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출직 지자체장 조사에 제3의 기관 필요”…여가부 장관 “책임 통감”
입력 2020.07.18 (07:24)
수정 2020.07.18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KBS는 자치단체의 장이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일 경우 자체 조사와 처벌에 허점이 많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지자체 성폭력에 대해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의 장관이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장관은 민간 전문가와 함께 이 문제를 논의하고, 지자체의 성폭력을 감시할 제3의 기구를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민정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폭력·성추행 문제 주무 부처인 여성가족부 장관은 먼저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정옥/여성가족부 장관 : "최근에 지자체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성희롱, 성폭력 사건을 지켜보면서 주무 부처 장관으로서 정말 마음이 무겁고, 깊은 책임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먼저 논의된 건 자치단체 대책의 허점입니다.
서울시 성폭력 처리 매뉴얼을 보면 '최종 책임자'는 시장입니다.
독립된 조사를 해도 최종 보고는 시장이 받고 처벌 수위도 직접 결정합니다.
민간 위원들은 단체장이 가해자일 때 스스로 징계해야 하는 시스템의 맹점을 거론했습니다.
따라서 자치단체장도 객관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이 조사를 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현재 여가부에 조사권이 없는 만큼 법 개정을 통해 기능을 넓히는 방안도 제안됐습니다.
[이수정/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제3의 기구, 외부에 있는 기구에서 감시 기능을 갖게 할 수는 없느냐…. 감시 없이 올바른 정책이 집행되는 건 굉장히 어렵잖아요. 그러니까 일단 감시 기능을 늘리는 게 지금은 꼭 필요한 일이다."]
민간 위원들은 또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를 막고 지원을 늘리기 위한 대책도 요구했습니다.
특히 수사 단계에서 지원과 안전 보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장형윤/경기남부해바라기센터 소장/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굉장히 기시감이 든다고 해야 하나, 모든 조직 내의 성폭력 사건에서 항상 반복되는 현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본인이 '2차 가해'를 하면서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지적에, 여가부가 개념 정립을 통해 2차 가해가 무엇인지 이해를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건의했습니다.
KBS 뉴스 민정희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신승기
앞서 KBS는 자치단체의 장이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일 경우 자체 조사와 처벌에 허점이 많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지자체 성폭력에 대해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의 장관이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장관은 민간 전문가와 함께 이 문제를 논의하고, 지자체의 성폭력을 감시할 제3의 기구를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민정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폭력·성추행 문제 주무 부처인 여성가족부 장관은 먼저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정옥/여성가족부 장관 : "최근에 지자체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성희롱, 성폭력 사건을 지켜보면서 주무 부처 장관으로서 정말 마음이 무겁고, 깊은 책임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먼저 논의된 건 자치단체 대책의 허점입니다.
서울시 성폭력 처리 매뉴얼을 보면 '최종 책임자'는 시장입니다.
독립된 조사를 해도 최종 보고는 시장이 받고 처벌 수위도 직접 결정합니다.
민간 위원들은 단체장이 가해자일 때 스스로 징계해야 하는 시스템의 맹점을 거론했습니다.
따라서 자치단체장도 객관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이 조사를 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현재 여가부에 조사권이 없는 만큼 법 개정을 통해 기능을 넓히는 방안도 제안됐습니다.
[이수정/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제3의 기구, 외부에 있는 기구에서 감시 기능을 갖게 할 수는 없느냐…. 감시 없이 올바른 정책이 집행되는 건 굉장히 어렵잖아요. 그러니까 일단 감시 기능을 늘리는 게 지금은 꼭 필요한 일이다."]
민간 위원들은 또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를 막고 지원을 늘리기 위한 대책도 요구했습니다.
특히 수사 단계에서 지원과 안전 보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장형윤/경기남부해바라기센터 소장/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굉장히 기시감이 든다고 해야 하나, 모든 조직 내의 성폭력 사건에서 항상 반복되는 현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본인이 '2차 가해'를 하면서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지적에, 여가부가 개념 정립을 통해 2차 가해가 무엇인지 이해를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건의했습니다.
