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변확대만 7년째…제조업체들 “투자 여력 없어요”
입력 2020.07.25 (07:38)
수정 2020.07.25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G, AI와같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완전 자동화를 이룬 공장, '스마트공장'이라고 하는데요.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를 만들어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일자리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냈었죠.
현실은 어떨까요, 옥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봇팔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나사를 조립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합니다.
5G 망을 통해 작업 진척을 확인하고 원격 제어도 가능합니다.
이 화장품 공장에선 핵심 설비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사람보다 시스템이 먼저 포착해 알려줍니다.
[곽요한/이시스코스메틱 공장장 : "시간시간 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좀 더 불량률 줄이고 제품에 퀄리티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공장 사업엔 이동통신사와 대기업까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정부도 스마트공장 초기 구축 비용을 업체 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스마트공장 지원 건수가)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6월말 기준으로 해서 (지난해보다) 50~60% 정도 증가했더라고요, 저희들 사업에 대해서 확신이 있기 때문에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 실적, 더 들여다봤습니다.
전체 신청 기업은 3,700곳.
하지만, 이중 구축 완료는 10%에 그칩니다. 코로나 여파 등으로 94곳은 중도 포기했습니다.
[스포츠용품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우리 회사 같은 경우는 현재는 그럴(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이 아직 없으니까. (정부)지원금 가지고만 다 할 수는 없잖아요. 기업에서도 그게 다 빚인데."]
[주물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현재 상황으로서는 경기가 안 좋으니까 굳이 그렇게 (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도 없고요 사실."]
올해로 도입 7년째를 맞는 스마트공장, 기술 수준도 따져봤습니다.
[중기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처음에 들어가는 기업들이 기초수준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그게 업그레이드가 되잖아요 고도화로..."]
과연 그럴까.
취재진이 확인한 2년 전까지의 평가는 좀 다릅니다.
77%가 생산관리 전산화 등 '기초단계'로 조사됐는데, 이듬해도 80%로 제자리걸음입니다.
가장 높은 단계 '고도화'는 0%입니다.
[자동차부품제조업 관계자/1년전 스마트공장 구축/음성변조 : "스마트팩토리 국책 지원사업이라고 해서 한 건만 작년에 (구축)했었습니다. 매출에,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죠. 소프트웨어적으로 그런걸 지원하는 거거든요."]
내후년까지 3만 개 구축이라는 목표만 보고 달리다 양만 늘리는데 그칠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안성훈/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 "너무 양적인 숫자에 집중을 하자, 보기에는 괜찮은데 실제로 사후에 평가했을때 정말 스마트팩토리의 수준이 올라갔는지를 보는데까지는 아직 계획이 잘 안되고 있어서."]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6조 5천 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 허용석/영상편집:서정혁
5G, AI와같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완전 자동화를 이룬 공장, '스마트공장'이라고 하는데요.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를 만들어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일자리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냈었죠.
현실은 어떨까요, 옥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봇팔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나사를 조립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합니다.
5G 망을 통해 작업 진척을 확인하고 원격 제어도 가능합니다.
이 화장품 공장에선 핵심 설비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사람보다 시스템이 먼저 포착해 알려줍니다.
[곽요한/이시스코스메틱 공장장 : "시간시간 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좀 더 불량률 줄이고 제품에 퀄리티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공장 사업엔 이동통신사와 대기업까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정부도 스마트공장 초기 구축 비용을 업체 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스마트공장 지원 건수가)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6월말 기준으로 해서 (지난해보다) 50~60% 정도 증가했더라고요, 저희들 사업에 대해서 확신이 있기 때문에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 실적, 더 들여다봤습니다.
전체 신청 기업은 3,700곳.
하지만, 이중 구축 완료는 10%에 그칩니다. 코로나 여파 등으로 94곳은 중도 포기했습니다.
[스포츠용품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우리 회사 같은 경우는 현재는 그럴(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이 아직 없으니까. (정부)지원금 가지고만 다 할 수는 없잖아요. 기업에서도 그게 다 빚인데."]
[주물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현재 상황으로서는 경기가 안 좋으니까 굳이 그렇게 (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도 없고요 사실."]
올해로 도입 7년째를 맞는 스마트공장, 기술 수준도 따져봤습니다.
[중기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처음에 들어가는 기업들이 기초수준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그게 업그레이드가 되잖아요 고도화로..."]
과연 그럴까.
취재진이 확인한 2년 전까지의 평가는 좀 다릅니다.
77%가 생산관리 전산화 등 '기초단계'로 조사됐는데, 이듬해도 80%로 제자리걸음입니다.
가장 높은 단계 '고도화'는 0%입니다.
[자동차부품제조업 관계자/1년전 스마트공장 구축/음성변조 : "스마트팩토리 국책 지원사업이라고 해서 한 건만 작년에 (구축)했었습니다. 매출에,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죠. 소프트웨어적으로 그런걸 지원하는 거거든요."]
내후년까지 3만 개 구축이라는 목표만 보고 달리다 양만 늘리는데 그칠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안성훈/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 "너무 양적인 숫자에 집중을 하자, 보기에는 괜찮은데 실제로 사후에 평가했을때 정말 스마트팩토리의 수준이 올라갔는지를 보는데까지는 아직 계획이 잘 안되고 있어서."]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6조 5천 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 허용석/영상편집:서정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변확대만 7년째…제조업체들 “투자 여력 없어요”
-
- 입력 2020-07-25 07:47:31
- 수정2020-07-25 07:56:12

[앵커]
5G, AI와같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완전 자동화를 이룬 공장, '스마트공장'이라고 하는데요.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를 만들어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일자리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냈었죠.
