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곳 잃은 사용후핵연료…대책 마련 촉구
입력 2020.07.03 (22:14)
수정 2020.07.03 (2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국내 최초로 해체 절차를 밟고 있는 고리1호기에 대한 해체 계획서가 나왔는데요.
그런데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은 전혀 마련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기장군 주민과 시민단체, 또 정치권까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전방위 압박에 들어갔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동을 중지한 고리1호기에는 사용후핵연료 1,391다발, 즉 24만여 개의 폐연료봉이 남아 있습니다.
이 가운데 906다발은 고리 3, 4호기 등에 옮겨져 보관중인데, 문제는 나머지 485다발은 갈 곳이 없다는 겁니다.
원전을 해체하기 위해선 반드시 사용후핵연료를 옮겨야 하는데 정작 한국수력원자력이 발표한 해체 계획서에는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방안은 없습니다.
[오규석/기장군수 : "정부는 고리원전 1호기 해체에 앞서, 그 안에 40여 년간 임시보관해 온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반드시 먼저 제시해야 합니다."]
한수원이 마련하기로 한 고리원전 내 임시저장시설 설치와 영구처분장 마련 계획도 지지부진합니다.
지난해 출범한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가 위원장 사퇴 문제 등으로 파행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고리 1호기가 멈춘 뒤 지역주민 지원금과 안전대책 마련 재원도 크게 줄어든 상황.
주민 반발이 커지자 사용후핵연료에 세금을 부과해 재원으로 활용하는 지방세 개정안도 다시 발의됐습니다.
[정동만/국회의원 :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위험부담만 떠안고 기장군민들을 위한 안전관리와 재난예방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계속 지적돼 왔습니다. 그래서 방사성폐기물에 대해 지방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로)…."]
특히 시민단체들도 파행만 겪는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를 해산하고, 대통령 직속 기구를 만들어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을 세울 것을 촉구하는 등 사용후핵연료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최근 국내 최초로 해체 절차를 밟고 있는 고리1호기에 대한 해체 계획서가 나왔는데요.
그런데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은 전혀 마련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기장군 주민과 시민단체, 또 정치권까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전방위 압박에 들어갔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동을 중지한 고리1호기에는 사용후핵연료 1,391다발, 즉 24만여 개의 폐연료봉이 남아 있습니다.
이 가운데 906다발은 고리 3, 4호기 등에 옮겨져 보관중인데, 문제는 나머지 485다발은 갈 곳이 없다는 겁니다.
원전을 해체하기 위해선 반드시 사용후핵연료를 옮겨야 하는데 정작 한국수력원자력이 발표한 해체 계획서에는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방안은 없습니다.
[오규석/기장군수 : "정부는 고리원전 1호기 해체에 앞서, 그 안에 40여 년간 임시보관해 온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반드시 먼저 제시해야 합니다."]
한수원이 마련하기로 한 고리원전 내 임시저장시설 설치와 영구처분장 마련 계획도 지지부진합니다.
지난해 출범한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가 위원장 사퇴 문제 등으로 파행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고리 1호기가 멈춘 뒤 지역주민 지원금과 안전대책 마련 재원도 크게 줄어든 상황.
주민 반발이 커지자 사용후핵연료에 세금을 부과해 재원으로 활용하는 지방세 개정안도 다시 발의됐습니다.
[정동만/국회의원 :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위험부담만 떠안고 기장군민들을 위한 안전관리와 재난예방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계속 지적돼 왔습니다. 그래서 방사성폐기물에 대해 지방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로)…."]
특히 시민단체들도 파행만 겪는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를 해산하고, 대통령 직속 기구를 만들어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을 세울 것을 촉구하는 등 사용후핵연료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갈 곳 잃은 사용후핵연료…대책 마련 촉구
-
- 입력 2020-07-03 22:14:49
- 수정2020-07-03 22:22:16

[앵커]
최근 국내 최초로 해체 절차를 밟고 있는 고리1호기에 대한 해체 계획서가 나왔는데요.
그런데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은 전혀 마련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기장군 주민과 시민단체, 또 정치권까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전방위 압박에 들어갔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가동을 중지한 고리1호기에는 사용후핵연료 1,391다발, 즉 24만여 개의 폐연료봉이 남아 있습니다.
이 가운데 906다발은 고리 3, 4호기 등에 옮겨져 보관중인데, 문제는 나머지 485다발은 갈 곳이 없다는 겁니다.
원전을 해체하기 위해선 반드시 사용후핵연료를 옮겨야 하는데 정작 한국수력원자력이 발표한 해체 계획서에는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방안은 없습니다.
[오규석/기장군수 : "정부는 고리원전 1호기 해체에 앞서, 그 안에 40여 년간 임시보관해 온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반드시 먼저 제시해야 합니다."]
한수원이 마련하기로 한 고리원전 내 임시저장시설 설치와 영구처분장 마련 계획도 지지부진합니다.
지난해 출범한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가 위원장 사퇴 문제 등으로 파행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고리 1호기가 멈춘 뒤 지역주민 지원금과 안전대책 마련 재원도 크게 줄어든 상황.
주민 반발이 커지자 사용후핵연료에 세금을 부과해 재원으로 활용하는 지방세 개정안도 다시 발의됐습니다.
[정동만/국회의원 :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위험부담만 떠안고 기장군민들을 위한 안전관리와 재난예방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계속 지적돼 왔습니다. 그래서 방사성폐기물에 대해 지방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로)…."]
특히 시민단체들도 파행만 겪는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를 해산하고, 대통령 직속 기구를 만들어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을 세울 것을 촉구하는 등 사용후핵연료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
-
강예슬 기자 yes365@kbs.co.kr
강예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