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전, ‘동남권 메가시티’의 미래는?
입력 2020.10.09 (19:36)
수정 2020.10.09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남과 부산, 울산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어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하는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BS가 마련한 특집 토론회에서 세 단체장들이 제시한 동남권의 미래를 김대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동남권 공동 발전을 위해 세 단체장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우선, 행정수도 이전이 '수도권 집중화'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단체장들은 이전이 의미는 있지만
지역별로 자생력을 가지는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김경수/경남도지사 : "행정수도 이전은 1/n이다. 동남권, 호남권, 충청권, 남해안권 다양하고 유연한 권역별 발전 전략들이 함께 진행이 될 때 행정수도 이전도 힘을 받는 것이지…."]
'동남권 메가시티'의 주요 추진 내용은 교통과 산업 등 사회 기반을 연결해 생활권과 경제권을 통합하는 공동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송철호/울산시장 : "부유체를 만드는 것은 현대중공업이 강하고, 터빈을 만드는 것은 창원의 두산이 강하고, 블레이드를 만드는 것은 부산이 강하고, 이걸 통합하면 부울경이 하나가 돼서…."]
메가시티 구축의 최대 현안인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검증위원회가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변성완/부산시장 권한대행 : "검증위원회의 객관성, 공정성 문제가 시끄러운 측면이 있는데, 투명한 공개가 이루어진다면 저희들이 생각하는 대로 김해 신공항 확장안은 불가하다는 결론이 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세 단체장들은 역사적으로 한뿌리이고 산업화를 이끌어 온 부울경이 이제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발전축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대진입니다.
경남과 부산, 울산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어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하는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BS가 마련한 특집 토론회에서 세 단체장들이 제시한 동남권의 미래를 김대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동남권 공동 발전을 위해 세 단체장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우선, 행정수도 이전이 '수도권 집중화'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단체장들은 이전이 의미는 있지만
지역별로 자생력을 가지는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김경수/경남도지사 : "행정수도 이전은 1/n이다. 동남권, 호남권, 충청권, 남해안권 다양하고 유연한 권역별 발전 전략들이 함께 진행이 될 때 행정수도 이전도 힘을 받는 것이지…."]
'동남권 메가시티'의 주요 추진 내용은 교통과 산업 등 사회 기반을 연결해 생활권과 경제권을 통합하는 공동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송철호/울산시장 : "부유체를 만드는 것은 현대중공업이 강하고, 터빈을 만드는 것은 창원의 두산이 강하고, 블레이드를 만드는 것은 부산이 강하고, 이걸 통합하면 부울경이 하나가 돼서…."]
메가시티 구축의 최대 현안인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검증위원회가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변성완/부산시장 권한대행 : "검증위원회의 객관성, 공정성 문제가 시끄러운 측면이 있는데, 투명한 공개가 이루어진다면 저희들이 생각하는 대로 김해 신공항 확장안은 불가하다는 결론이 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세 단체장들은 역사적으로 한뿌리이고 산업화를 이끌어 온 부울경이 이제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발전축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대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로운 도전, ‘동남권 메가시티’의 미래는?
-
- 입력 2020-10-09 19:36:45
- 수정2020-10-09 19:41:12
[앵커]
경남과 부산, 울산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어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하는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BS가 마련한 특집 토론회에서 세 단체장들이 제시한 동남권의 미래를 김대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동남권 공동 발전을 위해 세 단체장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우선, 행정수도 이전이 '수도권 집중화'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단체장들은 이전이 의미는 있지만
지역별로 자생력을 가지는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김경수/경남도지사 : "행정수도 이전은 1/n이다. 동남권, 호남권, 충청권, 남해안권 다양하고 유연한 권역별 발전 전략들이 함께 진행이 될 때 행정수도 이전도 힘을 받는 것이지…."]
'동남권 메가시티'의 주요 추진 내용은 교통과 산업 등 사회 기반을 연결해 생활권과 경제권을 통합하는 공동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송철호/울산시장 : "부유체를 만드는 것은 현대중공업이 강하고, 터빈을 만드는 것은 창원의 두산이 강하고, 블레이드를 만드는 것은 부산이 강하고, 이걸 통합하면 부울경이 하나가 돼서…."]
메가시티 구축의 최대 현안인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검증위원회가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변성완/부산시장 권한대행 : "검증위원회의 객관성, 공정성 문제가 시끄러운 측면이 있는데, 투명한 공개가 이루어진다면 저희들이 생각하는 대로 김해 신공항 확장안은 불가하다는 결론이 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세 단체장들은 역사적으로 한뿌리이고 산업화를 이끌어 온 부울경이 이제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발전축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대진입니다.
경남과 부산, 울산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어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하는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BS가 마련한 특집 토론회에서 세 단체장들이 제시한 동남권의 미래를 김대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동남권 공동 발전을 위해 세 단체장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우선, 행정수도 이전이 '수도권 집중화'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단체장들은 이전이 의미는 있지만
지역별로 자생력을 가지는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김경수/경남도지사 : "행정수도 이전은 1/n이다. 동남권, 호남권, 충청권, 남해안권 다양하고 유연한 권역별 발전 전략들이 함께 진행이 될 때 행정수도 이전도 힘을 받는 것이지…."]
'동남권 메가시티'의 주요 추진 내용은 교통과 산업 등 사회 기반을 연결해 생활권과 경제권을 통합하는 공동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송철호/울산시장 : "부유체를 만드는 것은 현대중공업이 강하고, 터빈을 만드는 것은 창원의 두산이 강하고, 블레이드를 만드는 것은 부산이 강하고, 이걸 통합하면 부울경이 하나가 돼서…."]
메가시티 구축의 최대 현안인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검증위원회가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변성완/부산시장 권한대행 : "검증위원회의 객관성, 공정성 문제가 시끄러운 측면이 있는데, 투명한 공개가 이루어진다면 저희들이 생각하는 대로 김해 신공항 확장안은 불가하다는 결론이 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세 단체장들은 역사적으로 한뿌리이고 산업화를 이끌어 온 부울경이 이제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발전축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대진입니다.
-
-
김대진 기자 newskim@kbs.co.kr
김대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