현실은 어떨까요, 옥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봇팔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나사를 조립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합니다.
5G 망을 통해 작업 진척을 확인하고 원격 제어도 가능합니다.
이 화장품 공장에선 핵심 설비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사람보다 시스템이 먼저 포착해 알려줍니다.
[곽요한/이시스코스메틱 공장장 : "시간시간 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좀 더 불량률 줄이고 제품에 퀄리티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공장 사업엔 이동통신사와 대기업까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정부도 스마트공장 초기 구축 비용을 업체 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스마트공장 지원 건수가)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6월말 기준으로 해서 (지난해보다) 50~60% 정도 증가했더라고요, 저희들 사업에 대해서 확신이 있기 때문에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 실적, 더 들여다봤습니다.
전체 신청 기업은 3,700곳.
하지만, 이중 구축 완료는 10%에 그칩니다. 코로나 여파 등으로 94곳은 중도 포기했습니다.
[스포츠용품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우리 회사 같은 경우는 현재는 그럴(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이 아직 없으니까. (정부)지원금 가지고만 다 할 수는 없잖아요. 기업에서도 그게 다 빚인데."]
[주물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현재 상황으로서는 경기가 안 좋으니까 굳이 그렇게 (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도 없고요 사실."]
올해로 도입 7년째를 맞는 스마트공장, 기술 수준도 따져봤습니다.
[중기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처음에 들어가는 기업들이 기초수준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그게 업그레이드가 되잖아요 고도화로..."]
과연 그럴까.
취재진이 확인한 2년 전까지의 평가는 좀 다릅니다.
77%가 생산관리 전산화 등 '기초단계'로 조사됐는데, 이듬해도 80%로 제자리걸음입니다.
가장 높은 단계 '고도화'는 0%입니다.
[자동차부품제조업 관계자/1년전 스마트공장 구축/음성변조 : "스마트팩토리 국책 지원사업이라고 해서 한 건만 작년에 (구축)했었습니다. 매출에,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죠. 소프트웨어적으로 그런걸 지원하는 거거든요."]
내후년까지 3만 개 구축이라는 목표만 보고 달리다 양만 늘리는데 그칠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안성훈/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 "너무 양적인 숫자에 집중을 하자, 보기에는 괜찮은데 실제로 사후에 평가했을때 정말 스마트팩토리의 수준이 올라갔는지를 보는데까지는 아직 계획이 잘 안되고 있어서."]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6조 5천 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 허용석/영상편집:서정혁
5G, AI와같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완전 자동화를 이룬 공장, '스마트공장'이라고 하는데요.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를 만들어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일자리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냈었죠.
현실은 어떨까요, 옥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봇팔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나사를 조립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합니다.
5G 망을 통해 작업 진척을 확인하고 원격 제어도 가능합니다.
이 화장품 공장에선 핵심 설비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사람보다 시스템이 먼저 포착해 알려줍니다.
[곽요한/이시스코스메틱 공장장 : "시간시간 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좀 더 불량률 줄이고 제품에 퀄리티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공장 사업엔 이동통신사와 대기업까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정부도 스마트공장 초기 구축 비용을 업체 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스마트공장 지원 건수가)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6월말 기준으로 해서 (지난해보다) 50~60% 정도 증가했더라고요, 저희들 사업에 대해서 확신이 있기 때문에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 실적, 더 들여다봤습니다.
전체 신청 기업은 3,700곳.
하지만, 이중 구축 완료는 10%에 그칩니다. 코로나 여파 등으로 94곳은 중도 포기했습니다.
[스포츠용품 제조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우리 회사 같은 경우는 현재는 그럴(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이 아직 없으니까. (정부)지원금 가지고만 다 할 수는 없잖아요. 기업에서도 그게 다 빚인데."]
[주물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현재 상황으로서는 경기가 안 좋으니까 굳이 그렇게 (스마트공장에) 투자할 여력도 없고요 사실."]
올해로 도입 7년째를 맞는 스마트공장, 기술 수준도 따져봤습니다.
[중기부 스마트공장 지원 부서 관계자/음성변조 : "처음에 들어가는 기업들이 기초수준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그게 업그레이드가 되잖아요 고도화로..."]
과연 그럴까.
취재진이 확인한 2년 전까지의 평가는 좀 다릅니다.
77%가 생산관리 전산화 등 '기초단계'로 조사됐는데, 이듬해도 80%로 제자리걸음입니다.
가장 높은 단계 '고도화'는 0%입니다.
[자동차부품제조업 관계자/1년전 스마트공장 구축/음성변조 : "스마트팩토리 국책 지원사업이라고 해서 한 건만 작년에 (구축)했었습니다. 매출에,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죠. 소프트웨어적으로 그런걸 지원하는 거거든요."]
내후년까지 3만 개 구축이라는 목표만 보고 달리다 양만 늘리는데 그칠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안성훈/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 "너무 양적인 숫자에 집중을 하자, 보기에는 괜찮은데 실제로 사후에 평가했을때 정말 스마트팩토리의 수준이 올라갔는지를 보는데까지는 아직 계획이 잘 안되고 있어서."]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6조 5천 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촬영기자:오광택 허용석/영상편집:서정혁
-
-
옥유정 기자 okay@kbs.co.kr
옥유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