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논란…“안전” vs “시기상조”
입력 2020.07.03 (22:14)
수정 2020.07.03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옥천 등을 중심으로 불거진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논란 소식, 최근, 전해드렸는데요.
한쪽은 '안전하다', 다른 한쪽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는데…. 어떤 얘기가 맞는 걸까요?
논란이 점점 가열되고 있는데 정부와 발전 사업자는 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천춘환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에 들어선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입니다.
LNG 액화천연가스에서 수소를 떼어낸 뒤 산소와 화학 반응으로 생산한 전기를 2만 5천 세대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전성 논란은 여전합니다.
[이해수/옥천읍 주민비상대책위원회 : "어떤 환경에서 안전한지, 어떤 환경에서 어떤 무엇이 나오는지 실험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안전하다고 주장을 하는 게 과연 과학자들이 할 수 있는 말인지…."]
현재 발전 방식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신재생에너지이지만, 수소 1kg 생산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이 8배가 넘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LNG 화력 발전과 오염 물질 배출의 차이가 없고, 소형 발전으로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 "현재는 투자를 해야 하는 단계지 이게 완성됐다는 엉터리 주장으로 지역 사회에 확산을 시킬 수 있는 단계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속도전에 나설 수밖에 없는 배경에는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있습니다.
올해 발전 사업자는 발전량의 7%를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해야 하고, 3년 뒤에는 10%, 10년 뒤에는 28%까지 공급 비중을 맞춰야 합니다.
태양광이나 풍력보다 건설 면적이 작고 발전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소연료전지 발전이 더 쉬운 선택지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엄격한 안전 기준과 관리 규칙 등을 담은 관계 법령은 지난 2월에 국회를 통과해 내후년에야 시행을 앞두고 있고, 전문 인력은 양성 단계에 진입하지도 못했습니다.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 "기술적으로도 완성되지 않은 기술을 갖고 지역 사회에 오염을 일으키고 안전을 위협하는 것은 절대 합리적인 정책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에 대한 사고 우려 등으로 사회적 공감대는 낮고 여전히 찬반이 맞서고 있지만, 정부는 2022년까지 연료전지 공급 전력을 현재보다 4배로 늘리고 2040년에는 40배인 15GW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천춘환입니다.
옥천 등을 중심으로 불거진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논란 소식, 최근, 전해드렸는데요.
한쪽은 '안전하다', 다른 한쪽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는데…. 어떤 얘기가 맞는 걸까요?
논란이 점점 가열되고 있는데 정부와 발전 사업자는 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천춘환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에 들어선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입니다.
LNG 액화천연가스에서 수소를 떼어낸 뒤 산소와 화학 반응으로 생산한 전기를 2만 5천 세대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전성 논란은 여전합니다.
[이해수/옥천읍 주민비상대책위원회 : "어떤 환경에서 안전한지, 어떤 환경에서 어떤 무엇이 나오는지 실험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안전하다고 주장을 하는 게 과연 과학자들이 할 수 있는 말인지…."]
현재 발전 방식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신재생에너지이지만, 수소 1kg 생산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이 8배가 넘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LNG 화력 발전과 오염 물질 배출의 차이가 없고, 소형 발전으로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 "현재는 투자를 해야 하는 단계지 이게 완성됐다는 엉터리 주장으로 지역 사회에 확산을 시킬 수 있는 단계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속도전에 나설 수밖에 없는 배경에는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있습니다.
올해 발전 사업자는 발전량의 7%를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해야 하고, 3년 뒤에는 10%, 10년 뒤에는 28%까지 공급 비중을 맞춰야 합니다.
태양광이나 풍력보다 건설 면적이 작고 발전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소연료전지 발전이 더 쉬운 선택지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엄격한 안전 기준과 관리 규칙 등을 담은 관계 법령은 지난 2월에 국회를 통과해 내후년에야 시행을 앞두고 있고, 전문 인력은 양성 단계에 진입하지도 못했습니다.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 "기술적으로도 완성되지 않은 기술을 갖고 지역 사회에 오염을 일으키고 안전을 위협하는 것은 절대 합리적인 정책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에 대한 사고 우려 등으로 사회적 공감대는 낮고 여전히 찬반이 맞서고 있지만, 정부는 2022년까지 연료전지 공급 전력을 현재보다 4배로 늘리고 2040년에는 40배인 15GW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천춘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논란…“안전” vs “시기상조”
-
- 입력 2020-07-03 22:14:26
- 수정2020-07-03 22:16:48

[앵커]
옥천 등을 중심으로 불거진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논란 소식, 최근, 전해드렸는데요.
한쪽은 '안전하다', 다른 한쪽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는데…. 어떤 얘기가 맞는 걸까요?
논란이 점점 가열되고 있는데 정부와 발전 사업자는 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천춘환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에 들어선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입니다.
LNG 액화천연가스에서 수소를 떼어낸 뒤 산소와 화학 반응으로 생산한 전기를 2만 5천 세대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전성 논란은 여전합니다.
[이해수/옥천읍 주민비상대책위원회 : "어떤 환경에서 안전한지, 어떤 환경에서 어떤 무엇이 나오는지 실험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안전하다고 주장을 하는 게 과연 과학자들이 할 수 있는 말인지…."]
현재 발전 방식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신재생에너지이지만, 수소 1kg 생산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이 8배가 넘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LNG 화력 발전과 오염 물질 배출의 차이가 없고, 소형 발전으로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 "현재는 투자를 해야 하는 단계지 이게 완성됐다는 엉터리 주장으로 지역 사회에 확산을 시킬 수 있는 단계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속도전에 나설 수밖에 없는 배경에는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있습니다.
올해 발전 사업자는 발전량의 7%를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해야 하고, 3년 뒤에는 10%, 10년 뒤에는 28%까지 공급 비중을 맞춰야 합니다.
태양광이나 풍력보다 건설 면적이 작고 발전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소연료전지 발전이 더 쉬운 선택지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엄격한 안전 기준과 관리 규칙 등을 담은 관계 법령은 지난 2월에 국회를 통과해 내후년에야 시행을 앞두고 있고, 전문 인력은 양성 단계에 진입하지도 못했습니다.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 "기술적으로도 완성되지 않은 기술을 갖고 지역 사회에 오염을 일으키고 안전을 위협하는 것은 절대 합리적인 정책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에 대한 사고 우려 등으로 사회적 공감대는 낮고 여전히 찬반이 맞서고 있지만, 정부는 2022년까지 연료전지 공급 전력을 현재보다 4배로 늘리고 2040년에는 40배인 15GW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천춘환입니다.
-
-
천춘환 기자 southpaw@kbs.co.kr
천춘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