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주의 잔재 지운다’ 조례 제정 추진
입력 2020.08.24 (14:15)
수정 2020.08.24 (14: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복 75주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가 많죠,
경남에서는 이 같은 일제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조례 제정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족문제연구소가 1급 친일파로 분류한 박시춘.
일본군 병정 지원을 독려하는 '혈서 지원' 등 군국 노래 13곡을 작곡했습니다.
밀양시는 지난해 사업비 100억 원을 들여, 박시춘의 업적을 기리는 가요박물관 건립하려다 지역사회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이현우/밀양시의원 : "그런 사람의 공을 기린다고 하면, 또다시 잘못된 일이 벌어질 것이고…."]
경남의 한 초등학교 안에 심겨진 교목, 왜향나무입니다.
1909년 조선총독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식민통치 홍보를 위해 심은 걸 계기로 한반도 전역에 퍼졌습니다.
한 학부모 단체 조사 결과 일본이 원산지인 교목과 교화를 쓰는 학교는 경남에서만 140여 곳 친일 인사가 만든 교가를 쓰는 학교도 20곳에 달했습니다.
[전진숙/교육희망경남학부모회 회장 : "사례에서 보면 뽑아낸 사례가 나오는데, 말씀을 드렸는데도 (제거가)안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광복 75주년이 넘도록 만연한 일본 제국주의 잔재를 없애기 위한 조례 제정이 추진됩니다.
친일반민족 행위자를 추모하거나 기념하는 사업에 경상남도 예산을 지원할 수 없도록 한 것이 핵심입니다.
공공기관에서 일본 제국주의 상징물을 쓸 수 없도록 했는데, 상징물에는 군사기 외에 강제징용과 위안부 등 피해자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디자인이나, 일제 통치를 선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창작물도 포함되었습니다.
[김영진/경남도의원 : "지금까지 못했던 부분을 다음 후세대를 위해서라도 정리를 해놓아야 되지 않을까, 하고 다짐합니다."]
일제 잔재 청산 조례는 행위자 지칭 용어와 기준 등에 대한 입법 검토를 거쳐 오는 10월쯤 경남도의회에 상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
광복 75주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가 많죠,
경남에서는 이 같은 일제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조례 제정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족문제연구소가 1급 친일파로 분류한 박시춘.
일본군 병정 지원을 독려하는 '혈서 지원' 등 군국 노래 13곡을 작곡했습니다.
밀양시는 지난해 사업비 100억 원을 들여, 박시춘의 업적을 기리는 가요박물관 건립하려다 지역사회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이현우/밀양시의원 : "그런 사람의 공을 기린다고 하면, 또다시 잘못된 일이 벌어질 것이고…."]
경남의 한 초등학교 안에 심겨진 교목, 왜향나무입니다.
1909년 조선총독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식민통치 홍보를 위해 심은 걸 계기로 한반도 전역에 퍼졌습니다.
한 학부모 단체 조사 결과 일본이 원산지인 교목과 교화를 쓰는 학교는 경남에서만 140여 곳 친일 인사가 만든 교가를 쓰는 학교도 20곳에 달했습니다.
[전진숙/교육희망경남학부모회 회장 : "사례에서 보면 뽑아낸 사례가 나오는데, 말씀을 드렸는데도 (제거가)안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광복 75주년이 넘도록 만연한 일본 제국주의 잔재를 없애기 위한 조례 제정이 추진됩니다.
친일반민족 행위자를 추모하거나 기념하는 사업에 경상남도 예산을 지원할 수 없도록 한 것이 핵심입니다.
공공기관에서 일본 제국주의 상징물을 쓸 수 없도록 했는데, 상징물에는 군사기 외에 강제징용과 위안부 등 피해자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디자인이나, 일제 통치를 선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창작물도 포함되었습니다.
[김영진/경남도의원 : "지금까지 못했던 부분을 다음 후세대를 위해서라도 정리를 해놓아야 되지 않을까, 하고 다짐합니다."]
일제 잔재 청산 조례는 행위자 지칭 용어와 기준 등에 대한 입법 검토를 거쳐 오는 10월쯤 경남도의회에 상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제국주의 잔재 지운다’ 조례 제정 추진
-
- 입력 2020-08-24 14:15:34
- 수정2020-08-24 14:16:40

[앵커]
광복 75주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가 많죠,
경남에서는 이 같은 일제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조례 제정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족문제연구소가 1급 친일파로 분류한 박시춘.
일본군 병정 지원을 독려하는 '혈서 지원' 등 군국 노래 13곡을 작곡했습니다.
밀양시는 지난해 사업비 100억 원을 들여, 박시춘의 업적을 기리는 가요박물관 건립하려다 지역사회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이현우/밀양시의원 : "그런 사람의 공을 기린다고 하면, 또다시 잘못된 일이 벌어질 것이고…."]
경남의 한 초등학교 안에 심겨진 교목, 왜향나무입니다.
1909년 조선총독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식민통치 홍보를 위해 심은 걸 계기로 한반도 전역에 퍼졌습니다.
한 학부모 단체 조사 결과 일본이 원산지인 교목과 교화를 쓰는 학교는 경남에서만 140여 곳 친일 인사가 만든 교가를 쓰는 학교도 20곳에 달했습니다.
[전진숙/교육희망경남학부모회 회장 : "사례에서 보면 뽑아낸 사례가 나오는데, 말씀을 드렸는데도 (제거가)안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광복 75주년이 넘도록 만연한 일본 제국주의 잔재를 없애기 위한 조례 제정이 추진됩니다.
친일반민족 행위자를 추모하거나 기념하는 사업에 경상남도 예산을 지원할 수 없도록 한 것이 핵심입니다.
공공기관에서 일본 제국주의 상징물을 쓸 수 없도록 했는데, 상징물에는 군사기 외에 강제징용과 위안부 등 피해자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디자인이나, 일제 통치를 선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창작물도 포함되었습니다.
[김영진/경남도의원 : "지금까지 못했던 부분을 다음 후세대를 위해서라도 정리를 해놓아야 되지 않을까, 하고 다짐합니다."]
일제 잔재 청산 조례는 행위자 지칭 용어와 기준 등에 대한 입법 검토를 거쳐 오는 10월쯤 경남도의회에 상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
-
-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