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러 철도 통해 북한에 화물 운송 시작
입력 2020.07.03 (06:20)
수정 2020.07.03 (07: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코로나19로 봉쇄한 국경을 조금씩 열고 있습니다.
압록강 지역인 단둥에 이어 두만강 지역인 북러 철도를 통해 중국이 화물 운송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선양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중국의 한 해운회사는 지린성 훈춘에서 북한으로의 화물운송을 시작했습니다.
이 화물은 러시아 마할리나를 거쳐 북러 철도를 이용해 사흘 뒤인 29일 북한 두만강 역에 도착했습니다.
모두 40피트 컨테이너 6대 분량입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아직 열차가 안 돌아온 상태고요. 정식 운행도 아마 곧 될 거예요. 하지만 저희는 먼저 시범운행을 해야 (정식 운행이 가능해요)."]
이 해운업체는 운송 화물의 내용물에 대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최종 목적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업체는 앞으로도 북중러간 열차를 통한 화물 운송을 정례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시범운행으로 북한의 나진항을 통한 중국 남부를 연결하는 철도 해상 운송을 조만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저희 회사는 원래 '빈하이2호'를 운영해요. 훈춘에서 훈춘-마할리나(러시아) 철도 세관을 거쳐 자루비노항으로 가서 마지막은 바다로 중국 남방으로 가요."]
북한은 지난 4월 러시아로부터 최근 5년 치 총액에 육박하는 규모의 곡물을 수입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으로 향했던 화물 열차는 내일쯤 출발지인 훈춘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훈춘을 중심으로 3국간 철도를 이용한 화물 운송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북한이 코로나19로 봉쇄한 국경을 조금씩 열고 있습니다.
압록강 지역인 단둥에 이어 두만강 지역인 북러 철도를 통해 중국이 화물 운송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선양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중국의 한 해운회사는 지린성 훈춘에서 북한으로의 화물운송을 시작했습니다.
이 화물은 러시아 마할리나를 거쳐 북러 철도를 이용해 사흘 뒤인 29일 북한 두만강 역에 도착했습니다.
모두 40피트 컨테이너 6대 분량입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아직 열차가 안 돌아온 상태고요. 정식 운행도 아마 곧 될 거예요. 하지만 저희는 먼저 시범운행을 해야 (정식 운행이 가능해요)."]
이 해운업체는 운송 화물의 내용물에 대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최종 목적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업체는 앞으로도 북중러간 열차를 통한 화물 운송을 정례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시범운행으로 북한의 나진항을 통한 중국 남부를 연결하는 철도 해상 운송을 조만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저희 회사는 원래 '빈하이2호'를 운영해요. 훈춘에서 훈춘-마할리나(러시아) 철도 세관을 거쳐 자루비노항으로 가서 마지막은 바다로 중국 남방으로 가요."]
북한은 지난 4월 러시아로부터 최근 5년 치 총액에 육박하는 규모의 곡물을 수입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으로 향했던 화물 열차는 내일쯤 출발지인 훈춘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훈춘을 중심으로 3국간 철도를 이용한 화물 운송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북러 철도 통해 북한에 화물 운송 시작
-
- 입력 2020-07-03 06:24:32
- 수정2020-07-03 07:10:16

[앵커]
북한이 코로나19로 봉쇄한 국경을 조금씩 열고 있습니다.
압록강 지역인 단둥에 이어 두만강 지역인 북러 철도를 통해 중국이 화물 운송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선양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중국의 한 해운회사는 지린성 훈춘에서 북한으로의 화물운송을 시작했습니다.
이 화물은 러시아 마할리나를 거쳐 북러 철도를 이용해 사흘 뒤인 29일 북한 두만강 역에 도착했습니다.
모두 40피트 컨테이너 6대 분량입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아직 열차가 안 돌아온 상태고요. 정식 운행도 아마 곧 될 거예요. 하지만 저희는 먼저 시범운행을 해야 (정식 운행이 가능해요)."]
이 해운업체는 운송 화물의 내용물에 대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최종 목적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업체는 앞으로도 북중러간 열차를 통한 화물 운송을 정례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시범운행으로 북한의 나진항을 통한 중국 남부를 연결하는 철도 해상 운송을 조만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저희 회사는 원래 '빈하이2호'를 운영해요. 훈춘에서 훈춘-마할리나(러시아) 철도 세관을 거쳐 자루비노항으로 가서 마지막은 바다로 중국 남방으로 가요."]
북한은 지난 4월 러시아로부터 최근 5년 치 총액에 육박하는 규모의 곡물을 수입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으로 향했던 화물 열차는 내일쯤 출발지인 훈춘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훈춘을 중심으로 3국간 철도를 이용한 화물 운송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북한이 코로나19로 봉쇄한 국경을 조금씩 열고 있습니다.
압록강 지역인 단둥에 이어 두만강 지역인 북러 철도를 통해 중국이 화물 운송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선양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중국의 한 해운회사는 지린성 훈춘에서 북한으로의 화물운송을 시작했습니다.
이 화물은 러시아 마할리나를 거쳐 북러 철도를 이용해 사흘 뒤인 29일 북한 두만강 역에 도착했습니다.
모두 40피트 컨테이너 6대 분량입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아직 열차가 안 돌아온 상태고요. 정식 운행도 아마 곧 될 거예요. 하지만 저희는 먼저 시범운행을 해야 (정식 운행이 가능해요)."]
이 해운업체는 운송 화물의 내용물에 대해 밝힐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최종 목적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업체는 앞으로도 북중러간 열차를 통한 화물 운송을 정례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시범운행으로 북한의 나진항을 통한 중국 남부를 연결하는 철도 해상 운송을 조만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해운업체 관계자 : "저희 회사는 원래 '빈하이2호'를 운영해요. 훈춘에서 훈춘-마할리나(러시아) 철도 세관을 거쳐 자루비노항으로 가서 마지막은 바다로 중국 남방으로 가요."]
북한은 지난 4월 러시아로부터 최근 5년 치 총액에 육박하는 규모의 곡물을 수입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으로 향했던 화물 열차는 내일쯤 출발지인 훈춘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훈춘을 중심으로 3국간 철도를 이용한 화물 운송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
-
오세균 기자 sko@kbs.co.kr
오세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