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지속에…‘소비 방식’ 큰 변화
입력 2020.08.24 (08:33)
수정 2020.08.24 (0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바뀌고 있습니다.
소비 방식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요.
조경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말 이른 아침 전북도청 주차장에 수십 대의 차량이 몰렸습니다.
다른 사람과 대면 접촉하지 않고, 차에 탄 채로 농산물을 사기 위해섭니다.
코로나 19 여파로 이런 '드라이브 스루' 방식까지 도입된 겁니다.
농촌진흥청이 소비자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형마트와 백화점 소비가 줄고, 온라인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이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게 된 겁니다.
[김아영/직장인 : "예전에는 대형마트 위주로 많이 다녔었는데요. 아이도 있고 하다 보니까 코로나가 많이 걱정돼서 요새는 온라인으로 많이 구매하는 편이에요."]
또, 외식 비중이 크게 줄어 이른바 '집밥'족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6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이후에는 동네슈퍼의 이용률이 반짝 뛰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비대면인 온라인 소비 강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희/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 "동네슈퍼나 대형마트는 다시 원상태를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온라인 소비는 다시 확대된 만큼 소비가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코로나19로 소비 방식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유통산업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코로나19 여파로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바뀌고 있습니다.
소비 방식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요.
조경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말 이른 아침 전북도청 주차장에 수십 대의 차량이 몰렸습니다.
다른 사람과 대면 접촉하지 않고, 차에 탄 채로 농산물을 사기 위해섭니다.
코로나 19 여파로 이런 '드라이브 스루' 방식까지 도입된 겁니다.
농촌진흥청이 소비자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형마트와 백화점 소비가 줄고, 온라인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이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게 된 겁니다.
[김아영/직장인 : "예전에는 대형마트 위주로 많이 다녔었는데요. 아이도 있고 하다 보니까 코로나가 많이 걱정돼서 요새는 온라인으로 많이 구매하는 편이에요."]
또, 외식 비중이 크게 줄어 이른바 '집밥'족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6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이후에는 동네슈퍼의 이용률이 반짝 뛰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비대면인 온라인 소비 강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희/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 "동네슈퍼나 대형마트는 다시 원상태를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온라인 소비는 다시 확대된 만큼 소비가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코로나19로 소비 방식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유통산업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지속에…‘소비 방식’ 큰 변화
-
- 입력 2020-08-24 08:33:46
- 수정2020-08-24 09:14:35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바뀌고 있습니다.
소비 방식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요.
조경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말 이른 아침 전북도청 주차장에 수십 대의 차량이 몰렸습니다.
다른 사람과 대면 접촉하지 않고, 차에 탄 채로 농산물을 사기 위해섭니다.
코로나 19 여파로 이런 '드라이브 스루' 방식까지 도입된 겁니다.
농촌진흥청이 소비자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형마트와 백화점 소비가 줄고, 온라인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이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게 된 겁니다.
[김아영/직장인 : "예전에는 대형마트 위주로 많이 다녔었는데요. 아이도 있고 하다 보니까 코로나가 많이 걱정돼서 요새는 온라인으로 많이 구매하는 편이에요."]
또, 외식 비중이 크게 줄어 이른바 '집밥'족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6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이후에는 동네슈퍼의 이용률이 반짝 뛰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비대면인 온라인 소비 강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희/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 "동네슈퍼나 대형마트는 다시 원상태를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온라인 소비는 다시 확대된 만큼 소비가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코로나19로 소비 방식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유통산업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
조경모 기자 jkm@kbs.co.kr
조경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