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방울 2미터 넘게 날아가’…슬기로운 에어컨 사용법
입력 2020.07.03 (21:44)
수정 2020.07.03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미 여름 더위가 시작돼 집이나 일터에서 에어컨을 틀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코로나19 때문에 고민입니다.
에어컨 바람이 침방울을 날려 보내 감염 우려가 있기 때문인데, 슬기로운 에어컨 사용 방법을 이효연 기자가 실험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에어컨 바람은 작은 물방울을 얼마나 멀리 날릴까.
물방울은 침방울보다 20배 큽니다.
먼저 에어컨을 켜지 않았을 때, 최대 1미터 33센티미터 날아갑니다.
이번엔 가장 센 바람을 틀고 분사했더니 2미터 6센티미터를 날아갔습니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했을 땐 2미터 43센티미터까지 나옵니다.
정체된 공기의 물방울은 에어컨을 틀 경우, 55%를 더 날아갈 수 있고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틀면 80%까지 더 확산할 수 있습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에어컨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작은 입자는 그대로 쓸려갈 수가 있기 때문에 의외로 먼 거리를 갈 수가 있습니다."]
물방울보다 가벼운 침방울은 쉽게 낙하하지 않고 바람을 따라 떠다닐 수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선 시간이 지날수록 농도가 높아져 더 위험합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작은 비말(침방울) 같은 경우에는 떠서 가라 앉는 데까지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자꾸 누적이 된다면 그게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최근 전주의 한 식당에서 확진자와 같이 식사를 하지 않았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례가 있었는데, 에어컨 바람을 타고 전파됐을 가능성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 "호흡기 감염자가 맞은 편에 있고 제가 에어컨 쪽을 바라보면 확진 환자에서 침방울이 더 많이 날아올 수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에어컨 바람은 피해서 앉는 게 좋습니다."]
때문에 에어컨을 사용할 땐 반드시 환기를 해야 하고 선풍기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식당에서 음식을 먹지 않을 때나 무더위 쉼터로 대피했을 때도 마스크를 꼭 착용하는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
이미 여름 더위가 시작돼 집이나 일터에서 에어컨을 틀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코로나19 때문에 고민입니다.
에어컨 바람이 침방울을 날려 보내 감염 우려가 있기 때문인데, 슬기로운 에어컨 사용 방법을 이효연 기자가 실험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에어컨 바람은 작은 물방울을 얼마나 멀리 날릴까.
물방울은 침방울보다 20배 큽니다.
먼저 에어컨을 켜지 않았을 때, 최대 1미터 33센티미터 날아갑니다.
이번엔 가장 센 바람을 틀고 분사했더니 2미터 6센티미터를 날아갔습니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했을 땐 2미터 43센티미터까지 나옵니다.
정체된 공기의 물방울은 에어컨을 틀 경우, 55%를 더 날아갈 수 있고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틀면 80%까지 더 확산할 수 있습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에어컨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작은 입자는 그대로 쓸려갈 수가 있기 때문에 의외로 먼 거리를 갈 수가 있습니다."]
물방울보다 가벼운 침방울은 쉽게 낙하하지 않고 바람을 따라 떠다닐 수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선 시간이 지날수록 농도가 높아져 더 위험합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작은 비말(침방울) 같은 경우에는 떠서 가라 앉는 데까지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자꾸 누적이 된다면 그게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최근 전주의 한 식당에서 확진자와 같이 식사를 하지 않았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례가 있었는데, 에어컨 바람을 타고 전파됐을 가능성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 "호흡기 감염자가 맞은 편에 있고 제가 에어컨 쪽을 바라보면 확진 환자에서 침방울이 더 많이 날아올 수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에어컨 바람은 피해서 앉는 게 좋습니다."]
때문에 에어컨을 사용할 땐 반드시 환기를 해야 하고 선풍기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식당에서 음식을 먹지 않을 때나 무더위 쉼터로 대피했을 때도 마스크를 꼭 착용하는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방울 2미터 넘게 날아가’…슬기로운 에어컨 사용법
-
- 입력 2020-07-03 21:44:51
- 수정2020-07-03 22:13:33

[앵커]
이미 여름 더위가 시작돼 집이나 일터에서 에어컨을 틀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코로나19 때문에 고민입니다.
