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다시 위축…“야속한 코로나19”
입력 2020.07.03 (09:42)
수정 2020.07.03 (1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됐습니다.
가급적 사람이 모이는 곳을 가지 마라는 뜻인데 골목상권의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긴급 재난 지원금이 풀린 지난 5월.
오랫동안 매출 부진을 겪어 온 소상공인들은 모처럼 반색했습니다.
[김정애/음식점 운영/지난 5월 : "재난 카드 가지고 와서 식사를 해요. 이렇게 오시니까 괜찮아졌어요."]
실제 지난 두 달동안 재난지원금이 풀린데다 코로나19 환자 발생이 없어 소비심리도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광주를 대표하는 전통시장인 양동시장.
대한민국 동행세일에 동참하며 기대감에 부풀었지만, 갑작스런 코로나19 확산 소식에 손님들 발길이 눈에 띠게 줄었습니다.
[최연춘/양동시장 상인 : "지금 한 3-4일 됐는데 완전히 사람이 없어요. 없잖아요? 저 길 끝이 보이잖아요. 전통시장이 이래서는 안되거든요."]
가장 타격이 큰 곳은 식당입니다.
[이한필/광주시 쌍촌동 : "손님 만나는 것도 두렵고, 밥 먹으러 나오는 것도 사람 모이는 장소 가는 것도 더욱 가기 싫고요."]
이 식당의 경우 매출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3-4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고 하소연합니다.
[최행숙/음식점 운영 : "다시 원상복귀됐어요. 지난 2-3월때처럼 그 정도로 없어요. 손님이 하나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되면서 한동안 북적이던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다시 울상입니다.
지난주까지 80일 넘게 코로나19 환자발생이 없어 회복세를 보이던 광주전남의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됐습니다.
가급적 사람이 모이는 곳을 가지 마라는 뜻인데 골목상권의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긴급 재난 지원금이 풀린 지난 5월.
오랫동안 매출 부진을 겪어 온 소상공인들은 모처럼 반색했습니다.
[김정애/음식점 운영/지난 5월 : "재난 카드 가지고 와서 식사를 해요. 이렇게 오시니까 괜찮아졌어요."]
실제 지난 두 달동안 재난지원금이 풀린데다 코로나19 환자 발생이 없어 소비심리도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광주를 대표하는 전통시장인 양동시장.
대한민국 동행세일에 동참하며 기대감에 부풀었지만, 갑작스런 코로나19 확산 소식에 손님들 발길이 눈에 띠게 줄었습니다.
[최연춘/양동시장 상인 : "지금 한 3-4일 됐는데 완전히 사람이 없어요. 없잖아요? 저 길 끝이 보이잖아요. 전통시장이 이래서는 안되거든요."]
가장 타격이 큰 곳은 식당입니다.
[이한필/광주시 쌍촌동 : "손님 만나는 것도 두렵고, 밥 먹으러 나오는 것도 사람 모이는 장소 가는 것도 더욱 가기 싫고요."]
이 식당의 경우 매출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3-4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고 하소연합니다.
[최행숙/음식점 운영 : "다시 원상복귀됐어요. 지난 2-3월때처럼 그 정도로 없어요. 손님이 하나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되면서 한동안 북적이던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다시 울상입니다.
지난주까지 80일 넘게 코로나19 환자발생이 없어 회복세를 보이던 광주전남의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심리 다시 위축…“야속한 코로나19”
-
- 입력 2020-07-03 09:42:27
- 수정2020-07-03 12:05:37

[앵커]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됐습니다.
가급적 사람이 모이는 곳을 가지 마라는 뜻인데 골목상권의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긴급 재난 지원금이 풀린 지난 5월.
오랫동안 매출 부진을 겪어 온 소상공인들은 모처럼 반색했습니다.
[김정애/음식점 운영/지난 5월 : "재난 카드 가지고 와서 식사를 해요. 이렇게 오시니까 괜찮아졌어요."]
실제 지난 두 달동안 재난지원금이 풀린데다 코로나19 환자 발생이 없어 소비심리도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광주를 대표하는 전통시장인 양동시장.
대한민국 동행세일에 동참하며 기대감에 부풀었지만, 갑작스런 코로나19 확산 소식에 손님들 발길이 눈에 띠게 줄었습니다.
[최연춘/양동시장 상인 : "지금 한 3-4일 됐는데 완전히 사람이 없어요. 없잖아요? 저 길 끝이 보이잖아요. 전통시장이 이래서는 안되거든요."]
가장 타격이 큰 곳은 식당입니다.
[이한필/광주시 쌍촌동 : "손님 만나는 것도 두렵고, 밥 먹으러 나오는 것도 사람 모이는 장소 가는 것도 더욱 가기 싫고요."]
이 식당의 경우 매출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3-4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고 하소연합니다.
[최행숙/음식점 운영 : "다시 원상복귀됐어요. 지난 2-3월때처럼 그 정도로 없어요. 손님이 하나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되면서 한동안 북적이던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다시 울상입니다.
지난주까지 80일 넘게 코로나19 환자발생이 없어 회복세를 보이던 광주전남의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
최정민 기자 cjmin@kbs.co.kr
최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