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탈주민 탈북 전 평균 1천761달러 금융자산 보유…빚은 408달러”
입력 2020.07.03 (14:02)
수정 2020.07.03 (14: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을 이탈한 주민은 북한 거주 당시 가구당 평균 1천761달러의 금융자산과 408달러의 금융부채를 보유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3일) '북한 비공식금융 실태조사 및 분석·평가' 보고서를 통해 북한 이탈주민 21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2012~2018년 북한을 떠난 조사대상 주민들은 이탈 직전 북한에서 가구당 평균 금융자산은 1천761달러(약 211만 원)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금융자산이 없는 가구까지 포함해 평균을 낸 값입니다.
자산 유형별로는 현금보관액이 1천310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외 상거래 신용(389달러)·금전대차(54달러)·계(8달러) 순이었습니다.
북한 거주 당시 평균 금융부채는 403달러(약 48만 원)로 유형별로는 상거래 신용(321달러)과 금전대차(79달러), 계(8달러) 등의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상거래 신용, 금전대차, 계 등은 북한에서 자산가를 뜻하는 '돈주'가 개인, 상인, 기업 등에 자금을 융통해주는 '비공식금융'에 해당합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 이탈주민의 27.8%는 상거래 신용·금전대차·계 등 비공식금융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내륙 시 지역, 북·중 접경지역 거주민들 사이에서 경험 비율이 각 35.3%, 30.3%로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북한 비공식금융의 규모는 아직 매우 작은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비공식 금융거래의 목적은 상거래 활동 지원이 대부분이고, 생산자금 비중이 매우 낮아 비공식 금융이 생산활동 활성에 큰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한국은행은 오늘(3일) '북한 비공식금융 실태조사 및 분석·평가' 보고서를 통해 북한 이탈주민 21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2012~2018년 북한을 떠난 조사대상 주민들은 이탈 직전 북한에서 가구당 평균 금융자산은 1천761달러(약 211만 원)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금융자산이 없는 가구까지 포함해 평균을 낸 값입니다.
자산 유형별로는 현금보관액이 1천310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외 상거래 신용(389달러)·금전대차(54달러)·계(8달러) 순이었습니다.
북한 거주 당시 평균 금융부채는 403달러(약 48만 원)로 유형별로는 상거래 신용(321달러)과 금전대차(79달러), 계(8달러) 등의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상거래 신용, 금전대차, 계 등은 북한에서 자산가를 뜻하는 '돈주'가 개인, 상인, 기업 등에 자금을 융통해주는 '비공식금융'에 해당합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 이탈주민의 27.8%는 상거래 신용·금전대차·계 등 비공식금융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내륙 시 지역, 북·중 접경지역 거주민들 사이에서 경험 비율이 각 35.3%, 30.3%로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북한 비공식금융의 규모는 아직 매우 작은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비공식 금융거래의 목적은 상거래 활동 지원이 대부분이고, 생산자금 비중이 매우 낮아 비공식 금융이 생산활동 활성에 큰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이탈주민 탈북 전 평균 1천761달러 금융자산 보유…빚은 408달러”
-
- 입력 2020-07-03 14:02:29
- 수정2020-07-03 14:04:35

북한을 이탈한 주민은 북한 거주 당시 가구당 평균 1천761달러의 금융자산과 408달러의 금융부채를 보유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3일) '북한 비공식금융 실태조사 및 분석·평가' 보고서를 통해 북한 이탈주민 21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2012~2018년 북한을 떠난 조사대상 주민들은 이탈 직전 북한에서 가구당 평균 금융자산은 1천761달러(약 211만 원)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금융자산이 없는 가구까지 포함해 평균을 낸 값입니다.
자산 유형별로는 현금보관액이 1천310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외 상거래 신용(389달러)·금전대차(54달러)·계(8달러) 순이었습니다.
북한 거주 당시 평균 금융부채는 403달러(약 48만 원)로 유형별로는 상거래 신용(321달러)과 금전대차(79달러), 계(8달러) 등의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상거래 신용, 금전대차, 계 등은 북한에서 자산가를 뜻하는 '돈주'가 개인, 상인, 기업 등에 자금을 융통해주는 '비공식금융'에 해당합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 이탈주민의 27.8%는 상거래 신용·금전대차·계 등 비공식금융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내륙 시 지역, 북·중 접경지역 거주민들 사이에서 경험 비율이 각 35.3%, 30.3%로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북한 비공식금융의 규모는 아직 매우 작은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비공식 금융거래의 목적은 상거래 활동 지원이 대부분이고, 생산자금 비중이 매우 낮아 비공식 금융이 생산활동 활성에 큰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한국은행은 오늘(3일) '북한 비공식금융 실태조사 및 분석·평가' 보고서를 통해 북한 이탈주민 21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2012~2018년 북한을 떠난 조사대상 주민들은 이탈 직전 북한에서 가구당 평균 금융자산은 1천761달러(약 211만 원)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금융자산이 없는 가구까지 포함해 평균을 낸 값입니다.
자산 유형별로는 현금보관액이 1천310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외 상거래 신용(389달러)·금전대차(54달러)·계(8달러) 순이었습니다.
북한 거주 당시 평균 금융부채는 403달러(약 48만 원)로 유형별로는 상거래 신용(321달러)과 금전대차(79달러), 계(8달러) 등의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상거래 신용, 금전대차, 계 등은 북한에서 자산가를 뜻하는 '돈주'가 개인, 상인, 기업 등에 자금을 융통해주는 '비공식금융'에 해당합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 이탈주민의 27.8%는 상거래 신용·금전대차·계 등 비공식금융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내륙 시 지역, 북·중 접경지역 거주민들 사이에서 경험 비율이 각 35.3%, 30.3%로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북한 비공식금융의 규모는 아직 매우 작은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비공식 금융거래의 목적은 상거래 활동 지원이 대부분이고, 생산자금 비중이 매우 낮아 비공식 금융이 생산활동 활성에 큰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석민수 기자 ms@kbs.co.kr
석민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