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몰릴 텐데”…마을해수욕장 지원 호소
입력 2020.07.08 (08:36)
수정 2020.07.08 (08: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으로 사흘 뒤면 강원도 동해안 해수욕장들이 순차적으로 개장합니다.
정부는 감염 위험을 줄여보겠다고 비교적 한적하고 규모가 작은 마을 해수욕장을 추천하고 있는데, 정작 이들 해수욕장의 개장 준비가 순탄치 않습니다.
박상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사장 복원이 진행 중인 삼척의 한 해변입니다.
해송이 유명해 매년 여름 만 명 정도의 피서객이 찾는 소규모 마을 해수욕장입니다.
경포나 망상 등 인파가 몰리는 대형 해수욕장에 비해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낮다며, 정부가 추천하는 한적한 해수욕장으로 선정됐습니다.
이처럼 마을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해수욕장에 관광객이 몰리게 되면, 안전 관리가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해수욕장의 경우 4명의 수상안전 요원 한 명당, 삼척시에서 지원하는 비용은 하루 9만 원 정도뿐.
현실은 10만 원 초반대는 돼야 안전 요원을 구할 수 있는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2-3만 원 상당의 추가 비용은 마을 예산으로 충당해야 합니다.
게다가 이들에 대한 숙식비용까지 마을 몫이다 보니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양수/매원2리 이장 : "시 지원이 부진하면 마을에서도 (충당)해야 되는데, 마을에서 우리가 소득이 많다, 이러면 지원하겠지만 (어렵고,) 안전 요원 운영하는 게 사실은 너무 힘듭니다."]
안전시설을 보완하고 마스크 구비 등 방역 지침을 지키기 위한 비용도 추가로 생기는 상황.
결국, 삼척지역 마을 해수욕장 일부는 개장을 포기했습니다.
[이명우/궁촌1리 이장 : "우리가 연간에 해수욕장으로 인해서 모든 걸 소득을 올려서 많이 이렇게 (살아)갔는데, 만약에 올해 안 하게 되면 좀 많이 어렵죠."]
삼척시는 지원 금액은 결정된 사안이라면서도, 마을들 의견이 수렴되면 추가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전 관리 등을 마을이 도맡아 하는 소규모 해수욕장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과 관심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희입니다.
앞으로 사흘 뒤면 강원도 동해안 해수욕장들이 순차적으로 개장합니다.
정부는 감염 위험을 줄여보겠다고 비교적 한적하고 규모가 작은 마을 해수욕장을 추천하고 있는데, 정작 이들 해수욕장의 개장 준비가 순탄치 않습니다.
박상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사장 복원이 진행 중인 삼척의 한 해변입니다.
해송이 유명해 매년 여름 만 명 정도의 피서객이 찾는 소규모 마을 해수욕장입니다.
경포나 망상 등 인파가 몰리는 대형 해수욕장에 비해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낮다며, 정부가 추천하는 한적한 해수욕장으로 선정됐습니다.
이처럼 마을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해수욕장에 관광객이 몰리게 되면, 안전 관리가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해수욕장의 경우 4명의 수상안전 요원 한 명당, 삼척시에서 지원하는 비용은 하루 9만 원 정도뿐.
현실은 10만 원 초반대는 돼야 안전 요원을 구할 수 있는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2-3만 원 상당의 추가 비용은 마을 예산으로 충당해야 합니다.
게다가 이들에 대한 숙식비용까지 마을 몫이다 보니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양수/매원2리 이장 : "시 지원이 부진하면 마을에서도 (충당)해야 되는데, 마을에서 우리가 소득이 많다, 이러면 지원하겠지만 (어렵고,) 안전 요원 운영하는 게 사실은 너무 힘듭니다."]
안전시설을 보완하고 마스크 구비 등 방역 지침을 지키기 위한 비용도 추가로 생기는 상황.
결국, 삼척지역 마을 해수욕장 일부는 개장을 포기했습니다.
[이명우/궁촌1리 이장 : "우리가 연간에 해수욕장으로 인해서 모든 걸 소득을 올려서 많이 이렇게 (살아)갔는데, 만약에 올해 안 하게 되면 좀 많이 어렵죠."]
삼척시는 지원 금액은 결정된 사안이라면서도, 마을들 의견이 수렴되면 추가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전 관리 등을 마을이 도맡아 하는 소규모 해수욕장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과 관심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광객 몰릴 텐데”…마을해수욕장 지원 호소
-
- 입력 2020-07-08 08:36:01
- 수정2020-07-08 08:44:41

[앵커]
앞으로 사흘 뒤면 강원도 동해안 해수욕장들이 순차적으로 개장합니다.
정부는 감염 위험을 줄여보겠다고 비교적 한적하고 규모가 작은 마을 해수욕장을 추천하고 있는데, 정작 이들 해수욕장의 개장 준비가 순탄치 않습니다.
박상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사장 복원이 진행 중인 삼척의 한 해변입니다.
해송이 유명해 매년 여름 만 명 정도의 피서객이 찾는 소규모 마을 해수욕장입니다.
경포나 망상 등 인파가 몰리는 대형 해수욕장에 비해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낮다며, 정부가 추천하는 한적한 해수욕장으로 선정됐습니다.
이처럼 마을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해수욕장에 관광객이 몰리게 되면, 안전 관리가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해수욕장의 경우 4명의 수상안전 요원 한 명당, 삼척시에서 지원하는 비용은 하루 9만 원 정도뿐.
현실은 10만 원 초반대는 돼야 안전 요원을 구할 수 있는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2-3만 원 상당의 추가 비용은 마을 예산으로 충당해야 합니다.
게다가 이들에 대한 숙식비용까지 마을 몫이다 보니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양수/매원2리 이장 : "시 지원이 부진하면 마을에서도 (충당)해야 되는데, 마을에서 우리가 소득이 많다, 이러면 지원하겠지만 (어렵고,) 안전 요원 운영하는 게 사실은 너무 힘듭니다."]
안전시설을 보완하고 마스크 구비 등 방역 지침을 지키기 위한 비용도 추가로 생기는 상황.
결국, 삼척지역 마을 해수욕장 일부는 개장을 포기했습니다.
[이명우/궁촌1리 이장 : "우리가 연간에 해수욕장으로 인해서 모든 걸 소득을 올려서 많이 이렇게 (살아)갔는데, 만약에 올해 안 하게 되면 좀 많이 어렵죠."]
삼척시는 지원 금액은 결정된 사안이라면서도, 마을들 의견이 수렴되면 추가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전 관리 등을 마을이 도맡아 하는 소규모 해수욕장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과 관심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