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 인사이드] “턱 걸친 마스크는 세균 배양 접시”

입력 2020.09.06 (07:06) 수정 2020.09.06 (07: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재확산과 함께 마스크 착용이 강화됐는데, 날도 덥고, 피로감이 쌓여서인지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쓰더라도 턱에 걸쳐만 놓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더운 여름 턱에 걸쳐놓은 마스크는 세균이 번식하기 더 좋은 환경이어서 아주 좋지 않다고 합니다.

또 요즘 마스크를 잠시 벗을 경우에 대비해 목걸이 끈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건 어떻게 사용하는게 맞을까요?

일상화된 마스크 사용의 올바른 사용법을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보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들어간 요즘, 마스크 착용과 관련해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아예 쓰지 않아 주변 사람들과 마찰을 빚고 폭행까지 한 사람도 있습니다

[류제길/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기분이 좀 안 좋죠. 다 쓰고 다니는데 그것도 (하나의) 공동생활이잖아요."]

[이재호/서울시 노원구 월계동 : "조금 조치가 필요해보여요. 요즘 많이 심각해져서..."]

이제는 그 누구도 코로나19 감염 위험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상황.

마스크를 제대로 쓰는 것만이 최선의 방역인만큼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둬야 하는데요.

먼저 마스크를 선택할 때는 식약처가 허가한 의약외품 표시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보건용 마스크 가운데 '밸브형 마스크'는 바이러스가 배출될 수 있어 사용을 피해야 하고, '망사 마스크'나 '마스크 공기 배출기' 등은 안전성과 성능이 검증되지 않아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마스크를 쓸 때는 얼굴 크기에 잘 맞는 것을 골라 최대한 밀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얼굴과 마스크 사이 빈틈을 통해 바이러스가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코로나19 감염을 막으려면 코를 반드시 가려야 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필요한 ACE2 수용체가 다른 호흡기 조직보다 코에 3배 이상 많기 때문입니다.

[한돈희/인제대 보건안전공학과 교수/한국호흡보호구학회 회장 : "인증받은 마스크의 경우 부직포를 통해서 비말이 거의 들어오지 않습니다 비말이 들어오는 경로는 코와 얼굴 사이 턱 부분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착용자는 항상 이 부분이 얼굴에 잘 밀착되어 있는지를 점검해야 되겠습니다."]

실내에서도 마스크 착용은 필수! 특히, 음식을 먹기 전,후나 대화 시에도 마스크를 벗지 않아야 합니다.

마스크를 턱에 걸쳐둘 경우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정기석/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마스크를 턱에 걸쳐서 여기에 균들이 묻어있으면 균들이 그 안에서 계속 자라게 되겠죠. 그래서 배양 접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바이러스가 묻어서 내 몸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턱스크(턱 걸친 마스크)는 안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특히 더운 여름에 마스크를 턱에 걸쳐두면 땀 때문에 습기가 차서 세균이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식사시간 등 어쩔 수 없이 마스크를 벗어야 할 땐 턱에 걸쳐두기보다 주머니에 넣거나 겉면이 바닥에 닿게 잘 접어서 놓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스크를 목걸이 끈에 달아 사용할 때 역시 안쪽 면이 오염되지 않게 잘 접어둬야 합니다.

[정기석/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마스크를 쓰다가 이렇게 쓴 다음에 손으로 잡고 내리면 안 되고요 마스크는 내릴 때, 양쪽의 내 입과 코가 닿는 앞면, 뒷면이 내 손에 안닿게 내리셔야 합니다 마스크 걸이는 차라리 턱에 거는 것보다 훨씬 낫다고 보고요 여기에 오염되지 않도록만 주의하면 되지 않을까 봅니다."]