KBS 뉴스 민정희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신승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선출직 지자체장 조사에 제3의 기관 필요”…여가부 장관 “책임 통감”
-
- 입력 2020-07-18 07:29:05
- 수정2020-07-18 07:47:25

[앵커]
앞서 KBS는 자치단체의 장이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일 경우 자체 조사와 처벌에 허점이 많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지자체 성폭력에 대해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의 장관이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장관은 민간 전문가와 함께 이 문제를 논의하고, 지자체의 성폭력을 감시할 제3의 기구를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민정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폭력·성추행 문제 주무 부처인 여성가족부 장관은 먼저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정옥/여성가족부 장관 : "최근에 지자체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성희롱, 성폭력 사건을 지켜보면서 주무 부처 장관으로서 정말 마음이 무겁고, 깊은 책임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먼저 논의된 건 자치단체 대책의 허점입니다.
서울시 성폭력 처리 매뉴얼을 보면 '최종 책임자'는 시장입니다.
독립된 조사를 해도 최종 보고는 시장이 받고 처벌 수위도 직접 결정합니다.
민간 위원들은 단체장이 가해자일 때 스스로 징계해야 하는 시스템의 맹점을 거론했습니다.
따라서 자치단체장도 객관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이 조사를 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현재 여가부에 조사권이 없는 만큼 법 개정을 통해 기능을 넓히는 방안도 제안됐습니다.
[이수정/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제3의 기구, 외부에 있는 기구에서 감시 기능을 갖게 할 수는 없느냐…. 감시 없이 올바른 정책이 집행되는 건 굉장히 어렵잖아요. 그러니까 일단 감시 기능을 늘리는 게 지금은 꼭 필요한 일이다."]
민간 위원들은 또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를 막고 지원을 늘리기 위한 대책도 요구했습니다.
특히 수사 단계에서 지원과 안전 보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장형윤/경기남부해바라기센터 소장/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굉장히 기시감이 든다고 해야 하나, 모든 조직 내의 성폭력 사건에서 항상 반복되는 현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본인이 '2차 가해'를 하면서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지적에, 여가부가 개념 정립을 통해 2차 가해가 무엇인지 이해를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건의했습니다.
KBS 뉴스 민정희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신승기
앞서 KBS는 자치단체의 장이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일 경우 자체 조사와 처벌에 허점이 많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지자체 성폭력에 대해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의 장관이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장관은 민간 전문가와 함께 이 문제를 논의하고, 지자체의 성폭력을 감시할 제3의 기구를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민정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폭력·성추행 문제 주무 부처인 여성가족부 장관은 먼저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정옥/여성가족부 장관 : "최근에 지자체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성희롱, 성폭력 사건을 지켜보면서 주무 부처 장관으로서 정말 마음이 무겁고, 깊은 책임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먼저 논의된 건 자치단체 대책의 허점입니다.
서울시 성폭력 처리 매뉴얼을 보면 '최종 책임자'는 시장입니다.
독립된 조사를 해도 최종 보고는 시장이 받고 처벌 수위도 직접 결정합니다.
민간 위원들은 단체장이 가해자일 때 스스로 징계해야 하는 시스템의 맹점을 거론했습니다.
따라서 자치단체장도 객관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이 조사를 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현재 여가부에 조사권이 없는 만큼 법 개정을 통해 기능을 넓히는 방안도 제안됐습니다.
[이수정/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제3의 기구, 외부에 있는 기구에서 감시 기능을 갖게 할 수는 없느냐…. 감시 없이 올바른 정책이 집행되는 건 굉장히 어렵잖아요. 그러니까 일단 감시 기능을 늘리는 게 지금은 꼭 필요한 일이다."]
민간 위원들은 또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를 막고 지원을 늘리기 위한 대책도 요구했습니다.
특히 수사 단계에서 지원과 안전 보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장형윤/경기남부해바라기센터 소장/여성가족부 민간 위원 : "굉장히 기시감이 든다고 해야 하나, 모든 조직 내의 성폭력 사건에서 항상 반복되는 현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본인이 '2차 가해'를 하면서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지적에, 여가부가 개념 정립을 통해 2차 가해가 무엇인지 이해를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건의했습니다.
KBS 뉴스 민정희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신승기
-
-
민정희 기자 jj@kbs.co.kr
민정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