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한 번쯤 간절하게 택배를 기다린 경험 있을 겁니다.
배송조회를 여러 번 누르다 보면 익숙한 곳이 있죠. 바로 '○○HUB'입니다.
허브(HUB)는 택배 상자를 모으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택배를 모아 분류한 다음 각 배송지로 보내죠. 그러다 보니 물류가 몰리면 며칠씩 택배가 묶여 있기도 해, 옥천 허브는 '옥뮤다 삼각지대'라 불리기도 합니다.
허브를 기반으로 물류를 배송하는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대부분 택배사가 사용하는 이 시스템이 미국의 한 대학생의 아이디어로 시작됐습니다.
1962년 미국 예일대에서 경제학을 수강하던 한 학생은 자전거 바퀴 모양에서 착안해 배송 시스템을 변화시킬 리포트 하나를 제출합니다.
바큇살에서 이름을 따 '허브 앤 스포크'라 부른 이 시스템은 지금처럼 배송할 물건을 한 곳으로 모아 분류한 다음 배송지로 보내는 시스템이었죠.
하지만 이 리포트를 받은 교수님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로 열심히 쓴 리포트는 낙제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죠.
당시 미국의 배송 시스템은 도시와 도시 사이를 직접 배송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뉴욕에서 필라델피아까지 화물을 보내려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은 160km만 옮기면 되는데,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뉴욕에서 3,200km 떨어진 멤피스 허브를 거쳐야 한다 하니 비효율적이었던 거죠.
낙제점을 받았지만, 이 학생을 굴하지 않고 졸업 뒤 이 리포트를 기반으로 회사를 설립합니다. 이 회사가 바로 페덱스(FEDEX), 이 학생은 세계적인 택배 기업 페덱스의 창립자 프레드릭 스미스입니다.
현재 많은 택배사가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며 물류가 급격하게 증가하자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으론 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된 거죠.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보다 30% 정도 더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오늘날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물류뿐 아니라 대중교통, 프랜차이즈 운영에도 사용되기도 하죠.
C 학점에 굴하지 않고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프레드릭 스미스, 그의 확신과 용기가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것 아닐까요?
구성 공주경 인턴
촬영 윤찬혁·이근혁 인턴
C G 강인혜 인턴·김달·이효정
편집 이지혜
https://www.youtube.com/watch?v=Pu8nNt26QOQ
배송조회를 여러 번 누르다 보면 익숙한 곳이 있죠. 바로 '○○HUB'입니다.
허브(HUB)는 택배 상자를 모으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택배를 모아 분류한 다음 각 배송지로 보내죠. 그러다 보니 물류가 몰리면 며칠씩 택배가 묶여 있기도 해, 옥천 허브는 '옥뮤다 삼각지대'라 불리기도 합니다.
허브를 기반으로 물류를 배송하는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대부분 택배사가 사용하는 이 시스템이 미국의 한 대학생의 아이디어로 시작됐습니다.
1962년 미국 예일대에서 경제학을 수강하던 한 학생은 자전거 바퀴 모양에서 착안해 배송 시스템을 변화시킬 리포트 하나를 제출합니다.
바큇살에서 이름을 따 '허브 앤 스포크'라 부른 이 시스템은 지금처럼 배송할 물건을 한 곳으로 모아 분류한 다음 배송지로 보내는 시스템이었죠.
하지만 이 리포트를 받은 교수님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로 열심히 쓴 리포트는 낙제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죠.
당시 미국의 배송 시스템은 도시와 도시 사이를 직접 배송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뉴욕에서 필라델피아까지 화물을 보내려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은 160km만 옮기면 되는데,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뉴욕에서 3,200km 떨어진 멤피스 허브를 거쳐야 한다 하니 비효율적이었던 거죠.
낙제점을 받았지만, 이 학생을 굴하지 않고 졸업 뒤 이 리포트를 기반으로 회사를 설립합니다. 이 회사가 바로 페덱스(FEDEX), 이 학생은 세계적인 택배 기업 페덱스의 창립자 프레드릭 스미스입니다.
현재 많은 택배사가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며 물류가 급격하게 증가하자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으론 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된 거죠.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보다 30% 정도 더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오늘날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물류뿐 아니라 대중교통, 프랜차이즈 운영에도 사용되기도 하죠.
C 학점에 굴하지 않고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프레드릭 스미스, 그의 확신과 용기가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것 아닐까요?
구성 공주경 인턴
촬영 윤찬혁·이근혁 인턴
C G 강인혜 인턴·김달·이효정
편집 이지혜
https://www.youtube.com/watch?v=Pu8nNt26QOQ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크랩] 추석 택배가 옥천에 있는 이유? C학점 리포트 때문?
