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달리다 바퀴 빠지는 ‘한국판 험비’…그래도 계속 타라?
입력 2020.10.19 (1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4년 전 양산을 시작해 실전 배치 중인 다목적 소형 전술차량입니다.
미군이 운용 중인 고성능 전술차량 '험비'와 비교해 '한국판 험비'로 불립니다.
그런데 최근 황당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주행 중 바퀴가 통째로 빠지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원인은 차축과 바퀴를 연결하는 부품인 허브 결함.
배치 차량의 절반인 1,400여 대에 대한 리콜이 결정됐습니다.
내년 4월까지 부품교체가 진행 중인데, 문제는 군이 리콜 대상도 계속 운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일부는 통제하에 운행한다 해도 언제 바퀴가 빠질 지 모르는 차를 타라는 지시인 셈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1조 원대 사업비를 들여 최근 3차 양산에 들어간 차륜형 장갑차는 주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 결함이 발견됐습니다.
배치된 장갑차 절반이 리콜대상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순차 진행됩니다.
이 경우에도 육군은 시동이 꺼지는 상황에 대비한 비상조치만 교육한 채 운행을 계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지난 5년간 군 안전사고로 해마다 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영상편집:김태형/그래픽:최창준
미군이 운용 중인 고성능 전술차량 '험비'와 비교해 '한국판 험비'로 불립니다.
그런데 최근 황당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주행 중 바퀴가 통째로 빠지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원인은 차축과 바퀴를 연결하는 부품인 허브 결함.
배치 차량의 절반인 1,400여 대에 대한 리콜이 결정됐습니다.
내년 4월까지 부품교체가 진행 중인데, 문제는 군이 리콜 대상도 계속 운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일부는 통제하에 운행한다 해도 언제 바퀴가 빠질 지 모르는 차를 타라는 지시인 셈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1조 원대 사업비를 들여 최근 3차 양산에 들어간 차륜형 장갑차는 주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 결함이 발견됐습니다.
배치된 장갑차 절반이 리콜대상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순차 진행됩니다.
이 경우에도 육군은 시동이 꺼지는 상황에 대비한 비상조치만 교육한 채 운행을 계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지난 5년간 군 안전사고로 해마다 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영상편집:김태형/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달리다 바퀴 빠지는 ‘한국판 험비’…그래도 계속 타라?
-
- 입력 2020-10-19 10:47:58

4년 전 양산을 시작해 실전 배치 중인 다목적 소형 전술차량입니다.
미군이 운용 중인 고성능 전술차량 '험비'와 비교해 '한국판 험비'로 불립니다.
그런데 최근 황당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주행 중 바퀴가 통째로 빠지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원인은 차축과 바퀴를 연결하는 부품인 허브 결함.
배치 차량의 절반인 1,400여 대에 대한 리콜이 결정됐습니다.
내년 4월까지 부품교체가 진행 중인데, 문제는 군이 리콜 대상도 계속 운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일부는 통제하에 운행한다 해도 언제 바퀴가 빠질 지 모르는 차를 타라는 지시인 셈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1조 원대 사업비를 들여 최근 3차 양산에 들어간 차륜형 장갑차는 주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 결함이 발견됐습니다.
배치된 장갑차 절반이 리콜대상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순차 진행됩니다.
이 경우에도 육군은 시동이 꺼지는 상황에 대비한 비상조치만 교육한 채 운행을 계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지난 5년간 군 안전사고로 해마다 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영상편집:김태형/그래픽:최창준
미군이 운용 중인 고성능 전술차량 '험비'와 비교해 '한국판 험비'로 불립니다.
그런데 최근 황당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주행 중 바퀴가 통째로 빠지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원인은 차축과 바퀴를 연결하는 부품인 허브 결함.
배치 차량의 절반인 1,400여 대에 대한 리콜이 결정됐습니다.
내년 4월까지 부품교체가 진행 중인데, 문제는 군이 리콜 대상도 계속 운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일부는 통제하에 운행한다 해도 언제 바퀴가 빠질 지 모르는 차를 타라는 지시인 셈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1조 원대 사업비를 들여 최근 3차 양산에 들어간 차륜형 장갑차는 주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 결함이 발견됐습니다.
배치된 장갑차 절반이 리콜대상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순차 진행됩니다.
이 경우에도 육군은 시동이 꺼지는 상황에 대비한 비상조치만 교육한 채 운행을 계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지난 5년간 군 안전사고로 해마다 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영상편집:김태형/그래픽:최창준
-
-
조빛나 기자 hymn@kbs.co.kr
조빛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