에어컨 바람이 침방울을 날려 보내 감염 우려가 있기 때문인데, 슬기로운 에어컨 사용 방법을 이효연 기자가 실험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에어컨 바람은 작은 물방울을 얼마나 멀리 날릴까.
물방울은 침방울보다 20배 큽니다.
먼저 에어컨을 켜지 않았을 때, 최대 1미터 33센티미터 날아갑니다.
이번엔 가장 센 바람을 틀고 분사했더니 2미터 6센티미터를 날아갔습니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했을 땐 2미터 43센티미터까지 나옵니다.
정체된 공기의 물방울은 에어컨을 틀 경우, 55%를 더 날아갈 수 있고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틀면 80%까지 더 확산할 수 있습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에어컨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작은 입자는 그대로 쓸려갈 수가 있기 때문에 의외로 먼 거리를 갈 수가 있습니다."]
물방울보다 가벼운 침방울은 쉽게 낙하하지 않고 바람을 따라 떠다닐 수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선 시간이 지날수록 농도가 높아져 더 위험합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작은 비말(침방울) 같은 경우에는 떠서 가라 앉는 데까지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자꾸 누적이 된다면 그게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최근 전주의 한 식당에서 확진자와 같이 식사를 하지 않았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례가 있었는데, 에어컨 바람을 타고 전파됐을 가능성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 "호흡기 감염자가 맞은 편에 있고 제가 에어컨 쪽을 바라보면 확진 환자에서 침방울이 더 많이 날아올 수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에어컨 바람은 피해서 앉는 게 좋습니다."]
때문에 에어컨을 사용할 땐 반드시 환기를 해야 하고 선풍기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식당에서 음식을 먹지 않을 때나 무더위 쉼터로 대피했을 때도 마스크를 꼭 착용하는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
이미 여름 더위가 시작돼 집이나 일터에서 에어컨을 틀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코로나19 때문에 고민입니다.
에어컨 바람이 침방울을 날려 보내 감염 우려가 있기 때문인데, 슬기로운 에어컨 사용 방법을 이효연 기자가 실험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에어컨 바람은 작은 물방울을 얼마나 멀리 날릴까.
물방울은 침방울보다 20배 큽니다.
먼저 에어컨을 켜지 않았을 때, 최대 1미터 33센티미터 날아갑니다.
이번엔 가장 센 바람을 틀고 분사했더니 2미터 6센티미터를 날아갔습니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했을 땐 2미터 43센티미터까지 나옵니다.
정체된 공기의 물방울은 에어컨을 틀 경우, 55%를 더 날아갈 수 있고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틀면 80%까지 더 확산할 수 있습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에어컨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작은 입자는 그대로 쓸려갈 수가 있기 때문에 의외로 먼 거리를 갈 수가 있습니다."]
물방울보다 가벼운 침방울은 쉽게 낙하하지 않고 바람을 따라 떠다닐 수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선 시간이 지날수록 농도가 높아져 더 위험합니다.
[홍석철/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 "작은 비말(침방울) 같은 경우에는 떠서 가라 앉는 데까지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자꾸 누적이 된다면 그게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최근 전주의 한 식당에서 확진자와 같이 식사를 하지 않았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례가 있었는데, 에어컨 바람을 타고 전파됐을 가능성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 "호흡기 감염자가 맞은 편에 있고 제가 에어컨 쪽을 바라보면 확진 환자에서 침방울이 더 많이 날아올 수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에어컨 바람은 피해서 앉는 게 좋습니다."]
때문에 에어컨을 사용할 땐 반드시 환기를 해야 하고 선풍기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식당에서 음식을 먹지 않을 때나 무더위 쉼터로 대피했을 때도 마스크를 꼭 착용하는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
-
이효연 기자 belle@kbs.co.kr
이효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