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파괴자 ‘칡덩굴’…하루 30cm 성장
입력 2020.07.18 (17:21)
수정 2020.07.18 (17: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최근 산림 생태계의 파괴자로 불리는 게 바로 '칡덩굴' 인데요.
도로변이나 농경지 주변까지 칡덩굴이 뒤덮고 있지만 강한 생명력과 빠른 성장 속도 때문에 제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진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도로변의 경사지 전체를 온통 칡덩굴이 뒤덮고 있습니다.
가로수를 말라 죽게 하고 3-4m 높이의 전선까지 타고 올라갑니다.
야산 인근의 마을 주변도 칡덩굴이 점령했습니다.
논과 밭, 과수원 주변에도 온통 무성한 칡덩굴 투성입니다.
[이향우/충남 태안군 태안읍 : "작물이 크면 (칡덩굴이) 감고 올라갑니다. 그런데 요새 농촌에 일손이 바쁜데 이것을 제거할 수 있어요? 못하죠."]
칡덩굴은 장마철이면 하루 최대 30cm나 자라고 1년이면 100m를 뻗어 나갑니다.
줄기를 잘라도 뿌리째 뽑지 않으면 곧바로 줄기가 다시 생기고 빠른 속도로 성장합니다.
이 때문에 자치단체들이 해마다 몇 차례씩 대대적인 제거작업을 해도 효과는 잠시뿐입니다.
[김태현/충남 태안군 도로보수단장 : "칡넝쿨이 한 번 제거하고 열흘 뒤쯤이면 도로 원상 복구되다시피 해서 처리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전국의 칡덩굴 피해면적은 2017년 2만천 ha에서 지난해에는 4만ha로 불과 2년 만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칡덩굴 제거에 투입되는 예산만 모두 250억 원.
산림청은 약물과 숲 가꾸기사업 등을 통한 제거사업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기온상승 등으로 칡덩굴의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기대 효과를 볼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환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최근 산림 생태계의 파괴자로 불리는 게 바로 '칡덩굴' 인데요.
도로변이나 농경지 주변까지 칡덩굴이 뒤덮고 있지만 강한 생명력과 빠른 성장 속도 때문에 제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진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도로변의 경사지 전체를 온통 칡덩굴이 뒤덮고 있습니다.
가로수를 말라 죽게 하고 3-4m 높이의 전선까지 타고 올라갑니다.
야산 인근의 마을 주변도 칡덩굴이 점령했습니다.
논과 밭, 과수원 주변에도 온통 무성한 칡덩굴 투성입니다.
[이향우/충남 태안군 태안읍 : "작물이 크면 (칡덩굴이) 감고 올라갑니다. 그런데 요새 농촌에 일손이 바쁜데 이것을 제거할 수 있어요? 못하죠."]
칡덩굴은 장마철이면 하루 최대 30cm나 자라고 1년이면 100m를 뻗어 나갑니다.
줄기를 잘라도 뿌리째 뽑지 않으면 곧바로 줄기가 다시 생기고 빠른 속도로 성장합니다.
이 때문에 자치단체들이 해마다 몇 차례씩 대대적인 제거작업을 해도 효과는 잠시뿐입니다.
[김태현/충남 태안군 도로보수단장 : "칡넝쿨이 한 번 제거하고 열흘 뒤쯤이면 도로 원상 복구되다시피 해서 처리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전국의 칡덩굴 피해면적은 2017년 2만천 ha에서 지난해에는 4만ha로 불과 2년 만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칡덩굴 제거에 투입되는 예산만 모두 250억 원.
산림청은 약물과 숲 가꾸기사업 등을 통한 제거사업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기온상승 등으로 칡덩굴의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기대 효과를 볼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환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태계 파괴자 ‘칡덩굴’…하루 30cm 성장
-
- 입력 2020-07-18 17:22:35
- 수정2020-07-18 17:26:31

[앵커]
최근 산림 생태계의 파괴자로 불리는 게 바로 '칡덩굴' 인데요.
도로변이나 농경지 주변까지 칡덩굴이 뒤덮고 있지만 강한 생명력과 빠른 성장 속도 때문에 제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진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도로변의 경사지 전체를 온통 칡덩굴이 뒤덮고 있습니다.
가로수를 말라 죽게 하고 3-4m 높이의 전선까지 타고 올라갑니다.
야산 인근의 마을 주변도 칡덩굴이 점령했습니다.
논과 밭, 과수원 주변에도 온통 무성한 칡덩굴 투성입니다.
[이향우/충남 태안군 태안읍 : "작물이 크면 (칡덩굴이) 감고 올라갑니다. 그런데 요새 농촌에 일손이 바쁜데 이것을 제거할 수 있어요? 못하죠."]
칡덩굴은 장마철이면 하루 최대 30cm나 자라고 1년이면 100m를 뻗어 나갑니다.
줄기를 잘라도 뿌리째 뽑지 않으면 곧바로 줄기가 다시 생기고 빠른 속도로 성장합니다.
이 때문에 자치단체들이 해마다 몇 차례씩 대대적인 제거작업을 해도 효과는 잠시뿐입니다.
[김태현/충남 태안군 도로보수단장 : "칡넝쿨이 한 번 제거하고 열흘 뒤쯤이면 도로 원상 복구되다시피 해서 처리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전국의 칡덩굴 피해면적은 2017년 2만천 ha에서 지난해에는 4만ha로 불과 2년 만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칡덩굴 제거에 투입되는 예산만 모두 250억 원.
산림청은 약물과 숲 가꾸기사업 등을 통한 제거사업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기온상승 등으로 칡덩굴의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기대 효과를 볼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환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최근 산림 생태계의 파괴자로 불리는 게 바로 '칡덩굴' 인데요.
도로변이나 농경지 주변까지 칡덩굴이 뒤덮고 있지만 강한 생명력과 빠른 성장 속도 때문에 제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진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도로변의 경사지 전체를 온통 칡덩굴이 뒤덮고 있습니다.
가로수를 말라 죽게 하고 3-4m 높이의 전선까지 타고 올라갑니다.
야산 인근의 마을 주변도 칡덩굴이 점령했습니다.
논과 밭, 과수원 주변에도 온통 무성한 칡덩굴 투성입니다.
[이향우/충남 태안군 태안읍 : "작물이 크면 (칡덩굴이) 감고 올라갑니다. 그런데 요새 농촌에 일손이 바쁜데 이것을 제거할 수 있어요? 못하죠."]
칡덩굴은 장마철이면 하루 최대 30cm나 자라고 1년이면 100m를 뻗어 나갑니다.
줄기를 잘라도 뿌리째 뽑지 않으면 곧바로 줄기가 다시 생기고 빠른 속도로 성장합니다.
이 때문에 자치단체들이 해마다 몇 차례씩 대대적인 제거작업을 해도 효과는 잠시뿐입니다.
[김태현/충남 태안군 도로보수단장 : "칡넝쿨이 한 번 제거하고 열흘 뒤쯤이면 도로 원상 복구되다시피 해서 처리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전국의 칡덩굴 피해면적은 2017년 2만천 ha에서 지난해에는 4만ha로 불과 2년 만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칡덩굴 제거에 투입되는 예산만 모두 250억 원.
산림청은 약물과 숲 가꾸기사업 등을 통한 제거사업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기온상승 등으로 칡덩굴의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기대 효과를 볼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환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
유진환 기자 miru@kbs.co.kr
유진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