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뉴딜정책 진단…데이터 자치권 확보 ‘필수’
입력 2020.10.19 (19:08)
수정 2020.10.19 (19: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시대 도민의 삶에 영향을 줄 제주형 뉴딜 계획의 과제를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지역에서 생산된 자료를 지역에서 전산화해 똑똑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한 디지털 뉴딜 분야의 기대와 과제를 짚어 봅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두운 밤길 스마트폰 앱으로 무인 항공기 드론을 호출하면 현장촬영에서 귀가까지 돕는 안심서비스.
["더 안전하고 편안한 도민의 삶을 위한..."]
드론으로 월동채소 농지를 촬영해 실제 재배면적과 생산량까지 예측합니다.
제주형 디지털 뉴딜은 이처럼 치안과 1차산업과 등 모든 분야의 자료를 분석해 통합 관리하면서 말 그대로 똑똑한 스마트 도시로 만들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김기홍/제주도 디지털융합과장 : "파종부터 재배과정까지도 생산량을 예측하게 함으로써 산지폐기로 인한 예산 같은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게 큰 목적이 있고요."]
이를 위해선 제주가 지역과 관련한 각종 자료를 통합 관리하는 이른바 '데이터 자치권' 확보가 필수입니다.
자료마다 중앙정부와 제주도 등 운영 주체가 달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우선 2023년까지 첨단과학기술단지에 제주의 공공·민간 자료를 통합관리 할 JDC제주데이터센터가 조성됩니다.
단순히 자료 통합 관리를 넘어 제주 4차 산업구조 변화에도 대응한다는 게 목표입니다.
[진여훈/JDC 데이터센터 추진 팀장 : "제주도가 디지털 산업이 조금 열악하다 보니 데이터 센터를 활성화하고 기업을 유치하려는 여러 가지 노력, 아이디어, 지원책 개발이 필요합니다."]
여기 발맞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I 등 디지털 뉴딜 관련 인력 양성도 늦출 수 없습니다.
[조장희/제주대 경제학과 교수 : "센터 설립이나 이런 것들을 통해서 교육이 제공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지금의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시스템, 그린 시스템 자체에서도 새로운 일자리들이 많이 탄생할 것으로."]
자치단체마다 치열한 국비 확보 경쟁이 예고되는 디지털 뉴딜.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되기 위한 면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
코로나19 시대 도민의 삶에 영향을 줄 제주형 뉴딜 계획의 과제를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지역에서 생산된 자료를 지역에서 전산화해 똑똑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한 디지털 뉴딜 분야의 기대와 과제를 짚어 봅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두운 밤길 스마트폰 앱으로 무인 항공기 드론을 호출하면 현장촬영에서 귀가까지 돕는 안심서비스.
["더 안전하고 편안한 도민의 삶을 위한..."]
드론으로 월동채소 농지를 촬영해 실제 재배면적과 생산량까지 예측합니다.
제주형 디지털 뉴딜은 이처럼 치안과 1차산업과 등 모든 분야의 자료를 분석해 통합 관리하면서 말 그대로 똑똑한 스마트 도시로 만들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김기홍/제주도 디지털융합과장 : "파종부터 재배과정까지도 생산량을 예측하게 함으로써 산지폐기로 인한 예산 같은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게 큰 목적이 있고요."]
이를 위해선 제주가 지역과 관련한 각종 자료를 통합 관리하는 이른바 '데이터 자치권' 확보가 필수입니다.
자료마다 중앙정부와 제주도 등 운영 주체가 달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우선 2023년까지 첨단과학기술단지에 제주의 공공·민간 자료를 통합관리 할 JDC제주데이터센터가 조성됩니다.
단순히 자료 통합 관리를 넘어 제주 4차 산업구조 변화에도 대응한다는 게 목표입니다.
[진여훈/JDC 데이터센터 추진 팀장 : "제주도가 디지털 산업이 조금 열악하다 보니 데이터 센터를 활성화하고 기업을 유치하려는 여러 가지 노력, 아이디어, 지원책 개발이 필요합니다."]
여기 발맞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I 등 디지털 뉴딜 관련 인력 양성도 늦출 수 없습니다.
[조장희/제주대 경제학과 교수 : "센터 설립이나 이런 것들을 통해서 교육이 제공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지금의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시스템, 그린 시스템 자체에서도 새로운 일자리들이 많이 탄생할 것으로."]
