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등어 생산 44%↓…“올해도 태풍이 변수”
입력 2020.09.13 (11:02)
수정 2020.09.13 (11: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어기인 가을 연이은 태풍으로 지난해 고등어 생산량이 4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수산부의 2019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고등어 총생산량은 12만 1천624톤으로 전년(21만 6천608t)보다 43.9% 감소했습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생산량(14만 6천919톤)보다도 17.2% 줄었습니다.
지난해 성어기인 9∼11월 태풍 '링링'과 '타파', '미탁'이 연이어 한반도를 덮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고등어 조업이 주로 이뤄지는 남해 연근해와 인접한 제주도에서는 세 개의 태풍이 지난 후 시설파손 등 피해복구에 382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을 만큼 피해가 컸습니다. 태풍은 이같은 직접적 피해 말고도 태풍 전후로 며칠씩 이어지는 호우와 강풍 때문에 조업 활동에 큰 악재로 작용합니다.
생산량 감소는 수입 증가로 이어져 자급률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고등어 소비량은 11만 7천524톤으로 전년(9만 6천248t)보다 20.2% 증가했습니다.
정부가 국내 소비량을 맞추기 위해 노르웨이와 중국 등으로부터 고등어 수입을 늘리며 지난해 국내 고등어 자급률은 86.0%로 전년(144.7%)보다 61.7%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 기간 고등어 수입액은 13.4% 늘어난 8천143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올해는 지난 7일 소멸한 제10호 태풍 '하이선' 이후 추가 태풍 피해만 없다면 '풍년'을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올해에는 현재까지 고등어의 먹이인 멸치 조황이 좋다"면서 "지난해와 같은 가을 태풍만 없다면 전반적인 조업 상황은 괜찮아질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태풍 영향과 별개로 고등어 수급 부진이 계속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수산개발연구원은 수산관측 리뷰 보고서를 통해 국민 선호도가 높은 중·대형 고등어의 어획량은 계속 급감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해양수산부의 2019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고등어 총생산량은 12만 1천624톤으로 전년(21만 6천608t)보다 43.9% 감소했습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생산량(14만 6천919톤)보다도 17.2% 줄었습니다.
지난해 성어기인 9∼11월 태풍 '링링'과 '타파', '미탁'이 연이어 한반도를 덮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고등어 조업이 주로 이뤄지는 남해 연근해와 인접한 제주도에서는 세 개의 태풍이 지난 후 시설파손 등 피해복구에 382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을 만큼 피해가 컸습니다. 태풍은 이같은 직접적 피해 말고도 태풍 전후로 며칠씩 이어지는 호우와 강풍 때문에 조업 활동에 큰 악재로 작용합니다.
생산량 감소는 수입 증가로 이어져 자급률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고등어 소비량은 11만 7천524톤으로 전년(9만 6천248t)보다 20.2% 증가했습니다.
정부가 국내 소비량을 맞추기 위해 노르웨이와 중국 등으로부터 고등어 수입을 늘리며 지난해 국내 고등어 자급률은 86.0%로 전년(144.7%)보다 61.7%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 기간 고등어 수입액은 13.4% 늘어난 8천143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올해는 지난 7일 소멸한 제10호 태풍 '하이선' 이후 추가 태풍 피해만 없다면 '풍년'을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올해에는 현재까지 고등어의 먹이인 멸치 조황이 좋다"면서 "지난해와 같은 가을 태풍만 없다면 전반적인 조업 상황은 괜찮아질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태풍 영향과 별개로 고등어 수급 부진이 계속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수산개발연구원은 수산관측 리뷰 보고서를 통해 국민 선호도가 높은 중·대형 고등어의 어획량은 계속 급감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고등어 생산 44%↓…“올해도 태풍이 변수”
-
- 입력 2020-09-13 11:02:56
- 수정2020-09-13 11:06:14

성어기인 가을 연이은 태풍으로 지난해 고등어 생산량이 4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수산부의 2019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고등어 총생산량은 12만 1천624톤으로 전년(21만 6천608t)보다 43.9% 감소했습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생산량(14만 6천919톤)보다도 17.2% 줄었습니다.
지난해 성어기인 9∼11월 태풍 '링링'과 '타파', '미탁'이 연이어 한반도를 덮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고등어 조업이 주로 이뤄지는 남해 연근해와 인접한 제주도에서는 세 개의 태풍이 지난 후 시설파손 등 피해복구에 382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을 만큼 피해가 컸습니다. 태풍은 이같은 직접적 피해 말고도 태풍 전후로 며칠씩 이어지는 호우와 강풍 때문에 조업 활동에 큰 악재로 작용합니다.
생산량 감소는 수입 증가로 이어져 자급률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고등어 소비량은 11만 7천524톤으로 전년(9만 6천248t)보다 20.2% 증가했습니다.
정부가 국내 소비량을 맞추기 위해 노르웨이와 중국 등으로부터 고등어 수입을 늘리며 지난해 국내 고등어 자급률은 86.0%로 전년(144.7%)보다 61.7%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 기간 고등어 수입액은 13.4% 늘어난 8천143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올해는 지난 7일 소멸한 제10호 태풍 '하이선' 이후 추가 태풍 피해만 없다면 '풍년'을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올해에는 현재까지 고등어의 먹이인 멸치 조황이 좋다"면서 "지난해와 같은 가을 태풍만 없다면 전반적인 조업 상황은 괜찮아질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태풍 영향과 별개로 고등어 수급 부진이 계속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수산개발연구원은 수산관측 리뷰 보고서를 통해 국민 선호도가 높은 중·대형 고등어의 어획량은 계속 급감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해양수산부의 2019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고등어 총생산량은 12만 1천624톤으로 전년(21만 6천608t)보다 43.9% 감소했습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생산량(14만 6천919톤)보다도 17.2% 줄었습니다.
지난해 성어기인 9∼11월 태풍 '링링'과 '타파', '미탁'이 연이어 한반도를 덮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고등어 조업이 주로 이뤄지는 남해 연근해와 인접한 제주도에서는 세 개의 태풍이 지난 후 시설파손 등 피해복구에 382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을 만큼 피해가 컸습니다. 태풍은 이같은 직접적 피해 말고도 태풍 전후로 며칠씩 이어지는 호우와 강풍 때문에 조업 활동에 큰 악재로 작용합니다.
생산량 감소는 수입 증가로 이어져 자급률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고등어 소비량은 11만 7천524톤으로 전년(9만 6천248t)보다 20.2% 증가했습니다.
정부가 국내 소비량을 맞추기 위해 노르웨이와 중국 등으로부터 고등어 수입을 늘리며 지난해 국내 고등어 자급률은 86.0%로 전년(144.7%)보다 61.7%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 기간 고등어 수입액은 13.4% 늘어난 8천143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올해는 지난 7일 소멸한 제10호 태풍 '하이선' 이후 추가 태풍 피해만 없다면 '풍년'을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올해에는 현재까지 고등어의 먹이인 멸치 조황이 좋다"면서 "지난해와 같은 가을 태풍만 없다면 전반적인 조업 상황은 괜찮아질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태풍 영향과 별개로 고등어 수급 부진이 계속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수산개발연구원은 수산관측 리뷰 보고서를 통해 국민 선호도가 높은 중·대형 고등어의 어획량은 계속 급감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김수영 기자 swimming@kbs.co.kr
김수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