-
- 입력 2020-10-05 12:15:25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한 번쯤 간절하게 택배를 기다린 경험 있을 겁니다.
배송조회를 여러 번 누르다 보면 익숙한 곳이 있죠. 바로 '○○HUB'입니다.
허브(HUB)는 택배 상자를 모으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택배를 모아 분류한 다음 각 배송지로 보내죠. 그러다 보니 물류가 몰리면 며칠씩 택배가 묶여 있기도 해, 옥천 허브는 '옥뮤다 삼각지대'라 불리기도 합니다.
허브를 기반으로 물류를 배송하는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대부분 택배사가 사용하는 이 시스템이 미국의 한 대학생의 아이디어로 시작됐습니다.
1962년 미국 예일대에서 경제학을 수강하던 한 학생은 자전거 바퀴 모양에서 착안해 배송 시스템을 변화시킬 리포트 하나를 제출합니다.
바큇살에서 이름을 따 '허브 앤 스포크'라 부른 이 시스템은 지금처럼 배송할 물건을 한 곳으로 모아 분류한 다음 배송지로 보내는 시스템이었죠.
하지만 이 리포트를 받은 교수님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로 열심히 쓴 리포트는 낙제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죠.
당시 미국의 배송 시스템은 도시와 도시 사이를 직접 배송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뉴욕에서 필라델피아까지 화물을 보내려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은 160km만 옮기면 되는데,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뉴욕에서 3,200km 떨어진 멤피스 허브를 거쳐야 한다 하니 비효율적이었던 거죠.
낙제점을 받았지만, 이 학생을 굴하지 않고 졸업 뒤 이 리포트를 기반으로 회사를 설립합니다. 이 회사가 바로 페덱스(FEDEX), 이 학생은 세계적인 택배 기업 페덱스의 창립자 프레드릭 스미스입니다.
현재 많은 택배사가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며 물류가 급격하게 증가하자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으론 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된 거죠.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보다 30% 정도 더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오늘날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물류뿐 아니라 대중교통, 프랜차이즈 운영에도 사용되기도 하죠.
C 학점에 굴하지 않고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프레드릭 스미스, 그의 확신과 용기가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것 아닐까요?
구성 공주경 인턴
촬영 윤찬혁·이근혁 인턴
C G 강인혜 인턴·김달·이효정
편집 이지혜
https://www.youtube.com/watch?v=Pu8nNt26QOQ
배송조회를 여러 번 누르다 보면 익숙한 곳이 있죠. 바로 '○○HUB'입니다.
허브(HUB)는 택배 상자를 모으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택배를 모아 분류한 다음 각 배송지로 보내죠. 그러다 보니 물류가 몰리면 며칠씩 택배가 묶여 있기도 해, 옥천 허브는 '옥뮤다 삼각지대'라 불리기도 합니다.
허브를 기반으로 물류를 배송하는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대부분 택배사가 사용하는 이 시스템이 미국의 한 대학생의 아이디어로 시작됐습니다.
1962년 미국 예일대에서 경제학을 수강하던 한 학생은 자전거 바퀴 모양에서 착안해 배송 시스템을 변화시킬 리포트 하나를 제출합니다.
바큇살에서 이름을 따 '허브 앤 스포크'라 부른 이 시스템은 지금처럼 배송할 물건을 한 곳으로 모아 분류한 다음 배송지로 보내는 시스템이었죠.
하지만 이 리포트를 받은 교수님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로 열심히 쓴 리포트는 낙제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죠.
당시 미국의 배송 시스템은 도시와 도시 사이를 직접 배송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뉴욕에서 필라델피아까지 화물을 보내려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은 160km만 옮기면 되는데,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뉴욕에서 3,200km 떨어진 멤피스 허브를 거쳐야 한다 하니 비효율적이었던 거죠.
낙제점을 받았지만, 이 학생을 굴하지 않고 졸업 뒤 이 리포트를 기반으로 회사를 설립합니다. 이 회사가 바로 페덱스(FEDEX), 이 학생은 세계적인 택배 기업 페덱스의 창립자 프레드릭 스미스입니다.
현재 많은 택배사가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며 물류가 급격하게 증가하자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으론 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된 거죠.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이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보다 30% 정도 더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오늘날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물류뿐 아니라 대중교통, 프랜차이즈 운영에도 사용되기도 하죠.
C 학점에 굴하지 않고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프레드릭 스미스, 그의 확신과 용기가 세계 물류 시스템을 바꾼 것 아닐까요?
구성 공주경 인턴
촬영 윤찬혁·이근혁 인턴
C G 강인혜 인턴·김달·이효정
편집 이지혜
https://www.youtube.com/watch?v=Pu8nNt26QOQ
-
-
유현우 기자 ryu@kbs.co.kr
유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