야 한다는 겁니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특례군 지정을 골자로 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입니다.
[엄태영/국회의원/특례군 법안 대표발의 : "특례군 법제화를 통해서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 농어촌 지역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데 이제는 국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행정 수요 급증', 그리고 '소멸 위기'라는 대조적인 난관 속에 특례시, 특례군 지정을 향한 청주시와 단양군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주 ‘특례시’·단양 ‘특례군’ 지정 사활…입법 속도전
-
- 입력 2020-07-01 21:43:47

[앵커]
21대 국회가 열리자마자 충북에서 가장 큰 청주시는 '특례시', 인구가 제일 적은 단양군은 '특례군'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청주는 더 큰 행정권과 재정권을 위해, 단양은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건데요.
국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까요?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시는 2014년, 옛 청원군과 통합한 뒤 인구 84만 명의 광역시급 도시로 급성장했습니다.
사업체 수는 4만5천 개에서 6만 개로 33% 늘었고, 주간 도심 생활 인구수는 수도권인 경기도 부천시를 앞질렀습니다.
각종 행정 수요도 폭증했습니다.
실제로 청주시의 법정 민원건수는 인구수 104만 명의 경기도 고양시보다도 많지만, 행정적 권한은 인구 10만 명의 소도시와 다를 게 없습니다.
지방채 발행, 택지개발지구 지정은 물론, 21층 이상 신축 등도 충청북도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청주시가 광역시급 도시에 걸맞은 행정 재량권을 갖기 위해 특례시 지정에 나선 이유입니다.
[김종관/청주시 자치행정과장 : "(특례시 지정으로) 행정 수요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청주시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을 반영한 시책을 추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구 3만 명 선이 무너진 단양군 등 전국 24개 군 지역은 특례군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정부가 소멸 위기의 지자체를 특례군으로 지정해 각종 행정·재정적 지원으로 생존과 자립을 도와야 한다는 겁니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특례군 지정을 골자로 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입니다.
[엄태영/국회의원/특례군 법안 대표발의 : "특례군 법제화를 통해서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고, 농어촌 지역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데 이제는 국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행정 수요 급증', 그리고 '소멸 위기'라는 대조적인 난관 속에 특례시, 특례군 지정을 향한 청주시와 단양군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
-
정진규 기자 jin9@kbs.co.kr
정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