자치단체마다 치열한 국비 확보 경쟁이 예고되는 디지털 뉴딜.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되기 위한 면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형 뉴딜정책 진단…데이터 자치권 확보 ‘필수’
-
- 입력 2020-10-19 19:08:36
- 수정2020-10-19 19:57:51

[앵커]
코로나19 시대 도민의 삶에 영향을 줄 제주형 뉴딜 계획의 과제를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지역에서 생산된 자료를 지역에서 전산화해 똑똑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한 디지털 뉴딜 분야의 기대와 과제를 짚어 봅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두운 밤길 스마트폰 앱으로 무인 항공기 드론을 호출하면 현장촬영에서 귀가까지 돕는 안심서비스.
["더 안전하고 편안한 도민의 삶을 위한..."]
드론으로 월동채소 농지를 촬영해 실제 재배면적과 생산량까지 예측합니다.
제주형 디지털 뉴딜은 이처럼 치안과 1차산업과 등 모든 분야의 자료를 분석해 통합 관리하면서 말 그대로 똑똑한 스마트 도시로 만들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김기홍/제주도 디지털융합과장 : "파종부터 재배과정까지도 생산량을 예측하게 함으로써 산지폐기로 인한 예산 같은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게 큰 목적이 있고요."]
이를 위해선 제주가 지역과 관련한 각종 자료를 통합 관리하는 이른바 '데이터 자치권' 확보가 필수입니다.
자료마다 중앙정부와 제주도 등 운영 주체가 달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우선 2023년까지 첨단과학기술단지에 제주의 공공·민간 자료를 통합관리 할 JDC제주데이터센터가 조성됩니다.
단순히 자료 통합 관리를 넘어 제주 4차 산업구조 변화에도 대응한다는 게 목표입니다.
[진여훈/JDC 데이터센터 추진 팀장 : "제주도가 디지털 산업이 조금 열악하다 보니 데이터 센터를 활성화하고 기업을 유치하려는 여러 가지 노력, 아이디어, 지원책 개발이 필요합니다."]
여기 발맞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I 등 디지털 뉴딜 관련 인력 양성도 늦출 수 없습니다.
[조장희/제주대 경제학과 교수 : "센터 설립이나 이런 것들을 통해서 교육이 제공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지금의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시스템, 그린 시스템 자체에서도 새로운 일자리들이 많이 탄생할 것으로."]
자치단체마다 치열한 국비 확보 경쟁이 예고되는 디지털 뉴딜.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되기 위한 면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
코로나19 시대 도민의 삶에 영향을 줄 제주형 뉴딜 계획의 과제를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지역에서 생산된 자료를 지역에서 전산화해 똑똑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한 디지털 뉴딜 분야의 기대와 과제를 짚어 봅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두운 밤길 스마트폰 앱으로 무인 항공기 드론을 호출하면 현장촬영에서 귀가까지 돕는 안심서비스.
["더 안전하고 편안한 도민의 삶을 위한..."]
드론으로 월동채소 농지를 촬영해 실제 재배면적과 생산량까지 예측합니다.
제주형 디지털 뉴딜은 이처럼 치안과 1차산업과 등 모든 분야의 자료를 분석해 통합 관리하면서 말 그대로 똑똑한 스마트 도시로 만들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김기홍/제주도 디지털융합과장 : "파종부터 재배과정까지도 생산량을 예측하게 함으로써 산지폐기로 인한 예산 같은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게 큰 목적이 있고요."]
이를 위해선 제주가 지역과 관련한 각종 자료를 통합 관리하는 이른바 '데이터 자치권' 확보가 필수입니다.
자료마다 중앙정부와 제주도 등 운영 주체가 달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우선 2023년까지 첨단과학기술단지에 제주의 공공·민간 자료를 통합관리 할 JDC제주데이터센터가 조성됩니다.
단순히 자료 통합 관리를 넘어 제주 4차 산업구조 변화에도 대응한다는 게 목표입니다.
[진여훈/JDC 데이터센터 추진 팀장 : "제주도가 디지털 산업이 조금 열악하다 보니 데이터 센터를 활성화하고 기업을 유치하려는 여러 가지 노력, 아이디어, 지원책 개발이 필요합니다."]
여기 발맞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I 등 디지털 뉴딜 관련 인력 양성도 늦출 수 없습니다.
[조장희/제주대 경제학과 교수 : "센터 설립이나 이런 것들을 통해서 교육이 제공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지금의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시스템, 그린 시스템 자체에서도 새로운 일자리들이 많이 탄생할 것으로."]
자치단체마다 치열한 국비 확보 경쟁이 예고되는 디지털 뉴딜.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되기 위한 면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
-
-
강인희 기자 inhee@kbs.co.kr
강인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