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가 있던 자리

입력 2020.07.22 (21:45) 수정 2020.07.22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11년 8월.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된 <모나리자> 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도난당한 것이었죠.

충격으로 문을 닫은 박물관은 한주 뒤 다시 문을 열었는데, 모나리자가 사라진 빈자리에 인파가 구름같이 몰렸습니다.

평소엔 무심했던 사람들까지 눈물을 훔치거나. 한숨을 내쉬었고 한 시인은 “우리에게도 이런 것이 있었구나” 하며 탄식했습니다.

코로나의 시간이 길어지면서 우리 역시 일상적으로 지나쳐온 것들을 새삼 다시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지난 몇 달간 문 닫았던 박물관과 미술관, 도서관 등이 오늘부터 조심스레 문 열었는데 그동안 편하게 누려온 것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모나리자’가 있던 자리
    • 입력 2020-07-22 21:46:55
    • 수정2020-07-22 22:15:38
    뉴스 9
1911년 8월.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된 <모나리자> 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도난당한 것이었죠.

충격으로 문을 닫은 박물관은 한주 뒤 다시 문을 열었는데, 모나리자가 사라진 빈자리에 인파가 구름같이 몰렸습니다.

평소엔 무심했던 사람들까지 눈물을 훔치거나. 한숨을 내쉬었고 한 시인은 “우리에게도 이런 것이 있었구나” 하며 탄식했습니다.

코로나의 시간이 길어지면서 우리 역시 일상적으로 지나쳐온 것들을 새삼 다시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지난 몇 달간 문 닫았던 박물관과 미술관, 도서관 등이 오늘부터 조심스레 문 열었는데 그동안 편하게 누려온 것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