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 이탈에 꽁초 투척”…‘코로나19’ 격리 시설, 주민과 갈등
입력 2020.07.13 (21:36)
수정 2020.07.13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해외입국자들이 격리되는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을 둘러싼 갈등이 수도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주민 생활권과 가까운데다, 무단 이탈자가 생기기도 하기 때문인데요.
`크루즈` 여객선을 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로 지정된 한 호텔입니다.
해외 입국한 외국인들은 2주 동안 이곳에 머물러야 하는데, 지난달 20대 남성 외국인이 숙소를 무단 이탈했습니다.
[김요한/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정책위원장 : "국민의 안전을 위한 시설인데 오히려 이 시설은 이곳 주변 주민들에게는 위협 시설이 돼 버리고 말았어요."]
인근 상인 신고로 붙잡힌 이 남성은 강제 출국됐습니다.
특히, 격리되어 있는 입소자들이 창밖으로 침을 뱉거나 이곳 인도로 담배 꽁초를 버리는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격리 시설 해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장 철수하라!"]
해외입국자 격리 시설은 경기도와 인천에 8곳.
용인에 있는 한 시설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 시설을 찾기 어려워 갈등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
`크루즈` 여객선을 임시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까지 나왔습니다.
[허종식/민주당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갑 : "바다에 떠 있기 때문에 일반 시설들, 아파트나 상가들과 무관합니다. 멀리 떨어져 있고요. 사전에 방역이나 격리에 대해서 매뉴얼대로만 하면 가장 안전하다…"]
하지만, 좁은 환경때문에 일본처럼 `크루즈 집단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해외 입국자 증가로 임시생활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방역당국은 민간 참여형 시설 등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해외입국자들이 격리되는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을 둘러싼 갈등이 수도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주민 생활권과 가까운데다, 무단 이탈자가 생기기도 하기 때문인데요.
`크루즈` 여객선을 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로 지정된 한 호텔입니다.
해외 입국한 외국인들은 2주 동안 이곳에 머물러야 하는데, 지난달 20대 남성 외국인이 숙소를 무단 이탈했습니다.
[김요한/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정책위원장 : "국민의 안전을 위한 시설인데 오히려 이 시설은 이곳 주변 주민들에게는 위협 시설이 돼 버리고 말았어요."]
인근 상인 신고로 붙잡힌 이 남성은 강제 출국됐습니다.
특히, 격리되어 있는 입소자들이 창밖으로 침을 뱉거나 이곳 인도로 담배 꽁초를 버리는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격리 시설 해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장 철수하라!"]
해외입국자 격리 시설은 경기도와 인천에 8곳.
용인에 있는 한 시설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 시설을 찾기 어려워 갈등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
`크루즈` 여객선을 임시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까지 나왔습니다.
[허종식/민주당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갑 : "바다에 떠 있기 때문에 일반 시설들, 아파트나 상가들과 무관합니다. 멀리 떨어져 있고요. 사전에 방역이나 격리에 대해서 매뉴얼대로만 하면 가장 안전하다…"]
하지만, 좁은 환경때문에 일본처럼 `크루즈 집단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해외 입국자 증가로 임시생활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방역당국은 민간 참여형 시설 등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단 이탈에 꽁초 투척”…‘코로나19’ 격리 시설, 주민과 갈등
-
- 입력 2020-07-13 21:37:20
- 수정2020-07-13 21:50:51

[앵커]
해외입국자들이 격리되는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을 둘러싼 갈등이 수도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주민 생활권과 가까운데다, 무단 이탈자가 생기기도 하기 때문인데요.
`크루즈` 여객선을 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로 지정된 한 호텔입니다.
해외 입국한 외국인들은 2주 동안 이곳에 머물러야 하는데, 지난달 20대 남성 외국인이 숙소를 무단 이탈했습니다.
[김요한/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정책위원장 : "국민의 안전을 위한 시설인데 오히려 이 시설은 이곳 주변 주민들에게는 위협 시설이 돼 버리고 말았어요."]
인근 상인 신고로 붙잡힌 이 남성은 강제 출국됐습니다.
특히, 격리되어 있는 입소자들이 창밖으로 침을 뱉거나 이곳 인도로 담배 꽁초를 버리는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격리 시설 해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장 철수하라!"]
해외입국자 격리 시설은 경기도와 인천에 8곳.
용인에 있는 한 시설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 시설을 찾기 어려워 갈등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
`크루즈` 여객선을 임시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까지 나왔습니다.
[허종식/민주당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갑 : "바다에 떠 있기 때문에 일반 시설들, 아파트나 상가들과 무관합니다. 멀리 떨어져 있고요. 사전에 방역이나 격리에 대해서 매뉴얼대로만 하면 가장 안전하다…"]
하지만, 좁은 환경때문에 일본처럼 `크루즈 집단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해외 입국자 증가로 임시생활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방역당국은 민간 참여형 시설 등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해외입국자들이 격리되는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을 둘러싼 갈등이 수도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주민 생활권과 가까운데다, 무단 이탈자가 생기기도 하기 때문인데요.
`크루즈` 여객선을 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로 지정된 한 호텔입니다.
해외 입국한 외국인들은 2주 동안 이곳에 머물러야 하는데, 지난달 20대 남성 외국인이 숙소를 무단 이탈했습니다.
[김요한/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정책위원장 : "국민의 안전을 위한 시설인데 오히려 이 시설은 이곳 주변 주민들에게는 위협 시설이 돼 버리고 말았어요."]
인근 상인 신고로 붙잡힌 이 남성은 강제 출국됐습니다.
특히, 격리되어 있는 입소자들이 창밖으로 침을 뱉거나 이곳 인도로 담배 꽁초를 버리는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격리 시설 해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장 철수하라!"]
해외입국자 격리 시설은 경기도와 인천에 8곳.
용인에 있는 한 시설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 시설을 찾기 어려워 갈등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
`크루즈` 여객선을 임시생활시설로 활용하자는 제안까지 나왔습니다.
[허종식/민주당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갑 : "바다에 떠 있기 때문에 일반 시설들, 아파트나 상가들과 무관합니다. 멀리 떨어져 있고요. 사전에 방역이나 격리에 대해서 매뉴얼대로만 하면 가장 안전하다…"]
하지만, 좁은 환경때문에 일본처럼 `크루즈 집단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해외 입국자 증가로 임시생활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방역당국은 민간 참여형 시설 등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
-
장혁진 기자 analogue@kbs.co.kr
장혁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