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불법보조금에 첫 과징금 512억 원…“통신사, 상생 지원 고려”

입력 2020.07.08 (19:45) 수정 2020.07.08 (1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5G 상용화 이후, 이통 3사가 가입자 유치를 위해 불법보조금을 살포해 온 것이, 방송통신위원회 조사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됐습니다.

방통위는 이통 3사에 500억 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역대 최대 과징금이긴 한데, 코로나19 상황이 고려돼 예상보단 줄었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5G가 상용화되기 무섭게 가입자 유치 경쟁에 나선 이동통신사들.

휴대전화 전문 상가 등 곳곳에서 은밀히 불법보조금이 살포됐습니다.

[△△판매점/음성변조 : "저희 쪽 지원금이 나가는 건 아시다시피 이게 원래 안 되는 거 아세요? 불법이에요. 근데 이걸 몰래 해 주다 보니까…."]

'공짜폰 대란'까지 불거지며, 유통시장이 급격히 혼탁해지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 3사에 512억 원의 과징금 부과를 의결했습니다.

1년 가까이 걸린 조사, 단말기유통법 이후 최대 금액이었던 2018년 506억 원을 경신했습니다.

사업자별로는 SKT가 223억 원으로 가장 많고, KT가 154억 원, LGU+가 135억 원입니다.

고객에게 차별적 지원금을 지급한 유통점 125곳에 대해서도 2억 7,24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평균 불법보조금액은 정상적 공시지원금보다 24만 원을 웃돈 수준.

현금 지급뿐 아니라, 사은품 지급이나 카드사 제휴할인 등 다양한 형태로 살포됐습니다.

특히 방통위는 번호이동이나 기기변경 고객, 혹은 고가요금제 고객에겐 평균 20만 원대의 불법보조금을 더 지급하는 등 차별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이 때문에 당초 700억 원 수준의 파격적인 과징금이 예상됐지만, 막판 의견조율에서 방통위는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달란 업계 목소리를 반영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3사는 유통점에 생존자금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장비를 조기에 투자하는 등 모두 7,100억 원을 투입하겠다 약속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촬영기자 : 김연수

영상편집 : 양의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G 불법보조금에 첫 과징금 512억 원…“통신사, 상생 지원 고려”
    • 입력 2020-07-08 19:45:40
    • 수정2020-07-08 19:49:07
    뉴스7(대구)
[앵커] 지난해 5G 상용화 이후, 이통 3사가 가입자 유치를 위해 불법보조금을 살포해 온 것이, 방송통신위원회 조사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됐습니다. 방통위는 이통 3사에 500억 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역대 최대 과징금이긴 한데, 코로나19 상황이 고려돼 예상보단 줄었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5G가 상용화되기 무섭게 가입자 유치 경쟁에 나선 이동통신사들. 휴대전화 전문 상가 등 곳곳에서 은밀히 불법보조금이 살포됐습니다. [△△판매점/음성변조 : "저희 쪽 지원금이 나가는 건 아시다시피 이게 원래 안 되는 거 아세요? 불법이에요. 근데 이걸 몰래 해 주다 보니까…."] '공짜폰 대란'까지 불거지며, 유통시장이 급격히 혼탁해지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 3사에 512억 원의 과징금 부과를 의결했습니다. 1년 가까이 걸린 조사, 단말기유통법 이후 최대 금액이었던 2018년 506억 원을 경신했습니다. 사업자별로는 SKT가 223억 원으로 가장 많고, KT가 154억 원, LGU+가 135억 원입니다. 고객에게 차별적 지원금을 지급한 유통점 125곳에 대해서도 2억 7,24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평균 불법보조금액은 정상적 공시지원금보다 24만 원을 웃돈 수준. 현금 지급뿐 아니라, 사은품 지급이나 카드사 제휴할인 등 다양한 형태로 살포됐습니다. 특히 방통위는 번호이동이나 기기변경 고객, 혹은 고가요금제 고객에겐 평균 20만 원대의 불법보조금을 더 지급하는 등 차별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이 때문에 당초 700억 원 수준의 파격적인 과징금이 예상됐지만, 막판 의견조율에서 방통위는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달란 업계 목소리를 반영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3사는 유통점에 생존자금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장비를 조기에 투자하는 등 모두 7,100억 원을 투입하겠다 약속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촬영기자 : 김연수 영상편집 : 양의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