땀이나 물에 젖은 마스크는 세균번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빨리 새 마스크로 교체해야 하며, 환기가 어렵고 사람이 많은 밀집, 밀접 밀폐 시설에서 사용한 마스크는 재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한 번 사용한 마스크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마스크를 반으로 접어 끈으로 묶거나 봉투에 담아 밀봉한 후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마스크가 코로나19 예방에 큰 효과가 있는만큼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한 후 사용해야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난·안전 인사이드] “턱 걸친 마스크는 세균 배양 접시”
    • 입력 2020-09-06 07:14:37
    • 수정2020-09-06 07:21:31
    KBS 재난방송센터
[앵커]

코로나19 재확산과 함께 마스크 착용이 강화됐는데, 날도 덥고, 피로감이 쌓여서인지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쓰더라도 턱에 걸쳐만 놓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더운 여름 턱에 걸쳐놓은 마스크는 세균이 번식하기 더 좋은 환경이어서 아주 좋지 않다고 합니다.

또 요즘 마스크를 잠시 벗을 경우에 대비해 목걸이 끈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건 어떻게 사용하는게 맞을까요?

일상화된 마스크 사용의 올바른 사용법을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보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들어간 요즘, 마스크 착용과 관련해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아예 쓰지 않아 주변 사람들과 마찰을 빚고 폭행까지 한 사람도 있습니다

[류제길/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기분이 좀 안 좋죠. 다 쓰고 다니는데 그것도 (하나의) 공동생활이잖아요."]

[이재호/서울시 노원구 월계동 : "조금 조치가 필요해보여요. 요즘 많이 심각해져서..."]

이제는 그 누구도 코로나19 감염 위험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상황.

마스크를 제대로 쓰는 것만이 최선의 방역인만큼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둬야 하는데요.

먼저 마스크를 선택할 때는 식약처가 허가한 의약외품 표시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보건용 마스크 가운데 '밸브형 마스크'는 바이러스가 배출될 수 있어 사용을 피해야 하고, '망사 마스크'나 '마스크 공기 배출기' 등은 안전성과 성능이 검증되지 않아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마스크를 쓸 때는 얼굴 크기에 잘 맞는 것을 골라 최대한 밀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얼굴과 마스크 사이 빈틈을 통해 바이러스가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코로나19 감염을 막으려면 코를 반드시 가려야 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필요한 ACE2 수용체가 다른 호흡기 조직보다 코에 3배 이상 많기 때문입니다.

[한돈희/인제대 보건안전공학과 교수/한국호흡보호구학회 회장 : "인증받은 마스크의 경우 부직포를 통해서 비말이 거의 들어오지 않습니다 비말이 들어오는 경로는 코와 얼굴 사이 턱 부분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착용자는 항상 이 부분이 얼굴에 잘 밀착되어 있는지를 점검해야 되겠습니다."]

실내에서도 마스크 착용은 필수! 특히, 음식을 먹기 전,후나 대화 시에도 마스크를 벗지 않아야 합니다.

마스크를 턱에 걸쳐둘 경우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정기석/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마스크를 턱에 걸쳐서 여기에 균들이 묻어있으면 균들이 그 안에서 계속 자라게 되겠죠. 그래서 배양 접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바이러스가 묻어서 내 몸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턱스크(턱 걸친 마스크)는 안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특히 더운 여름에 마스크를 턱에 걸쳐두면 땀 때문에 습기가 차서 세균이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식사시간 등 어쩔 수 없이 마스크를 벗어야 할 땐 턱에 걸쳐두기보다 주머니에 넣거나 겉면이 바닥에 닿게 잘 접어서 놓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스크를 목걸이 끈에 달아 사용할 때 역시 안쪽 면이 오염되지 않게 잘 접어둬야 합니다.

[정기석/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마스크를 쓰다가 이렇게 쓴 다음에 손으로 잡고 내리면 안 되고요 마스크는 내릴 때, 양쪽의 내 입과 코가 닿는 앞면, 뒷면이 내 손에 안닿게 내리셔야 합니다 마스크 걸이는 차라리 턱에 거는 것보다 훨씬 낫다고 보고요 여기에 오염되지 않도록만 주의하면 되지 않을까 봅니다."]

땀이나 물에 젖은 마스크는 세균번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빨리 새 마스크로 교체해야 하며, 환기가 어렵고 사람이 많은 밀집, 밀접 밀폐 시설에서 사용한 마스크는 재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한 번 사용한 마스크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마스크를 반으로 접어 끈으로 묶거나 봉투에 담아 밀봉한 후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마스크가 코로나19 예방에 큰 효과가 있는만큼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한 후 사용해야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